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kdkim0212의 이미지

portoies SVN 전체 백업하는법을 잘모르겠습니다.

전력쪽 펌웨어 엔지니어로 신입 입사한지 이제 한 6개월 되었는데요

프로젝트 백업에관하여 어깨넘어로보고 듣고만 하였고 직업 서버를 다루거나 해보진않아 심히 고민히 됩니다.

svn 사용도 몇번 해보질안아..ㅠㅠ 제가 아직 부족한것이많습니다만 적절한 조언 부탁드리겠습니다.

1달전에 시놀로지라는곳에서 나스 서버를 구입했습니다.

현제 프로젝트 서버 관리 하시던분이 급히 퇴사를하여 인수인계를 제대로 받질 못했거든요

나스서버는 DSM이라는 리눅스계열 os가 설치되었구요

서버에 SVN을 설치했구요. 클라이언트 pc에 potoies SVN을 설치를하고

백업 폴더를 지정하고 체크아웃을 받았습니다.

그런데 개별적인 백업은 가능했으나 정작 중요한 전체 백업하는법을 잘 모르겠습니다.

서버 에서도 프로잭트 폴더 생성을하면 하위폴더 생성을 할수 있는그런 항목이나 메뉴가없구요
서버 SVN에서 프로젝트 폴더를생성하면
그냥 위와 같이 저런식으로 root 바로 하위에 생성이됩니다.

kkr1211의 이미지

ARM 보드 linux oops 질문드립니다.

Unable to handle kernel NULL pointer dereference at virtual address 00000000
pgd = cfb1c000
[00000000] *pgd=2fbfa831, *pte=00000000, *ppte=00000000
Internal error: Oops: 17 [#1]
last sysfs file:
Modules linked in:
CPU: 0 Not tainted (2.6.39 #216)
PC is at kmem_cache_alloc+0x24/0x98
LR is at getname_flags+0x20/0xe8
pc : [] lr : [] psr: 40000093
sp : cfbb5f40 ip : 00000000 fp : 00000000
r10: 00000000 r9 : cfbb4000 r8 : ffffff9c
r7 : 00000000 r6 : 00000000 r5 : 40000013 r4 : 40202e7e

negabaro의 이미지

KVM네트워크 구성

https://kldp.org/node/119629

여기 위키자료를 보면 KVM네트워크 구성하는 방법이

NAT 방식
Private Virtual Bridge
Public Bridge

이 세가지 인것같은데 외부에서 게스트os에 접근하는게 NAT방식과 Private Virtual Bridge 은 왜안되는건가요??

오직 public bridge만이 외부에서 내부로 악세스가 되는건가요?
public bridge도 포트포워딩을 이용해서 악세스 하는것같은데 다른 2방식은 왜 포트포워딩이 안되는건지 이해가잘안되네요

그리고

글로벌아이피(iptime) -> kvm설치한 우분투OS(호스트192.168.0.17) -> centos설치한 게스트os (192.168.111.11)

yeobag의 이미지

구인 종료

글 삭제 기능이 없네요?
계속 연락 주시는거 막기위해 부득이하게 글 내용을 수정합니다.

감사합니다.

gyunn의 이미지

임계영역 문제를 공부하다가 궁금한게 생겼어요!!

Operating System Concept 8th 번역서를 보면..

" 자기의 임계 영역에서 실행중인 프로세스가 없고, 자신의 임계영역으로 진입하려고 하는 프로세스들이 있다면,
**나머지 영역**에서 실행중이지 않은 프로세스들만 임계 영역으로 진입할 프로세스를 결졍하는데 참여할 수 있고, 이 선택은 무기한 연기될 수 없다. "

라고 나옵니다.

