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koreakimchiklan의 이미지

우분투 로컬 설치 시 wifi 끊김 문제.

안녕하세요.
우분투 18.04를 로컬에다가 설치해서 사용하고자 합니다.
다른 문제는 다 없는데 인터넷이 간헐적으로 끊길 경우가 많습니다.
약 15-20초에 한번정도만 잡히고(더 길 수도 더 짧을 수도 있는데 평균적으로 이정도) wifi를 껐다 켜면 잠깐 잘 됩니다.
커널은 4.18을 사용중에 있으며, 여러 군데에 문의해본 결과
rfkill에 대해 문제가 있는 것 같으며, 무선랜칩 인텔 AC-9560에 대한 드라이버가 마땅히 없다(?)라는 답변도 들었습니다.
이를 위한 조치로 구글링을 통해, AVAHI_DAEMON_DETECT_LOCAL 값을 0으로 설정도 해봤으며, sudo apt update도 해봤습니다.
저 뿐만 아니라 저와 같은 기종의 랩탑을 이용하는 사람도 비슷한 증상을 호소하는데, 안그런 사람도 있긴 합니다.
아마 라우터/공유기 상에서 충돌이 일어나는거 아닌가 싶은거로 추정이 되는게, 저 혼자 사용하는 제 방의 공유기에서는 인터넷이 ㄱ끊기지 않습니다.
또한 윈도우로 사용할 당시에도 인터넷이 끊기지 않았습니다.

jee9894의 이미지

c드라이브에서 c로, c드라이브에서 d로 복사하는것에 차이가 있을까요?

같은 드라이브 내에서 복사하는것과 다른드라이브로의 복사에는 어떤 차이점이 있나요?

6Gelemen의 이미지

음...

일단 제가 말을 꺼내고 싶은 것은 포인터의 필요 유무입니다.
예를 들어 n1과n2의 값을 바꾸는 함수를 만드는 것에서
포인터를 사용하면 더 편하기야 하겠지만 return문이나 =연산자를
사용하는 것 만으로도 그예제를 만들수 있을것 같네요.
제가 그 예제를 만들어본 적은 없지만
java가 포인터가 없다는 점에서
C언어도 시스템 을 프로그래밍하는 것이 아닌 응용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에는
충분히 포인터를 쓰지 않아도 되지 않아도 될까 생각합니다.
제가 초보라서 잘 모를 수도 있으니
틀린 부분이 있으면 제가 잘 모르니 답글 달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grub으로만 부팅이 됩니다.

NVMe SSD에 Ubuntu 18.04를 직접 파티션을 설정하여 설치했는데
실수로 부팅 파티션을 따로 잡아주지 않아서 그런지, Ubuntu 16.04가 설치되어있던 SATA SSD에 부팅 파티션을 잡아 설치 한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18.04 설치 직후만 해도 SATA SSD가 부팅이 정상적으로 되었었는데..

그 뒤에 NVMe SSD에만 다시 Ubuntu 18.04를 설치하고,
SATA SSD를 다시 부팅하려하니 이제 grub으로만 부팅이 되고 정상적으로 부팅이 되지 않습니다.

제가 생각한 문제가 맞다면 boot 파티션을 지정해주고 kernel을 올리는 방법을 자세하게 설명해주실수 있나요..?

제발 도와주세요ㅠㅠ

세벌의 이미지

오픈소스 활용 및 도입 전략 컨퍼런스 다녀옴

2019. 7. 23. 오픈소스 활용 및 도입 전략 컨퍼런스
다녀왔네요.
개발자 입장에서는 무료 프로그램 잘 쓰면 된다
고 편하게 생각했으나
어려운 법적 문제가 많이 숨어있음을 느낌.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https://www.datanet.co.kr:447/news/articleView.html?idxno=135658

babbab의 이미지

컴퓨터를 즐기는분들께 주절이 주절이

컴퓨터를 즐길려면 프로그램잉 언어도 중요하지만 언어로 뭘 만들까도 중요합니다. 정보에 관련된거니까 정보처리에 관한걸 만들겠지요. 뭘 만들려면 정보에 관한거니 프로그램잉 언어보단 언어학에 관한 책을 읽어보셨으면 합니다. 한국어만이 정보를 전달하는 언어로 있는건만이 아닙니다. 다른 언어도 있습니다.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은 수도 없이 많지만 그중 몇가지만 간추린게 있지요. 그리고 정보를 전달하는 간단한 스스로의 언어를 만들수도 있습니다. 숫자와 언어에 관계를 얘기하는 책도 추천합니다. AND OR NOT XOR는 우리가 쓰는 언어에 뜻과 관계가 있지요. 0011010를 NOT을 하면 1100101이 되는게 우리언어로 무슨 뜻이 있지요. 그 뜻을 알려주는걸 프로그램화 한게 번역기라고 생각합니다. 컴퓨터는 정보 기계이니 언어가 중요하지요. 언어는 번역과 관계가 가깝고, 컴파일러 역시 번역기의 일종 입니다. 어떤 한 형식의 언어를 어셈블러 그리고 기계어로 번역해주는 정보,언어와 관계가 깊은 그 무엇입니다. 그리고 그래픽에 관한 프로그램을 만들고 싶다면 프로그램잉 언어보단 눈에 시각적 현상에 관한 정보의 책을 권합니다, 컴퓨터 책이 아니지요.

세벌의 이미지

데비안 기본 입력기로 nimf 들어가게?

https://gitlab.com/nimf-i18n/nimf
괜찮아 보이기는 한데...
ibus 가 기본이라 귀차니즘이 작용...

리눅스에 기본 입력기로 nimf 가 들어가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배포본 마다 다르다면 한 예를 들어 데비안 리눅스에 nimf 가 기본 입력기로 포함되게 하려면 어떤 절차를 거쳐야 하나요?

led7159의 이미지

질문 드립니다. 혹시 spvaccine 가 무엇인지 아시는 분 계신가요?

top - 10:30:48 up 483 days, 13:47, 1 user, load average: 0.08, 0.04, 0.04
Tasks: 118 total, 1 running, 117 sleeping, 0 stopped, 0 zombie
Cpu(s): 0.3%us, 0.2%sy, 0.0%ni, 99.3%id, 0.2%wa, 0.0%hi, 0.0%si, 0.0%st
Mem: 1024072k total, 787136k used, 236936k free, 13260k buffers
Swap: 4200988k total, 421648k used, 3779340k free, 288124k cached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Bind 9.14.4 Source 설치시 문제

안녕하세요.

OS : CentOS Linux release 7.6.1810 (Core) // Bind : BIND 9.14.4 (Stable Release)

최근 bind 버전을 업그레이드 하기 위해 테스트를 하던 도중 /etc/named.conf에서 ipv6 기능이 disable 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Jul 18 22:21:01 localhost.localdomain named[102081]: network unreachable resolving './NS/IN': 2001:500:12::d0d#53
Jul 18 22:21:01 localhost.localdomain named[102081]: network unreachable resolving './DNSKEY/IN': 2001:503:ba3e::2:30#53
Jul 18 22:21:01 localhost.localdomain named[102081]: network unreachable resolving './NS/IN': 2001:503:ba3e::2:30#53

DongWook Lee@GitHub의 이미지

자작언어 ClauText 소개

안녕하세요 자작언어인 ClauText를 간단히 소개하려 합니다(많이부족하지만요)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