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나그네나그네의 이미지

윈도우 gvim 사용시 파일 encoding 문제입니다.

utf-8로 작성된 문서가 있는데, set encoding=utf8로 바꾸면 vim 본문에 있는 글은 제대로 나오나 vim에서 나오는 한글 메시지가 깨집니다.

이 경우엔 어떻게 해야 하는지요 -_-;; 고수님들의 지식나눔 부탁드립니다 :)

whl1004의 이미지

arm-elf-gcc에 대해 궁금한점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근 크로스 컴파일에 대해 공부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arm-elf-gcc에 대해 공부하던중 이해가 안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도움을 받고자 글을 남깁니다.

예를 들어 소스 코드에 int a = 10000; 존재 할때
gcc -S를 사용 하여 어셈블리어를 확인하면 10000이라는 상수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을 알 수 있는 반면
arm-elf-gcc -S를 사용하여 어셈블리어를 확인하면 9984 + 16 이런식으로 10000이라는 수를 사용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arm-elf-gcc에 어떠한 특징이 존재하기에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게 되나요?ㅠ
고수님들 제게 조언을 부탁드려요 ㅠ

tjzl1995의 이미지

고등학교에서 사용될 리눅스 배포판 추천바랍니다.

리눅스 유저들에게 아주 바람직한 소식이 들어왔습니다.

학교에서 사용하는 쿨메신저등이 하나의 서버를 구성하여 사용한다고보고(정확한 해석인지는 모르지만)

마소에서 서버용 os를 사용하고 라이센스비를 지급하라고 요구했습니다.

이에 마소에서 벗어나고자 리눅스를 사용하기로 결정하고 제가 다니는 고등학교가 시범학교로 선정되었습니다.

사용이 된다면 매우 기초적인 프로그래밍과 리눅스에 친숙해지는 정도일 것입니다.

하지만 리눅스를 조금이라도 사용하신 분들이라면 아시겠지만 배포판마다 조금씩 혹은 큰 차이를 가지고있습니다.

어떠한 배포판이 학생들이 좀 더 친숙하게 느끼고 혹은 친숙하진 않더라도 불편하지 않고 호기심을 가지고 다가갈 수 있을까요?

gui야 바꿔주면 되는 것이니 레드햇 계열이나 데비안 계열이냐와 그럼 어느 배포판이 잡버그가 적고 안정적인가를 고려해서 추천해주세요.

아마도 조금씩 커스터마이징을 해야할 것 같은데 자료가 많은것도 좋을 수 있겠내요.

마잇의 이미지

vim 많이 쓰시는 분들 이거 한 번 해보세요

noremap ; :
noremap :

보면 아시겠지만 :(Shift + ;) 대신에 ; 키로 명령 모드로 진입 하게 하는 간단한 키 설정 입니다.
vim은 워낙에 : 키를 많이 쓰게 되다 보니 쉬프트키를 생략하는 것이 기대 이상으로 효과가 좋습니다.

인터넷에서 어떤 아저씨의 vim 활용 발표 영상 보다가 배웠는데 생각 이상으로 손에 부담이 적어지고
vim 특유의 리듬감이 더 살아나네요.

;키 원래 기능이 n 처럼 f,t키로 했던 검색을 반복해서 하는 기능이 있는데요 easymotion 플러그인
때문에 저는 거의 안 쓰는 기능이라 부담 없이 시도해 봤는데 의외로 아주 효과 만점 입니다.

dero의 이미지

centos 6.4 서버에 ssh 접속시 connection timed out이 뜹니다.

안녕하세요

간단히 이것저것 만져볼 요량으로 centos 6.4 minimal 버전으로 서버를 설치하였는데요,

접속 ip가 근방에 있는 경우 (XXX.XXX.XXX.123 와 XXX.XXX.XXX.122 같은 경우) 에는 쉽게 접속이 되는 반면

집에서 접속해보려 하면 접속이 되지 않습니다.

현재 서버는 static ip를 쓰고 있으며, 확인을 위해 iptables 는 disabled 상태입니다.

