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mit-lab의 이미지

Gentoo에서 디렉토리 리스트가 이상하게 보이는 현상

젠투 사용자 인데 얼마전 업그레이드 (emerge --sync , emerge -uDNv world) 하고 나서 부터

$ ls -al 하면 "irectorym" 이라는 문자가 먼저 보이고 뒤에 실제 파일명이 보입니다.

왜 그런지 모르겠네요.

혹시 젠투 쓰시는분들 이런 증상업나요?

첨부에 화면 캡처 올립니다.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

georgek의 이미지

MIPS관련 address 궁금한게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요즘 MIPS관련 공부를하고있는데요. 구글링을 하다보니
32 bit quantities in MIPS must be stored in memory at word-aligned address.라는 말과
the PC(Program Counter),which stores addresses of instructions must hold a word aligned address. 라는 설명을 보았습니다.

지금 이해가안되는것이 다음과 같습니다.

alwaysN00b의 이미지

일반 디스크와 NAND flash 에서 ext4 를 사용할때 차이점

안녕하세요. 프로그래밍 Q&A에 올릴려다가 프로그램은 아닌것 같아 여기에 질문 올립니다.

최근에 폰은 바꾸면서 심심해서 파일시스템을 봤는데 ext4를 사용하더군요. yaffs 같은걸 쓸줄 알았는데 , 찾아보니 2010년에 결정되었더군요 ㅋ 그동안 너무 무관심 했었네요..

그래서, 혹시 NAND flash에서 ext4를 쓰면 FTL 때문에 분명 기존 데이터가 덮어씌워지는 시간차이가 일반디스크보다 훨씬 길게 날텐데 하는 생각에...

눈으로 확인해 보고 싶어졌습니다. ㅋ

그래서.. 질문 입니다. 일반 디스크에서 NAND flash 처럼 시뮬레이션 할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예를 들어 vm으로 우분투박스에서 1기가 하드디스크와 1기가 flash 디스크를 만들어 비슷한 파일들을 쓰고 지웠을때 차이점을 눈으로 보고싶거든요.

한 디렉토리에서 파일을 쓰고 지우거나, 덮어 씌울때 flash에서 복구 확률이 훨씬 높을것 같은데...

janues의 이미지

raid 또는 lvm으로 2테라 바이트 가능할까요?

회사에 32비트 제온cpu가 탑재된 피시가 하나 남는게 있어서 거기에
centos 6.3 을 설치하고 백업용 서버를 구성할까 합니다.
디스크는 os 설치용으로 500 GB짜리 디스크 하나, raid 또는 lvm 용으로
1테라 바이트 짜리 3개를 사용할까 합니다.

- 구성 -
OS 설치 : 500 GB
backup : 1000 GB * 3
mysql 백업 데이터를 저장하려고 합니다.
- -

회사에서는 장비 구매는 안되고 기존에 있는 장비를 활용해서 구축하라고 하는데....

문제는 lvm이나 raid 5 로 작업시 2테라가 넘으면 인식이 안되는 걸로 알고 있는데
제가 잘못 알고 있는지 또는 구축 해보신 경험이 있으신분 있으면 조언 부탁드립니다.

kophoenix3의 이미지

usb 마운트 안됩니다.

PE_GHOST을(를) 마운트 할 수 없습니다
Error mounting: mount exited with exit code 1: helper failer with:
mount: I could not determine the filesystem tyep, and none was specifed.

데비안을 켠 상태에서, usb를 연결하면,
정상일 때에는 자동으로 마운트 되는데요,
지금은 위와같은 에러 메시지를 내면서 마운트가 안됩니다.

이 일이 있기전에 데비안에서 usb로 'windows 7'을 설치하기 위한 작업을 하고 있었습니다.

$dd if=win.iso of=/dev/sdb

위의 명령을 내리고, 30분 이상 지나도 변화가 없길래,
강제로 터미널을 닫았습니다.

그 후에 fdisk 등으로 usb를 ntfs 파일 시스템으로 포멧을 여러 차례 시도했습니다.

어떻게 해야 usb를 정상적으로 인식하게 할 수 있을까요?

ritzws의 이미지

[이벤트] kt ucloud biz 6개월 무료~

KT의 ucloud biz를 스타트업에게 6개월간 무상제공한다네요.

필요하신 분은 이용하시면 좋을 듯

www.demoday.co.kr/event/kt

chatae3의 이미지

vmware에다 페도라11을 깔고있는중인데요..

계속 이렇게 뜨고 다음으로 넘어가지를 않습니다.
어디서 잘못되었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mandumiju의 이미지

리눅스 php 공부 시작하는 왕초보입니다. 질문이 있어서요!

php공부도 할겸 리눅스 환경에서 개인 홈페이지를 만들어 볼까합니다.
그래서 지금 호스팅을 알아보고 있는데요. 연습용이라 무료호스팅을 이용할까 합니다.
지금 알아본 곳은
카페24, 나누미넷, 미리내, 닷홈 이렇게 알아보았는데요.

근데 카페24는 설치비 주고 월 사용료를 500원 내는 대신에 용량이 다른데 비해서 많구요.

나누미넷은 설치비만 내면 월 사용료 없이 카페24 보다 용량을 많이 주구요.

미리내 하고 닷홈은 설치비, 월 사용료 다 없이 완전 무료이긴한데 용량이.. 너무 적더라구요..

어떤게 적합할까요?? 추천 부탁드려요!

kophoenix3의 이미지

데비안 grub2 비밀번호로 보호하기

인터넷에 찾아보고, 여기에 검색해도 잘 모르겠습니다.
어떤 홈페이지에는

grub-mkpasswd-pbkdf2
를 실행해서, 비밀번호를 복사하고나서,

/etc/grub.d/40_custom
파일을

set superusers="root"
password_pbkdf2 root
...비밀번호 복사하여 넣기...

update-grub2

위의 순서대로 하라고 나오던데요,
저는 안되었습니다.

그럽 초기화면에서, e 키를 누르면
비밀번호를 입력하라고 나와야 되는데요,
잘 안되네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harue6805의 이미지

유무선 공유기 서버 관련 질문입니다..

초보라 질문자체가 이상할지도 모르겠네요..

제가 지금 유무선공유기를 통하여 openwrt 펌웨어를 설치 하였고, 이후 서버를 통하여 유무선 공유기 wi-fi접속자 수를 확인하는 작업을 하려고 합니다.

그래서 말인데요..

단순 호스트 PC에서 유무선 공유기 접속자 수 파악하려고 하는데 쓸 서버좀 조언 부탁드립니다.

.. 그리구 정말 리눅스 초보라 그런데 서버 코드나 클라이언트 코드를 어디다 넣는지 부탁드립니다..(좀 쉽게 자세히 설명 해주시면 정말 고맙겠습니다ㅠ)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