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HDNua의 이미지

Windows와 Linux를 멀티부팅할 때 Windows에서 드라이브를 두 개 사용하고 싶습니다.

512GB 하드 디스크를 150(Windows C), 250(Windows D), Rest(Linux)로 파티션을 나누어 사용하려고 합니다.
그런데 집에 있는 리눅스 서적을 참고했더니 다음과 같은 구문이 있더군요.

"Windows와 Linux를 멀티 부팅하는 경우에는 Windows를 단일 C 파티션으로 구성하는 게 좋다.
일반적인 윈도우 운영체제 컴퓨터는 C 영역을 운영체제, D 영역을 백업 또는 자료 보관용 공간으로 사용하는데,
이런 시스템은 대개 C 영역이 주파티션, D 영역이 확장 파티션 내부의 논리 파티션 형태로 분할되어있다.
만일 Windows에서 만든 확장 파티션을 삭제하지 않은 채 논리 파티션만 지운 뒤 리눅스를 설치한다면,
Windows 시스템이 확장 파티션 내부의 Linux 파티션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게 되어 알 수 없는 형식의
파티션을 읽어 들이는 데 많은 시간이 걸리게 되어 결과적으로 시스템을 느려지게 한다."

사용하려고 하는 Linux 배포판은 Ubuntu인데, 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bhhiphop의 이미지

리눅스 부팅 시 물고 들어오는 버스의 순서 변경이 가능 한지요?

안녕하세요.

RHEL을 사용하는 유저입니다.
제목에서도 기제 하였듯이 RHEL 부팅 시 물고들어오는 I/O버스의 시퀀스의 변경이 가능 한지요?
예를 들어 BUS1에 USB 1, 2가 물려 있고 BUS2에 USB 3,4가 물려 있는데요.
여기서 BUS2를 BUS2보다 먼저 인식되도록 하고 싶습니다.

혹, 이 방법이 있다면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세벌의 이미지

editix 2008

editix 2008 을 엠에스 윈도에 설치.
run.bat 실행했더니...
Starting Editx-6.2 다음에

Can't find plugin directory
Cannot find CatalogManager.properties

라고 나오네요. 일단 실행은 되긴 하는데 위 내용이 뭔지, 해결방법은 뭔지 궁금합니다.
leecard의 이미지

우분투를 이용한 nas 설정...... 선배님들 도와주세요

ds1512+를 구입하려다가 잠시 보류하고 n40l을 구입후 리눅스로 nas로 만들어 볼까합니다.

os는 우분투 12.10lts 서버입니다.

테스트로 vm에서 설정을해보고 있습니다

samba를 이용해서 몇명의 사용자 만들고

공유하는데 까지는 성공했습니다.

아래 설정보면 pub는 모든 사용자가 사용가능하고 나머지는 각각 사용자만 사용이 가능합니다.

제대로 된건지 모르겠지만 잘 되더라구요

질문1

특정사용자를 지정해서 이 사용자는 모든 사용자의 공유폴더를 수정,삭제,생성이 가능하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질문2.

우분투에서 절전 모드가 가능할까요? 장시간 사용안할시 hdd를 잠시 끄고있다가 nas로 접속하는 사용자가 있으면 바로 다시 시작되는 기능?

raymundo의 이미지

git 에서, 특정한 변경 내역만 한쪽 저장소에만 유효하게 두고 싶은데...

전에 git 책 하나(pro git 번역)를 볼 때는 이것저것 알 것 같았는데 막상 실전에 쓰려니 여전히 어렵군요.
(인간적으로 git는 너무 옵션이나 개별 명령이 많고 복잡하지 않나라는 생각도...)

상황은 이렇습니다.

리눅스 서버에서 사용하는 펄 스크립트들이 저장소 하나에 있습니다. (저장소 이름이 linux라고 하죠)

이 중에 집의 윈도우에서 쓸만한 것들도 있는데, 그냥 복사하면 나중에 수정할 때 일관성이 없어서,
저 저장소를 통채로 clone 명령어로 가져왔습니다. (편의상 저장소 이름을 win이라고 하면)

그런데 스크립트 내용 일부는 윈도우에서 쓰려면 고쳐야 합니다. ("/home/raymundo" 를 "D:/work"로 고치는 등)

saelly의 이미지

우분투 USB 설치 시... 도움 요청합니다..

