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tsabes의 이미지

windows에서 armcc 사용 관련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windows에서 armcc 컴파일러로 빌드작업을 하고 있는데

armcc 설치 후 환경변수 등록도 다 되서

cmd 창에서 어느 경로든 armcc 커맨드가 동작을 하는 상태인데요

gmake 구문에서 armcc를 호출하면 정의되지 않는 명령어라는 문구가 나오며

컴파일이 중단되는데

혹시 이런 문제와 비슷한 경험을 갖고계신분은 도움말씀 부탁드립니다.

xoduddk123의 이미지

initctl log-priority 의 설정사항을 재부팅후에도 저장하도록 하고싶은데 방법이 있나요?

#initctl log-priority debug 로 설정해놓고

다시 재부팅을해서 부팅과정에서 upstart job의 상태를 디버깅하고자하고하는데요

다시 재부팅을 해서 #initctl log-priortiy 로 현재상태를 보면 default 상태인 message상태로 다시바껴져있더라고요

재부팅시에도 debug로 설정사항이 저장되어져있도록 하는방법이 있을 까요?

positoy의 이미지

외국에서 일하고 싶습니다.

2013년 한 해 어학연수 겸 캐나다에 다녀왔는데 외국에서 일하고 싶단 생각이 커졌어요.
작년 말에 귀국했는데 감사하게도 2014년 삼성에서 한 해동안 인턴하고 정직원으로 일 할 기회가 생겼습니다.

일단 취직문제가 어느정도 해결될 것으로 보여서 꿈을 쫓아보려고 합니다.
요즘 유튜브에서 인텔광고에 나오는 송호준님 처럼 미디어아트 같이 예술적이면서도 도전적인 일을 하고 싶은데 할 줄 아는 것은 별로 없어요.. 일단 한해동안 1년동안 임베디드를 공부하면서 HCI 관련 대학원을 알아보려 하고 있습니다.

포럼에서 선배 개발자님들 말씀하시는 것 보면 영어공부 말씀 많이하시고 의외로 해외 출장기회도 많다고 하시는데 분야에 없이 해외 활동 기회가 흔한 건지요?
출장가시는 분들은 보통 어떤일로 다녀오시나요?

그리고 대학원을 졸업하면 조금 더 해외에서 활동할 기회가 많아질까요?

haha8909의 이미지

우분투 12.04에 리눅스 2.6버전 커널 컴파일

현재 제가 설치한 우분투 버전이 12.04버전에 리눅스 버전이 Linux ubuntu 3.8.0-29-generic 인데요

이걸 여기에 리눅스 2.6버전을 커널 컴파일해서 쓸수있는 방법이 있나요??

이리저리 찾아보고 시도도 몇일째 해봤는데 도무지 모르겠네요 ㅠ

혹시 참고할만한 사이트라던가 조언 좀 부탁드릴께요~!!

cleansugar의 이미지

우분투 파이어폭스에서 이미지 열면 디폴트로 지에디터 열리는 현상 어떻게 고치죠?

우분투 최신버전 파이어폭스 최신버전에서 jpg나 기타 대부분의 파일을 다운로드하지 않고 바로 열기를 하거나 다운로드 패널에서 열면 이미지 뷰어가 열리는 게 아니라 디폴트로 지에디터가 열립니다.

웃기는 건 다운로드 패널이 아니라 shift+ctrl+y 누르면 나오는 다운로드 매니저에서 열면 뷰어가 잘 열립니다.

왜 그러는 거고 어떻게 고치죠?

다른 분도 그러신가요?

tekkenjisu7의 이미지

임베디드 교육관련 질문입니다.

안녕하십니까 취업준비생입니다.

현재 내일배움카드로 k* 자바학원 다니던 중에 폐강되서 다시 학원을 알아봐야하는 상황이되었습니다.. (울화통터집니다.....)
그리고 이왕이렇게 된거 자바쪽보다는 임베디드쪽에 관심이 가서 그쪽으로 다시 알아보고있는데요.

두가지 질문드립니다.

1.임베디드쪽 관련 무료교육이나 저렴한 교육기관 혹시 있을까요??
(이곳저곳 뒤져봤는데 비트스쿨말고는 못 찾겠습니다.)
2.비트스쿨이 655만원 6개월 임베디드 과정인데 학원 수료후 어디로 취업되는지 알수있을까요?

xoduddk123의 이미지

make install로 설치하는 것과 --prefix 경로에있는 파일들을 cp로 복사하는것과 차이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프로그램을 크로스컴파일하고있습니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make install을 하면 잘 작동을하는데

--prefix로 다른경로로 설정을 해두고 해당경로에 make install하여서 나온 부속결과물들을 cp로 복사를 하면 정상적으로 작동을 안합니다.

이러한 현상이 신기한데

make install과 --prefix로 make install 경로를 따로 설정해서 나온 부속결과물들을 cp로 복사하는 것들에 대해서 어떠한 차이점이 있나요??

winner의 이미지

/var/spool/cron 의 개별 사용자 설정 file 에 실행권한 문제

좀 희한한 경험을 했습니다. /var/spool/cron 의 개별사용자 cron 설정 file 에 실행권한이 들어가 있는 상황이었습니다.
그랬더니 개별 cron 이 동작하지 않았습니다.
어떻게 해석할 수 있는 것인가요? 물론 설정 file 을 읽기 위한 권한은 들어가 있었습니다.

xoduddk123의 이미지

라이브러리 크로스컴파일 질문있습니다.

upstart를 크로스컴파일해서 arm보드에 넣고있는데요

upstart를 크로스컴파일할려면

libnih, dbus, expat등 여러가지 부속라이브러리들이 필요하던데

원래 돌아가고있는 /sbin/init을 ldd명령어로보면

astzlra955의 이미지

Directory SYMBOLIC LINK 삭제 방법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디렉터리에 대한 심볼릭 링크만 삭제하는 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많은 글에서

rm 심볼릭링크이름

이렇게 하라고 하는데, 이렇게 하면 is a directory 라는 메세지가 뜨면서 오류가 납니다.

그래서 rm -rf 심볼릭링크이름

이렇게 하면 심볼릭링크에 연결된 원본 디렉터리 전체가 다 지워져 버립니다.

참고로, 이 심볼릭 링크는 Network Drive 를 통해서 윈도우에서 자주 엑세스 합니다.
혹시 이게 문제일런지.....

지금은 원본 디렉터리 이름을 변경한 후 심볼릭 링크가 invalid 되면 심볼릭 링크를 삭제하는 방법을 쓰고 있는데 너무 번거롭네요..

혹시 방법을 아시는 분이 계시면 알려주세요!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