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linuxer02의 이미지

이중화 서버의 디스크 용량(size) 차이 왜그럴까요?

동일한 ibm 서버에 이중화를 고려하여 os설치후
df 명령어를 통해 용량을 확인 했더니 아래와 같이 나옵니다.

헌데, 두서버모두 사양 디스크 용량이 모두 동일하거든요
그리고 sdb1 또한 디스크 2개를 RAID1로 미러링해두었구요.
헌데, 아래와 같이 sdb1의 size 가 서로 다르게 보입니다.
약 9GB정도가 적게 보이거든요..
혹시 왜이런현상이 나타날까요?
ㅠㅠ 알수가없어서 이렇게 조언을 얻고자 글을 올립니다.

[ 서버 1 용량정보(RC3-19) ]

[root@RC3-19 log]# df -h

Filesystem Size Used Avail Use% Mounted on

/dev/sda3 262G 123G 126G 50% /

/dev/sda1 494M 17M 452M 4% /boot

tmpfs 7.9G 0 7.9G 0% /dev/shm

36311의 이미지

[질문] 리눅스 배포판 만들기 어렵나요?

제 짧은 지식으로 생각하면

커널은 리눅스나 FreeBSD 남들이 만들어놓은거 안정버전 가져온 다음에, 드라이버들 같이 넣어주고.

어짜피 중간은 GNU Sytem이라고 해야 할까요? 그 친구들 컴파일한거랑 소스 같이 넣어주고.

GUI가 조금 문제이긴 할텐데... 일단 X 깔아놓으면 그 뒤는 어떻게든 되지 않을까요;;

이렇게 GitHub 같은 곳에서 공동 작업하면 18개월에 한번 정도는 픽스해서 배포판 내놓을수 있지 않을까요?

저의 얕은 지식으로 노동력이 많이 투자되어야 한다고 느껴지는 건 패키지 매니저와 기여자들간 커뮤니케이션 도구 제작 정도?

전체 방향성만 합의가 되면 실제로 협업하는건 큰 문제가 아니라는 생각이 드는데 다른분들 생각은 어떤지 궁금합니다.

vc7148의 이미지

리눅스 서버 셋팅

안녕하세요.. 서버라는걸 처음만져보는사람입니다.
이번에 리눅스서버를 하나 공간만 root권한으로 임대받아서, 셋팅을 제가 해야 하는데
어떤걸 유의하여 설치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궁극적인 목적은 고도몰솔루션을 설치하기 위한 환경을 만드는것입니다.
고도몰 설치환경은 다음과 같습니다.

운영체제 리눅스 2.6x이상
웹서버 Apache 1.3xx 또는 2.0x
Zend Optimizer 3.3 이상
개발언어 PHP V5.2x
데이터베이스 MySQL 5.0이상 (MySQL 5.4 이하)
Character Set EUC-KR

고도몰에 전화해, 리눅스 2.6x 이상이 뭘 말하는건지 물어보니
centos5.x 를 설치하면 된다더군요..

난생처음 putty 라는 프로그램을 다운받아 초기셋팅을 살펴보니
MySQL 버전만 맞고, 전체 버전이 최신으로 설치가 되어있어 전부 삭제하고 셋팅하고자 했습니다만

perdrecon의 이미지

리눅스, 유닉스 wcd 설정법

리눅스를 쓰는 초보입니다.

다른 시스템들 들어가보면 로그인 후 wcd라고 치면 제가 주로 사용하는 폴더로 이동하게 되더군요....

이거 어떻게 설정하는 건가요??? 전혀 감이 안오네요...ㅡ,.ㅡ;

skylit의 이미지

svnadmin load 에서는 특정 revision 범위만 선택할 수 없는 것일까요?

안녕하세요?
연구실의 SVN repository를 옮기려고 이전 repository를 통째로 dump 했다가, 새로운 서버에서 dump된 파일을 svnadmin load 명령으로 복구를 하던 중간에 작업이 중단되고 말았습니다.
예를 들면 최종 revision 번호가 10000인데, 7000까지 load해 오다가 중단된 상태입니다.

