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vagabond20의 이미지

영어 표현 teaching new tricks to old dogs

자초지종 또는 일종의 투-머치-인포메이숑 (TMI)
- 30 년 넘게 C 프로그래머로 밥벌어먹고 살았습니다. 물론 중간에 합해서 2-3 년 자바프로그래머 한적도.
- 여차저차한 이유 (나중에 이야기하는것으로) 로 요즘기술 (앵귤러, 마리아디비, 파이썬, 자바, 빅데이타, 머신러닝) 을 사용하는 빅데이타엔지니어 자리로 부서를 옮기게 되었습니다. 9월 또는 늦어도 10월엔 그 부서로 자리를 옮깁니다. (업무이관 절차 시작했습니다.)
- 이곳 KLDP 에 가끔 들어오는 이유들중 하나가 요즘 기술동향을 알아보는것도 있었고,
벌써 10 년 넘게 자바쪽 소프트웨어 개발에 관심을 두고 이책 저책 우편주문 - 그러나 책들 첫부분만 벌써 6-7 회 보다말고 보다말고 반복하던 중이었고, 그나마 파이썬 책은 처음으로 반 넘게 두번 보며 따라 해 보았지요.
- 정말 감사하게도 제 옆자리에 있는 다른 부서 메니저가 저를 지켜보다가 내 의향을 듣고는 추천, 일사천리로 제가 원하던 일을 하는 부서로 가게 결정이 났습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vim] range설정하고 패턴 검색 후 action 취하기

우선 아래와 같은 파일이 있습니다.

  1 hello
  2 hi
  3 world
  4 good
  5 hello
  6 morning
  7 hello

앞에 숫자는 vim에서 set nu로 인해 표시된 행번호일뿐, 각 행은 시작은 알파벳입니다.

제가 하고 싶은것은, 현재 커서가 2열(hi)에 있을 때, 현재 열부터 6번 열까지에서 /^h/를 검색하여 일치를 하면 그 행의 첫 글자에 #을 삽입하고 싶습니다.

즉,

아래와 같은 결과가 제가 원하는 것입니다.

snu04038의 이미지

CentOS GID 기본값 관련 질문

CentOS에서 user를 생성하면 기본값으로 UID가 1000부터 적용되는데

/etc/default/useradd 에는 기본값으로 100이
/etc/login.defs 에는 GID의 최솟값이 1000으로 설정되어있는데

아무리 두 값을 변경해도 유저 생성시 GID가 1000번부터 시작하는데 어떠한 규칙이 있거나 저 두 파일 말고도
GID를 결정짓는 파일이 있나요?

ps1. [useradd -N] 옵션을 주면 GID가 [useradd]에 지정된 기본값 100으로 생성됩니다.
ps2. login.defs에서 최솟값은 500으로 설정해두어도 기본적으로 GID가 1000으로 생성됩니다. SYS_GID 값도 499로 줄였습니다.

사람의 이미지

아치 리눅스 관련 질문

sudo pacman -S xorg-server (gnome-extra)
라고 쓰니까 missing delimiter for 'g' glob qualifier 라고 뜨는데
어떻게 하면 될까요?

사람의 이미지

리눅스 관련 질문

CLI 환경에서 크롬같은 웹브라우저가 작동하나요?

awdxawdx101의 이미지

코드 커버리지

개발자분들 실제로 제품 개발하실 때 코드 커버리지를 높이기 위해서 퍼징이나 심볼릭 실행같은 것들을 하나요?

livey의 이미지

한대의 서버에 리눅스서버, 윈도우서버 구축 문의

남는 PC 가 있는데
여기에 우분투 또는 데비안을 설치하고

도커로 우분투서버 설치,
kvm 으로 윈도우서버2016 을 설치하여 두 서버os를 동시에 작동시키는게 가능한가요??

ssm9804의 이미지

임베디드시스템 궁금한점이 있습니다!!

현재 정보통신공학과 3학년입니다.
제가 전기전자회로 마이크로프로세서 이런 과목 한번도 안 들었봤는데요
이번에 임베디드시스템 들으면 어렵고 이해못할까요..?

bso_oo의 이미지

선배님들 서버 ssh접속 관련 문의 드립니다

사진은 /etc/ssh 파일들이구요
ssh접속시에 ll같은 명령어 치다보면 
ssh_exchange_identification: Connection closed by remote host
위와 같은 오류가 뜨면서 잘 안됩니다 , 다른분 말로는 원래 부터 문제가 있었던 서버라 ssh관련 설정 파일을 수정해도 다시 원상복귀한다고 하는데 
자꾸 접속시에 오락가락해서 어떻게 해야할지ㅜㅜㅜ

isanghan의 이미지

chown 으로 폴더 권한이 변경이 안되네요..

chown으로 NAS로 쓰고 있는 라즈베리파이 폴더의

권한을 일단 로그인 유저로 바꾸려고 하는데...

chown으로 해봐도 메세지도 안나오고 바뀌지도 않네요..

커맨드 포기하고 nautilus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해

nautilus로 바꾸려고 하니 유저리스트에

로그인 해서 쓰는 유저가 안들어가있네요??

뭔가 잘못한게 있는지 감이 안잡히는데..

따로 유저를 추가해야 하는건가요???

아니면 네트워크 공유된 폴더라서???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