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yoyo13124의 이미지

Linux Server 관련 몇가지 질문좀 드리겠습니다.

우선 양해 말씀 드리겠습니다.

Linux Server관련 공부 하고 있는 사람입니다..

혼자 공부하다 너무 힘들어 이렇게 질문 좀 드려도 되까요?

1. 서버의 응답이 느린경우 어떻게 원인을 찾나요?

2. IPMI 1.5와 2.0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어떻게 다른가요? 또는 언제 사용 하나요?

3. DNS의 못적과 DNS쿼리 프로세스가 뭔가요??

4. 50000개의 포트가 켜져있고 꺼져있는지 실시간으로 어떻게 확인하나요(명령어와 툴을 사용할 수 있고, Windouws 및 Linux 시스템의 서비스 포트를

확인 설명)?

5. 만약 Linux에 100GB 파일과 폴더가 있는경우 Windows 컴퓨터(약 200서버)에 짧은시간 안에 어떤 단계로 동기화 하나요??

6. Linux HA 의 아키텍처와 관련기능이 어떻게 되나요(그림으로 설명좀...)??

7. Linux LVS의 구조와 기능이 어떻게 되나요(그림으로 설명좀..)?

ngh1262의 이미지

리눅스 파일서버 관련 질문드립니다

기본적으로 삼바서버를 이용해 파일서버를 구축하여 쓰고 있습니다.

유저들은 윈도우 탐색기를 이용해 파일을 끌어다 쓰고 있는 중입니다.

근데 이게 속도가 잘 나오지 않고 있어서 (스토리지에서 한번 불러들이는데 기본 1기가인데 속도는 10메가를 넘지못함)

FTP서버를 따로 구축해서 쓰려 합니다.

다른 서버에 FTP 서버를 구축해서 혹시나 하여 속도 테스트를 해보는데 별 차이가 안나는데

혹시나 다른분들은 어떠신지 해서 여쭈어 봅니다.

evh0106의 이미지

wxWidget 릴리스 모드 빌드시 OS별 실행 문제가 발생하였습니다.

안녕하세요 요즘 wxWidget을 활용해 보려고 이것저것 테스트 중입니다.
예제 프로젝트를 빌드해 실행 테스트 하는 도중 문제점을 발견 하였습니다.

개발 환경은
Window7 , mingw(4.7.2), wxwidget(2.9.4), CodeBlocks(12.11)

디버그 모드로 빌드를 하고 테스트 할때에는

Window7(실행잘됨. exe실행속도 빠름)
WindowXP(실행잘됨. exe실행속도 느림)
Window2000(실행잘됨. exe실행속도 느림)

이정도로 나왔는데요. 어찌되었건 실행은 잘 되었습니다.

하지만 릴리스 모드로 할때 이상한 결과가 나왔는데요.

Window7(실행잘됨. exe실행속도 느림)
WindowXP(실행안됨)
Window2000(실행안됨)

실행이 안되는 현상은. 작업관리자에서 프로세스는 올라왔으나
CPU점유율이 높아지기만 하고 화면이 보이지 않습니다.

yhur의 이미지

iptables로 twinip구성하는 법을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Linux로 몇가지 실험을 하고 있습니다.

iptime이나 몇회사에서 나온 공유기에 보면, WAN주소를 내부 PC중에 하나가 그대로 받아 쓰는
TWINIP라는 기능이 있는데, 이걸 iptables와 수작업으로 구현 할수 있는지요?

감사합니다.

cleansugar의 이미지

신문사가 쓰기 좋을 cms 추천해주세요

신문사가 쓰기 좋을 cms나 신문사 사이트 추천해주세요.

워드프레스, 제로보드 등 유명한 거 말고요.

neuron의 이미지

개인용 위키와 버전관리 툴 선택에 관한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

최근 펀투/젠투 리눅스 설치를 준비하면서, 동시에 잠시 쉬었던 8-bit AVR 삽질도 같이 시동을 걸고 있습니다.
그런데 예전에 열심히 검색해서 공부하고 적용했던 문제들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잊어버리거나, 변질되는(기억이 틀린) 경우가 많네요.

그래서 개인적인 문서화와 정보 관리와 버전 관리가 필요한걸 깨달았습니다.

이 세가지 화두를 로컬에서 통합적으로 해결할 방법이 뭐가 있을까요?

초보의 우매한 질문이라 죄송하지만, 우문현답을 부탁드리겠습니다!

hutbaram의 이미지

오픈소스 솔루션(Linux, Xen, iscsi) 설치/설정 인력/회사 추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리눅스를 비롯하여, XEN, iSCSI 등등 오픈소스 솔루션들을 서버 장비에 구축하는 작은 프로젝트가 있습니다.
저희는 구축한 솔루션 위에 SW를 개발하고자 하는데, 설치/설정/기본관리할 인력/회사를 찾고 있습니다.

- Linux 설치 및 각종 Kernel 옵션 기본지식
- Xen 설치, Virtual Server/Desktop 설정/관리 지식
- Linux 기반 iSCSI 장비 설치/설정 관리 지식

기반으로, 간략한 문서화와 함께, 장비를 설치/설정하는 것이 기본 업무가 됩니다.

기본적인 가상화 서버/스토리지 서비스를 할 수 있는 수준으로 구축을 해주시면 되는데,
저희 요구사항에만 충족된다면, 일정 기간 서비스 계약도 하고자 합니다.

혹시 관련 정보를 알고 계신 분이 있으시면 공유부탁드리겠습니다.

sky_cloud의 이미지

졸업 작품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프로그래밍 문제를 알아보다 알게되서 눈팅만하다 글을 쓰네요

이번에 4학년인 학생입니다. 월래는 7월초에 계획서를 보네려고
했는데 아이디어가 없다보니 지금까지 왔네요...

졸작 목적은 공유기에 openwrt를 설치하여 활용하여
관련 디바이스 드라이버 수정 및 구현을 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공유기는 usb도 사용가능한 것으로 이전 졸업자들이 한 것을
보면 웹캠이나 스피커를 이용한 작품(CCTV, 정보알림)이 많은데
이번에는 졸작목적이 디바이스 드라이버로 정해져서 그와 다르게 할만한 것이 없네요.

처음에는 네트워크 감시나 usb전원 컨트롤를 활용한 usb장치 켜고끄기를 생각했는데
네트워크는 디바이스 드라이버와는 거리가 멀고 usb전원은 찾아보니 공유기마다 불가능하다와 가능하다가 섞여있네요.

jwoo0122의 이미지

소스의 문서작업이란 무엇인가요?

커널 개발에 대해 이것 저거 찾아보다가

" 리눅스, 유닉스, 다윈 등 입맛에 맞는 커널 하나 골라서 문서작업하세요. 그럼 "이건 버그다," 혹은 "여긴 문서작업이 필요해" 와 같은 생각을 하게 됩니다"

라는 답을 얻었는데요

여기서 문서작업이라는 건 뭘 말하는 건지 모르겠습니다.
찾아봐도 문서 작업 프로그램 얘기만 나오고...
XNU 소스를 받아서 그 다음에 뭘 하라는 건지 모르겠습니다...

문서작업이란 무엇이며, 그 목적이 무엇인지 알고 싶습니다.

여담이지만
XNU 소스가 다 .h 나 .c 로 확장자가 되어있던데 원래 os x 는 obj-c 아닌가요?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