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emptynote의 이미지

한분이 귀중한 시간 내어 찾아와 주었는데 ㅠ.ㅠ

베타 사이트라고 말을 햇는데도 불구하고

'ya' 라는 아이디를 쓰시는 분께서 방문하여 글을 적어주셨네요.

그런데 아이고 웹 같은 경우 충분한 테스트를 못했는데

역시나 첨부 파일 관련하여 파일명 못찾겠다고 다운로드 안되는 버그와

파라미터 제목 null 버그까정 있어서 긴급하게 수정을 했네요.

'ya' 님 덕에 버그 발견해서 이 자리 빌어서 'ya' 님께 감사 드립니다.

그런데 게시글 상세 화면 + 수정 화면 + 댓글 화면 이렇게 3개를 짬뽕 시키니

정신 사나와서 소스코드가 참 지저분해 지네요.

이걸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는 해법을 찾아 봐야겠습니다.

emptynote의 이미지

팀원 모시기 위한 최소한의 문서 끝낸 소감~

문서 만들기와 테스트 몸서리 치면서 오늘 끝냈네요.

정말이지 이게 몬가 현타 막 오네요.

http://www.sinnori.pe.kr/ 들어가 보시면

제가 만든 "코다" 에 대한 설명을 보실 수 있으실겁니다.

잘 설명을 했는지 모르겠습니다.

"2019 공개SW 컨트리뷰션 페스티벌" 에서 오픈소스로 사람들 모의려 한다면

문서를 통해 알려야 하는것이 중요하다고 말을 들어서

3가지 문서에 대해서 (1) 소개, (2) HowTo (3) API 를 우선적으로 작성했고

추가적으로 (4) ERD 와 (5) 의존성 정보도 함께 갱신하였습니다.

사실 문서를 작성하는데 썸머노트 덕을 많이 보았습니다.

썸머노트 사랑해요 ^.^

의존성 정보 문서를 작성하다 보니 수 많은 오픈 소스 라이브러리 도움을 받았네요.

이 자리 빌어 감사하고 있다는 말을 전하고 싶습니다.

emptynote의 이미지

썸머노트 아주 칭찬해~

이번에 썸머노트를 게시판에 붙였는데요.

와.. 사실 프린터 출력 부분이 없어서 워드라고 부를 수 없을뿐 대단하네요.

Howto 문서의 경우 웹을 통해 소개를 해 줄때 고민이 있었습니다.

단순 텍스트 문서로 할 경우 눈에 잘 안 들어옵니다.

이걸 보기 좋게 하겠다고 html 문서로 바꿀 경우

웹 브라우저에서는 이쁘게 보이지만

직접 html 파일 열어서 수정할때에는 내용에만 집중 못하게

태그포함한 쓰레 없는 문자들로 가득차 있지요.

그런데 썸머노트를 이용하다보니 이걸 한방에 해결해 주네요.

썸머노트가 HTML 위지워 에디터 이다 보니 내용 그 자체에 집중하게

도움을 주기때문에 너무 좋네요.

첨부 파일은 썸머노트 붙인 게시판에서 작성한 '코다 개발환경 howato 문서' 를 위한 글 일부분입니다.

썸머노트 정말로 칭찬합니다 *^.^*

세벌의 이미지

엠에스 윈도7 지원 종료

윈도10으로 갈아타세요. 라고 말하는 게 하나뿐인 답일까요?
리눅스로 갈아타세요. 라고 말하는 것도 하나의 답이 되었으면 하는데...
가족관계증명도 리눅스에서는 안 되나 봅니다.

jungmany의 이미지

CentOS yum 설치 오류

안녕하세요. 리눅스 초보자 입니다.

특정 패키지를 yum으로 설치하려 하는대, 자꾸 아래와 같은 오류 메시지가 나옵니다.

OS : CentOS 7
오류 : Failed to synchronize cache for repo 'epel' <-epel 패키지 설치 함

혹시 아시는 분 있으면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다운로드를 installer 로 하는이유 exe 바로 다운안하고

보통 대부분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로 직접하지 않고
installer 를 깔아서 installer 로 하는이유가 먼가요

바로 exe 주면 다운받으면 안되나요

왠지 안전성의 문제와 관련있는거 같은데
혹시 이유를 알려주실수 있나요

ywest1280의 이미지

소프트 재부팅 시 nvme 인식이 안됩니다.

콜드 부트시에는 lspci 와 dmesg에 nvme가 잘뜨는 데 재부팅 하면 바로 인식이 안되더군요.
BIOS 문제일까요? 참고로 노트북에 윈도우랑 아치 리눅스 듀얼 부팅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공유기 없이 망분리하는법

host 컴퓨터가 공인ip를 직접 받아 인터넷을 쓰고 있을 떄

vmware의 가상 컴퓨터들을 망분리 시켜서 dmz int존으로 나눌 수 있을까요?

공유기가 있다면 wan구간에 직접 대역을 넣어 제가 설정한 구간으로 dmz서버에 하나씩 ip를 분배하면 편하겠지만

제 윈10 컴퓨터가 공인ip를 먹고있어서 모든 통신이 제 host컴퓨터를 통과해야 할 것 같은데 그러려면 랜카드가 2개더 필요한거같은데..

혹시 다른 방법이 있을까요? 아니면 공유기를 무조건 꼽아야하나요?

emptynote의 이미지

API 문서 궁시렁 궁시렁~

아 정말 API 문서 작성중인데 죽겠네요.

변수/클래스 이름 하나 하나

설명과 일치하도록 고치면서 최선을 다해서 작성하지만

그러면 모하나 남들 한테 설명하고자 하는 건데 남들 생각 1도 모르는것을 ㅠ.ㅠ

gave의 이미지

광고글 남기고 다녀서 죄송했습니다.

좋은 사이트에 누를 끼쳐 죄송합니다.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