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dorajistyle의 이미지

와인(wine)에서 한글 입력을 하려면 어찌 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리눅스 뉴비입니다.
2013년을 맞이하여 MS진영에서 벗어나보려고,
OS를 리눅스로 새로 깔았습니다.
리눅스를 주 OS로 써보기는 처음인데요.
그래서인지 영 생소하네요.^^;
Manjaro(Arch)를 설치했고,
하루종일 여러가지 IM을 깔아봤습니다.
그중 가장 잘 작동하는게 UIM이더군요.
'이제 되었다!'
싶었는데...
와인(wine)에선 한글 입력이 전혀 되지 않습니다.

구글에게 물어도 이렇다 할 답을 주지 않네요.ㅠㅠ
export lang=ko_kr.utf-8
export lc_all=ko_kr.utf-8
wine notepad
를 하면 메뉴는 한글로 나오는데 한글 입력은 되지 않습니다.

레지스트리에서
UseXIM = N
바꿔보아도 한글 입력이 되지 않습니다.

한영키나, shift+space,ctrl+space등 무얼 눌러도 한글이 안나옵니다.

gnujina의 이미지

타과에서 컴공(전산) 대학원 가신 분들 계신가요?

안녕하세요
전 수학과 학생인데 타대학 컴공 대학원 준비하려고 합니다

원래 복수전공을 하려고 했는데

자꾸 주전공 시간이랑 컴푸터과목 시간이랑 겹쳐서 복수전공은 못하겠네요

몇 과목 못듣고 전기 지원해야 하는데 걱정이 되네요

보통 몇과목 정도 듣고 진학하셨나요?(과목들 이름도 좀 알려주시면 감사..)

저는 아마 자료구조, 알고리즘, OS, PL, 컴파일러 이정도 들을 것 같은데요

5과목 듣고 대학원 지원하면 당연히 안 되려나요???

아니면 타전공자인만큼 수학/통계적 지식을 감안해서 알아서 참작해주시는지..궁금합니다

wiiji의 이미지

입출력 버퍼 관리에 대해서 질문 하나 받아주세요!!

우선 적절한 포럼에 글을 남긴게 맞는지 걱정스럽네요;;
혹시 아니더라도 양해를 부탁드려요!

제가 공룡책이라 불리는 운영체제 개념서를 공부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공룡책 ppt를 보면 파일 시스템의 계층 구조를 설명하면서 기본 파일 시스템 단계에서 버퍼 관리(할당, 해제 등)을 한다고 적혀있더군요...
일단 그런가보다 싶어서 넘어갔는데, 나중에 전반적인 입출력 과정에 대한 설명이 나오는데요,,, 그 과정에서는 이상하게 장치 드라이버가 버퍼를 할당한다고 나오네요..
사실 드라이버가 버퍼 할당을 하는 것이 맞는 것 같은데, 어쨌든 파일 입출력도 입출력의 한 갈래이니까 분명히 파일 시스템의 경우에도 파일 시스템 내에서 버퍼 관리 기능이 포함되지 않아야하는게 아닌가 싶네요;;
혹시 다른 이유에서 파일 시스템만 특별히 다른 입출력 경우와 다르게 미리 파일 시스템 구조 내에서 버퍼 관리를 해야만 하는 이유라도 있는건가요???
여러 유닉스 구조 책을 봐도 버퍼 관리를 수행하는 주체적인 커널 부분이 나오지 않아서 답답하네요..
아시는 분 설명좀 부탁드려요 ^^;;

nhprogram의 이미지

CentOS 버전 업그레이드 질문입니다.

서버 한대를 구매했는데요.
메인보드가 s1200btl입니다.

CentOS 6.3버전을 설치하려고 하는데,
그거담긴 USB만 넣고 부팅하면
missing Operating System 이런식으로 뜨더라구요.

찾아보니 bios버전 문제라는데, bios건드리는것보다는 낮은버전에서 높은버전 업그레이드 하는게 좋을것같아서
5.9버전을 설치했습니다.

6.3버전으로 올릴라면 어떻게해야되니요..

jeong1124의 이미지

시스템 프로그래머로서 진로를 결정하고 싶습니다.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대기업 IT회사에서 2년차 된 사원입니다. ( 다닌지는 1년 2개월 넘었습니다.)

현재는 웹 기반 솔루션 유지보수 및 개발 업무를 맡고 있으나, 이직을 고려중입니다.
아니, 재취업이라고 해야 옳겠군요. 업종변경을 희망하고 준비중입니다.

제가 원하는 분야는 시스템 또는 임베디드 프로그래머 입니다.
다만 이쪽 업종 신입으로 취업하기 위해서는 어떤 준비를 해야할지, 회사는 어떻게 찾아야 할지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죠.