저는 그래서 7000부터 다시 load를 시작하면 시간이 절약될 것 같아서 찾아보는데, 아무리 찾아도 svnadmin load 에서는 그런 방법이 없네요...
즉, repository 전체를 dump한 파일에서 일부 revision 범위만 load할 수도 있을 것 같았는데 그런 옵션을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revision 범위를 지정하는 옵션은 svnadmin dump 할 때에만 있는 것인가요?
결국 위의 예를 빌리자면, revision 7000부터 10000까지 해당하는 새로운 dump 파일을 만들어서 load하는 방법밖에는 없는 것일까요?

twince의 이미지

윈도우 - 네트워크 드라이브 공유...?

학교 연구실에 있는 NAS에 접속을 하는 문제 때문에요, 사설 안의 사설대역을 쓰기에 VPN을 사용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다른건 다 잘 됩니다만, 네트워크로 연결한 드라이브 (가령 Z:) 를 공유 하고 싶은데, 해당 기능이 없는건지, 제가 못 찾는건지 알 수가 없네요. 어떡하면 좋을까요?

maestrosmj의 이미지

vmware ftp 서버 외부접속 포트포워딩 방법이 궁금합니다.

본의 아니게 질문을 두개 올리게 되었네요.;;;

구성 :

호스트 pc. iptime 공유기 사용.

vmware. centOS 6.5 bridge 방식. ftp 서버 구축.

아파치의 경우 iptime에서 포트포워딩을 외부포트 8888 내부포트 80 으로 한 뒤

외부망에서 (핸드폰 lte 환경) 외부아이피:8888 하니까 vmware 내 index.html 화면이 잘 보입니다.

그런데 ftp를 위한 포트포워딩 외부포트 9998~9999 내부포트 20~21 으로 한 뒤

외부망에서 ftp://외부아이피:9999 를 해도 9998 을 해도 페이지를 표시할 수 없다고 나오네요.

ftp니까 20, 21 포트 뭐 모드에 따라 1024였나요 아무튼 포트가 좀 다양한 편이라 제가 포트포워딩을 잘못한것 같은데

외부포트, 내부포트를 어찌 써야 하며 외부에서 접속시 어떤 포트로 접속을 해야 하는건가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maestrosmj의 이미지

centOS 6.5 ftp 권한 질문입니다.

os : centOS 6.5

에러 메세지 : 550 Create directory operation failed.

useradd user1 (기본 /home/user1) 은 ftp 접속해서 mkdir 잘 됩니다.

useradd -d user2 (/ftp/user2) 는 ftp 접속해서 mkdir 안됩니다. 위 에러 메세지 출력.

이게 안되는 이유가 있나요?

/home 이랑 /ftp , user1 이랑 user2 권한은 동일 합니다.

각각 user1, user2 가 소유주, 그룹이고 권한 역시 동일 합니다.

혹시 몰라서 user2 홈 폴더 권한을 777로 줘봤으나 역시 안됩니다.

/ftp 도 777, /ftp/user2도 777 해도 안됩니다.

혹시나 해서 그냥 로컬로 user2 접속 후 자신의 홈폴더에 mkdir 해보면 이건 잘 됩니다.

도통 이해가 안됩니다. 제가 뭔가 착각하고 있는게 있나요?

도움을 부탁드립니다.

jejeje8의 이미지

ps 질문좀 드릴게요..

tty1 에서 로그인을 하고, ps -ef | grep bash 를 했습니다.

로그인을 할때.. getty -> login -> bash 로 흐름이 진행되는 것은 대략 알고 있는데요..

-bash 라고 뜨던데.. 앞의 '-' 는 무슨의미인가요?

허접해서 그런지 구글링도 잘 안되네요 ㅠㅠ

Sunyoung78의 이미지

Code::Blocks 13.12 디버그를 위한 C컴파일러 다운


orwell dev c++ 쓰다가 디버깅 기능이 너무 열악한듯해서

Code::Blocks 13.12 로 갈아탈까 생각중입니다.

그런데 보니까 GNU GCC Complier 등 PC에 컴파일러가 깔려있어야 하더라구요. 인텔꺼든 뭐든..

제가 군인인데, 군대 PC가 인터넷선이 좀 안좋습니다.

가능하면 국내사이트로, Code::Blocks에서 지원하는 무료 C Complier 없을까요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