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eoen2eoen의 이미지

전자기기 LAN, WAN 속도 측정을 하고 픈데요..

어디에 질문을 올려야될지 모르겠어서 일단 여기에..올려봅니다..

iperf를 이용해보려 하는데 잘 안되서..

일단 말씀드린 전자기기는 리눅스 기반 전화기 입니다.

사용법은 대충 알겠는데, 뉴비라 그런지 서버와 클라이언트 개념이 잘 안잡혀서

질문 두가지만 해볼까 합니다 ㅠ

1. 전화기에 iperf를 설치한 상태인데, 전화기의 LAN, WAN 포트 속도측정이면 전화기가 Client가 되는건가요?

2. 측정을 할때 LAN은 어떻게 설정해보겟는데, WAN 설정하는 법을 모르겠습니다 ㅠㅠ 찾아봐도 찾기가 힘들어서..
혹시 관련 문서나 좀 알려주실수 있는 분 계신가요..

너무 초보적 질문이라 죄송합니다. 아무리 찾아봐도 내용파악이 잘 안되서 염치불구하고 질문 올려요 ㅠ

xAe@Naver의 이미지

C언어 컴파일러/ide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뭔가 만든다기보다는 c언어 공부용으로 환경 구성을 해보려고 합니다.
비주얼 스튜디오가 편리한 면에서(개인차는 있으려나요)는 좋다고 하는데
완벽하게 C쪽이 아니라는 이야기가 있더라구요. 그래서 환경을 따로 구성해줄까 해서 찾아보던 중에 몇가지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1. mingw / gcc / 코드소서리의 차이가 어떻게 되나요?
2. 이클립스와 코드블럭중에는 어느쪽이 더 편하다고 생각하시나요?

이수진@Facebook의 이미지

마운트(mount)하려고 하는데 dev에 sda1가 없습니다..

비글본블랙에 lcd를 연결하여 기본적인 구동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am335x-boneblack.dtb가 없어서 다운받고 마운트 하는 과정에서
해결하기 위해
https://www.element14.com/community/community/designcenter/single-board-computers/next-gen_beaglebone/blog/2015/05/20/beaglebone-black-with-the-bbview-and-the-new-beaglebone-debian-image
위의 주소를 참고하여 해결하던 중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cmake로 라이브러리 컴파일하고 있는데 오류가나네요...

깃허브에 올라와있는 라이브러리 컴파일 중인데 오류가나네요
비주얼스튜디오는 2017 커뮤니티 버전이구요

나와있는대로 컴파일하면 "LINK : fatal error LNK1104: 'LIBCMT.lib' 파일을 열 수 없습니다." 오류가 나면서
컴파일이 제대로 안되네요.. 검색해보니 WDK를 설치되어있으면 include디렉토리 옵션이 무시된다고 하는데...
이걸 어떻게 해결해야할지 모르겠네요.. 혹시 이 문제 해결하신 분 계신가요??

shint의 이미지

좌표를 사용한 색상 압축 구현 - 궁상





 

 

 

X Y 좌표'하나만 지정해 주면. 다양한 색상과 문양'이 생성 가능할거 같다.

- Tesseract 정팔포체

- DirectX SDK 의 3D 예제

- 문자표

 

 

C 언어에서 4 ~ 8 Byte 포인터 주소'에.

모든 객체 (데이터) 를 연결 할 수 있는것과 같다.

 

 

Whi  Kwon@Facebook의 이미지

딥러닝 스터디를 모집합니다.

안녕하세요 딥러닝에 대해 깊게 공부하고자 스터디를 만들고 인원을 모집하려 합니다.
보시고 관심있으신 분들은 연락주세요.
연락주실 때 간단한 자기소개와 딥러닝 공부의 목적 정도만 보내주시면 될 듯합니다.

스터디 세부 분야는 현재 미정이며 모인 인원의 의견을 수렴해서 진행할 예정입니다.
(아마도 이미지나 자연어 처리 쪽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논문 학습의 순서는 최근 연구 분야와 관련이 있는 대표적인 과거 논문부터 현재 내용까지 흐름을 보면서
필요한 내용과 방향에 대해서 깊게 볼 예정입니다.

parkon의 이미지

리눅스(SSD) + 윈도우(HDD) 멀티부팅 ?

안녕하세요,

SSD와 HDD를 같이 가진 pc를 한대 맞출 생각인데요,

평소에 리눅스(우분투)를 주로 사용하고, 가끔씩 문서 작업할 때만 윈도우 사용할텐데
멀티 부팅 구성을 어떻게 해야 할지 아리까리 하네요.

윈도우는 가끔씩만 사용하니까 hdd에 설치하는게 더 나을것 같은데
인터넷에서는 주로 윈도우를 ssd에, 리눅스를 hdd에 까는 것만 설명이 나와 있네요.

SSD 용량이 아깝긴 하지만 SSD에 윈도우와 리눅스 둘 다 설치하고 멀티부팅 하는게 나을까요,
아니면 SSD에는 리눅스를, hdd에는 윈도우를 별 어려움 없이 깔 수 있나요 ?

혹시 후자가 가능하면 팁이나, 설명 잘 되어 곳 링크 부탁드립니다.

adzoo의 이미지

Modern C++ Design 번역본 가지고 계신분 있으시나요?


현재 원서로 보고 있는데 너무 진도가 느려서... 번역본을 구하고 싶습니다.

현재 Yes24에 올라온 중고가가 10만원이 넘어서...

저 책을 가지고 계신 분들 중, 쓸모가 없거나 팔 생각이 있으신분들 계시나요?

저 가격보단 낮게 사고 싶습니다.

답변이나 adzo@naver.com 메일 부탁드릴게요.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