여기서 나머지 영역이 remained section을 가리키는거 같은데..

critical section을 실행중인 프로세스도 아니고 remained section에서 실행중인 프로세스라면

critical section에 진입하는데엔 상관 없지 않나요?

dltkddyd의 이미지

tigervnc 서버가 너무 느립니다. 원래 그런가요?

tigervnc 서버를 구동하고 외부에서 vncviewer(realvnc)로 서버의 5901 포트에 접속을 시도했습니다. 접속에는 성공했는데 너무 속도가 느려요. 마우스로 윈도우를 옮기면 지워졌다 다시 그려지는 것이 5초 동안 이루어지는데, 그런 작업들이 육안으로 보일 정도니까요? 그래서 vncviewer가 문제가 있는가 싶어서 ultravnc viewer로도 접속을 시도해봤는데, 그래도 느립니다. 그래서 서버 쪽의 문제는 아닌가 해서 서버를 점검해보니, 제가 직접 서버 구동하기 위해 설정을 한 5901포트 외에도 Xvnc라는 프로세스이름으로 십여개가 뜹니다. 그래서 kill로 5901을 제외한 모든 프로세스를 제거했습니다. 이제 속도가 빠르겠거니 설랜 마음으로 기대하고 접속을 했는데, 이번에는 접속이 전혀 되지 않고 있습니다. 지금 밖에 나와있는데 집에 들어가기 전에 좀 해결을 했으면 좋겠네요. 외부에서 접속을 점검해봐야 하거든요. 집에 들어가면 물론 서버 껐다 다시 키면 정상으로 복귀하겠지만요. 지금 손을 쓸 수 있는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negabaro의 이미지

커널 컴파일중 install.sh가 없다고 에러가납니다


이하 링크를 참조해서 커널컴파일을 하고 있는데요
http://www.cyberciti.biz/tips/compiling-linux-kernel-26.html

제일 마지막 make install 부분에서

[root@localhost linux-3.14.4]# make install
sh /tmp/createinitrd/linux-3.14.4/arch/x86/boot/install.sh 3.14.4 arch/x86/boot/bzImage \
System.map "/boot"
sh: /tmp/createinitrd/linux-3.14.4/arch/x86/boot/install.sh: No such file or directory
make[1]: *** [install] Error 127
make: *** [install] Error 2

dltkddyd의 이미지

iptables 방화벽 설정에서 여러 아이피의 접근을 차단하려면

117.213.45.78-117.213.47.255의 아이피가 아이피가 119.54.55.55인 제 호스트에 들어오는 것을 막으려면

iptables -A INPUT -p tcp -s 117.213.45.78-117.213.47.255 -d 119.54.55.55 -j DROP

이라고 명령을 내리면 되나요?

세벌의 이미지

랜 선 꽂으면 안 켜지는 컴퓨터?

제 컴퓨터는 아니고 다른 분 컴퓨터에 특이한 현상이 있어서요.
랜 선 꽂은 상태에서 전원 버튼 누르면 안 켜집니다.
랜 선 뺀 상태에서 켜면 잘 켜집니다. 그 다음에 랜 선 꽂으면 인터넷도 잘 됩니다.
일단은 그렇게 하면 되니 그냥 그렇게 쓰라고는 해 두었는데요.
이런 경우 원인과 해결방법은 무엇인가요?

seojh1431의 이미지

학교 수업시간에 들었던건데..궁금해서요!! 소프트웨어 시스템이 복잡해진 이유가 이것고 관련 있을까요?

1980년 중반부터 후반까지 경쟁사였던 IBM사와 MS사는 공통된 운영체제를 만들고 있었는데

IBM사는 자기만의 운영체제 OS/2를 만들고 싶어 했고 MS사는 MS사만의 운영체제 윈도우즈를 계쏙 개발하려고 했었죠.

IBM은 hpfs를 사용했고, MS는 ntfs를 사용하면서 OS/2에서는 hpfs를 사용하면서 ntfs도 사용할 수 있게끔 용량을 남겨 놓았고

MS사는 ntfs를 사용하면서 hpfs도 사용할 수 있도록 용량 여분을 남겨 놓았죠. 제 생각은 두 경쟁사의 서로 다른 기술들이 섞여

한 운영체제로 스며들었기 때문에(무슨 운영체제를 같이 만들어냈는지는 모르겠네요 ㅡㅡ;)소프트웨어의 보안에 취약점이라던가...

시스템의 복잡도가 한층 더 강해지지 않았나..생각해봅니다.. 여러분들의 생각은요??

학교수업때 들었는데 틀린 내용도 있겠죠... 선배들의 조언이 필요합니다 ㅜ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