최근에 질문을 많이 올렸는데 또 질문을 올리게되어서 민망하기 짝이 없네요 ..ㅜ.ㅡ
하지만, 제가 아는 모든 방법을 동원했는데도 문제가 해결되지를 않아 이렇게 질문을 올립니다.

질문 요점:
1. sda(120GB) Intel SSD (윈도우 설치되어있음)
2. sdb(1000GB) HDD 여기에다가 우분투 설치할 예정.

3. 우분투 12.04 ISO 파일을 받아서 USB로 구웠습니다. USB로 부팅할 것이기 때문.
(Universal-USB-Installer, UltraISO 로 모두 다 해보았음)

4. BIOS에 가서 SSD때문에 ACHI모드로 되어있는 것을 IDE로 바꿈. ( 조금 알아보니 IDE로 바꿔서 우분투를 설치하라고 하던데, 맞는지는 잘 모르겠음. 일단 ACHI모드로도 해보고, IDE모드로도 해 보았으나 둘 다 똑같이 다 안됨)

5. BISO에 가서 첫 번째 부팅을 USB로 바꿈.

thjung99의 이미지

드루팔에서 한글명 파일업로드시 오류 해결방안 문의

안녕하세요.

드루팔(Drupal, 오픈소스 CMS)로 사이트를 만들고 있는데,
첨부파일명이 한글인 경우에 업로드가 안되고 에러나 나고 있습니다.

구글링, kldp.org 사이트 검색 등 여러가지를 해 보았으나 명확한 해결책이 없는 것 같습니다.
"드루팔 사용하기"라는 책을 쓰신 분에게도 문의해 보았는데,
한글명을 영문으로 바꾸는(ex:학교 ==> hakgyo) module이 해결책 일것 같다 답변을 해 주셨고... ㅠㅠㅠㅠ,
한글명 파일을 완벽히 올리는 해결책을 아직도 못찾았습니다.

그런데 여기 사이트는 파일명이 한글이어도 잘 첨부가 되네요.
혹시 해결책을 아시는 분 알려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cleansugar의 이미지

지리좌표로 사상이나 감정을 표현할 수도 있습니다

지피에스같은 지리좌표로 지리 좌표 뿐 아니라 사상, 느낌 등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광주민주화운동 기념관, 놀이공원, 묘지, 바다, 산, 지피에스, 휴전선 등 좌표로 이런 걸 표현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만들면 유용할 것입니다.

시간축, 연표도 역시 지리좌표처럼 사상과 느낌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GMRyuj의 이미지

[질문] 홈페이지가 작동중인 상태에서 정지를 안하고 DB백업을 하면 홈페이지가 날아가나요??

요세 서버 구축에 골머리를 앓고있는데..

DB 백업을 하던중 문득 이런생각이 떠올랐습니다.

홈페이지가 작동중인 상태에서 정지를 안하고 DB백업을 하면 홈페이지가 날아가나요??

.. 답변기다리겠습니다

scan15g의 이미지

CentOS 에서 yum으로 설치한 gcc 버젼이 구버젼이라서 새버젼을 설치하려는데...

이미 yum 으로 설치한 gcc를 비롯한 gmp, mpc, mpfr등의 필수 개발용 프로그램을 더 높은 버젼으로 바꾸고 싶은데요.
yum에서 gcc,mpfr,gmp를 제거하려고 하자 yum 자체에 프로텍트가 걸려 지울 수가 없었습니다.

또 gcc 없는 상태에서 최신의 gmp,mpfr,mpc를 다운받아서 빌드하려면 또 gcc가 필요하다고 하구요...

그래서 그냥 기존 버젼이 있는 상태에서 최신 버젼을 깔아버리니까 각종 프로그램들이 컴파일 할때 이버젼 저버젼의 라이브러리를 섞어쓰는 등 문제가발생합니다....

기존 버젼을 삭제하는것도 안되고, 그냥 빌드해서 설치하면 yum의 의존성 목록에도 추가가안되고, 라이브러리를 구버젼으로 사용해버리는 프로그램도있고...

어떻게 깔끔하게 최신버젼의 gcc, gmp, mpfr, mpc프로그램을 사용할 수있을까요..?

리눅스에 문외한이라 이렇게 질문을 드립니다...ㅠㅜ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