또한, 집에서 서버로 ping을 보내면 정상적으로 가지만 서버에서 집으로 ping을 보내면 응답하지 않는 상태입니다. 다만 다른 주소 (구글의 8.8.8.8 같은 주소로 ping을 서버에서 보내면 응답합니다)

telnet으로 port 22번에 접속하려 해도 역시 마찬가지로 응답이 뜨지 않구요

서버의 hosts.allow 나 hosts.deny 는 모두 공란인 상태이고, netstat 을 이용한 포트 개방 상태는 ssh 22번 포트와 따로 설정해둔 24033번 포트로 LISTEN 하는 상태입니다.

sshd 데몬 역시 가동중이라고 나오구요.

doriver의 이미지

C++개발자가 Java 개발자 되려면

C++,C# 개발자로 10년 회사 생활을 했습니다.

이클립스를 설치 해서

Java로 간단한 출력 화면 정도는 만들어봤습니다.

안드로이드 쪽도 간단한 예제 정도만들어봤고요

근데 상용화된 제품으로 Java로 중급 이상의 프로젝트나 어플은 개발해보지 못했습니다.

이번에 Java 프로젝트를 할 예정인데

조언좀 부탁 드립니다.

ratmhun의 이미지

사설 IP 주소로 도메인 없이 DNS를 운영하려는데 괜찮을까요?

제목 그대로입니다.

192.168.0.0 같은 사설 IP 주소를 갖고 'sample.com'처럼 등록되지 않은 도메인 주소로 DNS를 운영하려고 합니다.

외부에서 접속할 이유도 없는데 이걸 운영하려는 이유는 네트워크 내 호스트 관리를 /etc/hosts가 아닌 DNS로 하고 싶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DNS를 운영하면 문제가 발생하지는 않습니까?

root zone에 트래픽을 발생시켜서 민폐를 끼치는 결과를 가져오지 않을까 생각되는데 궁금합니다.

nimeaz의 이미지

Python 책 추천 좀 부탁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Python 책 추천 좀 부탁 드려도될까요? 프로그래밍을 전혀 모르는 사람은 아니고, Java, C++ 등의 지식이 있고요. 빠르게 Python 기본 문법과 기본 built-in 기능 위주로 학습할 수 있는 책을 찾고 있습니다. C 책으로 따지자면 'The C Programming Language - Brian & Dennis', 그리고 Java 책으로 따지자면 'The Java Programming Language - James Gosling' 격에 해당하는 얇은 Python 책이 있을까요?

추천 부탁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emptynote의 이미지

네트워크 참으로 오묘하세요.

네트워크 참으로 오묘하세요.

3류 프로그래머가 TCP/IP 서버/클라이언트 기반

개발 프레임워크를 스스로 도전을 할 수 밖에 없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파일 송수신 기존 2-4 Mbyte 나오는거이 이상하게 10-50 Kbyte 로 나오는 황당함에

서버쪽 비지니스 로직 라인 단위급으로 걸린 시간 로그를 남겨서 확인해 보니 이상 없네요.

원인을 찾아 보니 홈허브(=KT 와이파이 제공 허브, (주)머큐리사 제작) 설정이 문제였네요.

집에 2대의 컴퓨터가 홈허브에 연결되어 있습니다.

장치설명 -> 스위치 관리 -> 포트링크 설정 에 들어가서

포트 설정을 "100M Half" 를 "Auto nego" 로 변경 저장후

다운 로드 속도를 재 보니 2-4 Mbyte 가 나오네요.

이것때문에 소스 문제인가 해서 v1.0 으로 백도한후 테스트 하고,

엑티브 엑스로 설치되지 않는 등 이상 동작하는 윈도우 PC 문제인가 해서

포맷 재설치를 해서 얻은 결론이네요.

xoduddk123의 이미지

자기가 쓴글 자기가 삭제 하는방법이 없나요?

자기가 올린글을 삭제할려고하는데 그러한 기능을 못찾겠습니다.

삭제할수있는 방법이 없나요 ? ?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