생각은 많지만 아직은 뜬구름만 잡는것 같습니다.
진로를 결정하기 위해 많은 정보가 필요할 것 같네요.
이쪽에서 일하시는 분들의 경험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취업과정과 회사에서 하는 업무 등 업종에 관한 많은 정보 부탁드립니다.

염치 없는 질문 내용이었지만, 정보가 없어서 저러는구나 생각하시고 많은 도움 주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_ _)

Necromancer의 이미지

wacom bamboo 완벽지원은 아니네요.

지난주부터 왼손 손가락이 저려서 병원 갔더니 손목터널증후군이라고 하네요. 헐
오른손잡이인데 마우스는 그동안 일부러 왼손으로 잡았습니다. 아마도 이때문인듯

그래서 태블릿을 샀습니다. 모델이 wacom bamboo cth-470
제가 말한 태블릿은 태블릿 pc 말구 디자이너들이 주로 쓰는 마우스대신 사용되는 펜을 이용한 입력장치입니다.
포토샵 같은 프로그램 열고 그림 직접 그릴때 많이 쓰는 도구. 값도 꽤 나가더군요.

손목 꺾을 일이 없으니 자세만 주의하면 손이 꽤 편해지긴 합니다.
하지만 사용법이 마우스와 달라서 적응하는데 한동안 애먹을듯 합니다. 마우스나 노트북 터치패드와 달리 펜이 패드 위에 올라가면 포인터가 절대좌표로 이동해버립니다.

근데 이 제품이 웃긴게 리눅스에서 처음 꽂으면 작동 안합니다.
윈도우에 먼저 꽂아서 드라이버 깔고 설정한 다음에 리눅스에 꽂아야 작동되더군요. 헐

이거 때문에 한참 해맸습니다.

이제 다시 오른손잡이로 돌아가야 할 듯 합니다.

westporch의 이미지

모니위키에서 사용자 계정파일 설정

제 노트북에 모니위키를 설치해서 테스트해보던 중 궁금한 점이 생겼습니다.

아래와 같이
/var/www/moniwiki/data/user 디렉토리에 westporch란 계정 정보가 있습니다.

-------------------------------------------------------------------
root@localhost:/var/www/moniwiki/data/user# ls -l
합계 4
-rw-r--r-- 1 www-data www-data 248 2013-02-23 13:09 wu-westporch

-------------------------------------------------------------------

문제는..
http://localhost/moniwiki/data/user/wu-westporch
위 주소로 접속하면 해당 계정의 정보가 출력됩니다.

jichun의 이미지

가상서버 호스팅에서의 도메인 연결

카페24에서 가상서버 호스팅을 쓰고 있는데요
구입한 도메인 네임서버를 일단 카페24로 잡아두었는데
도메인의 네임서버를 가상서버 ip로 연결해야하는걸까요

httpd.conf를 아래와 같이 추가하였는데도 안되네요...

NameVirtualHost *

ServerName cafe24id.cafe24.com
ServerAlias *.cafe24id.cafe24.com
DocumentRoot "/var/www/html/"

NameVirtualHost *

ServerName *.mydonmain.com
ServerAlias *.mydomain.com
DocumentRoot "/home/mydomain/public_html"

cleansugar의 이미지

여성 해커 김슬기님 근황이 궁금합니다

김슬기님 여성 해커이신 듯 합니다.
http://blog.naver.com/PostList.nhn?blogId=llove94&from=postList&categoryNo=22

기사에도 나오신 적이 있구요.

이분 어떤 분인지, 요즘 뭐하고 지내시는 지 궁금하군요.

http://hack-me.org

운영자신데, 얼굴마담은 아니겠죠?

star16m의 이미지

NAS 구축 관련 문의

안녕하세요

제목처럼 집에 NAS 구축을 하다가 뜻하지 않은 여러 난관이 있어 질문 드립니다.

NAS PC : MINIX D2700 HD(HD:1T, MEMORY:4G)
무선 공유: Buffalo (정확한 모델명은 모름)

기존에는 노트북과 아이팟으로 무선공유만 썼는데
NAS 구축을 해볼까 하다가 위 모델로 구입을 해서 OS 는 CentOS(5) 를 깔았습니다.
문제는 무선공유기가 80 포트를 먹어버리는 현상이 있더라고요(버팔로 특유)
거기다 제 설정문제인지 다른 포트도 포트포워딩이 제대로 안 되더라고요
이 문제가 인터넷업체에서 막아버린 것인지 테스트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1)

일단은 외부 공개는 안된 상태에서 SAMBA 와 AIR VIDEO 등만 해놓고
거의 터질지경이 된 노트북의 자료를 일부 NAS 에 옮겨 놓고
사용하고 있는 중입니다.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