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koain의 이미지

골든 이미지를 이용한 vm 생성시 네트워크 설정을 어떻게해주어야하나요?

qemu-img create -f raw gold_image.img 20G // 골드 이미지를 생성할 이미지 파일 생성
qemu-img create -b gold_image.img -f qcow2 backing_vm1.img // 골드 이미지를 이용하여 부팅할 이미지 파일생성

이후 gold_image.img 파일에 CentOS 6.5 를 설치 하였고, backing_vm1.img 파일로 vm을 생성하였는데 eth0을 찾지 못하더군요. 어떤 해결책이 있을까요

seojh1431의 이미지

로그인 인증 방식에 대해서...

네이버는 id 와 password 방식 하나 하고.. 일회용 비밀번호를 사용한 로그인 방법을 사용하고 있더군요..

근데 여기서 로그인 인증은 어떻게 이루어지나요?? 로그인 인증방식도 여러가지 있을것 같은데.. 국내에는 어떤 로그인인증방식이 많이 사용되나요??

manemis의 이미지

우분투 다운그레이드 설치시에 서버접속 안되는 문제

안녕하세요 아수스 1215t 사용을 위해 우분투 13.04버전을 설치한 허접 사용자입니다.
다운그레이드를 한 이유는 더이상 지원을 안해주는 AMD그래픽카드 드라이버때문인데요
문제는 옛날 우분투를 설치해서 그런건지 설치 직후 언어팩도 다운로드가 안되고 어떤 프로그램도 설치할 수가 없네요 ㅠㅠ
에러뜨면서 네트워크 상태를 체크하라는데
파이어폭스로 인터넷 서핑은 또 됩니다
그러니까 프로그램 추가할 때만 서버 연결이 되질 않는군요
워낙 오래된 넷북이라서 크롬브라우저, wine+한글프로세서2014, 음악재생기 정도만 있어도 되는데 끄응 여기서 막히니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원래 우분투는 기간이 좀 지나면 아예 지원을 안해주나요?(예전에도 조금 쓰면 ppa같은것도 다 연결 안되고 여기저기 꼬여서 다 밀고 새로 다음버전깔고 그랬던 기억이 있어서 불편하다고 생각만했지 문제를 해결해본적이 없네요)

babach의 이미지

부트로더를 만들어 보려고 하는데, 자유도가 높은 개발보드는 무엇이 있을까요?

1~2년동안 주요 관심사가 OS 여서 커널, 파일시스템 같은 걸 주로 공부하다가

드디어 몇 달전부터 더 밑단에 관심이 가기 시작했습니다.

계속 원리를 공부하고 알게되고 추상화 layer의 한단계를 벗겨내서 새로운 추상화 layer를 보고 이런 과정자체가 즐겁더라구요.

커널이라는 것도 결국 cpu와 주변장치와의 상호작용의 추상화라서 커널(운영체제)를 온전히 이해하려면 결국 하드웨어도 궁금해지는 지경에 오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커스텀 부트로더를 만들어보고 커널도 수정해서 올려보는 등 이것저것 보드 가지고 만져보려고 하는데, 이것에 적합한 개발보드는 무엇이 있을까요?

라즈베리파이는 예전에 사놨는데, 목적에 적합한 보드인지는 모르겠습니다. 커스텀 부트로더를 올릴 수 있는 건지 아직 잘 모르겠네요.

beagle-bone 이라는 것도 있던데 혹시 다른 분들은 이런 목적의 보드로 어떤 걸 사용하시나요?

qudwns4546의 이미지

부트로더와 커널 빌드에 대해 궁금해요!

제가 알고 있는 바로는
부트로더는 파워가 들어오면 메모리의 제일 처음에서 시작해서 기본적인 하드웨어를 읽어들이고 커널 이미지를 불러오는 역할
커널은 디바이드 드라이버를 읽어들이고 OS의 핵심적인 역할...로 알고 있는데
요즘 리눅스를 임베디드 보드에 포팅하면서 개념이 나락으로 빠져가고 있습니다.

제가 사용하고 있는 임베디드 보드는 판다보드ES인데요.
요놈을 부팅을 하기위해서 리눅스 커널을 빌드하기 전에 프리빌드 버전을 사용해보았습니다.
판다보드 특성상 SD카드에 부트영역과 시스템파일 영역으로 나눠서 파일을 집어넣고 파워넣으면 끝. 부팅됩니다.

그런데 문제가... LCD를 사용하려는데... LCD에 대한 드라이버가 있어야겠죠. 그래서 LCD를 제작한 업체에서 제공하는 프리빌드 우분투를 사용했습니다. 지금까지...
그런데 그 우분투가 너무 막되먹은 녀석이라(안되는게 너무 많음. X윈도에서 와이파이 설정이라던가...) 판다보드에서 공식지원하는 녀석을 포팅해서 사용해보려고 합니다.

whs9400의 이미지

해킹기술

(이 글을 보시면서 오해가 없으셨으면 합니다, 전 해킹을 하기 위한 목적이 아닌 해킹 기술에 대한 정보를 습득하고 싶어서 질문을 올리는거고 만약 정보를 얻은후 이 정보를 바탕으로 연구를 통해 기술을 습득해서 악의적인 목적으로 해킹을 하지 않을겁니다 전 단지 해킹 기술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알고 싶어서 올리는거니 양해부탁드립니다.)

해킹 기술이나 해킹 기술에 대한 종류나 동작 원리, 어떤곳에 사용이 되는지 이런것?
을 알기 위해서는 어떤 방법을 택해야 하나요?
(커뮤니티나 사이트가 있을법도 한데..)

whs9400의 이미지

엑셀 또는 파워포인트 & 프로그래밍 언어

어..음.. 안녕하세요.
제가 프로그래밍 언어를 이용해서 엑셀과 연동을 하는 작업을 해야할일이 생겼습니다.
그런데 전 엑셀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도 없고 sum함수 밖에 알지 못합니ㅏ.ㅋㅋㅋㅋㅋ;;
친구에게 물어보니, 엑셀이 도움이 많이 된다고 그러는데 또 학생땐 별로 쓸일이 없는지 안만져서 까먹었다고 그러더라구요.
그래서 질문을 올리는건데요 엑셀을 먼저 해야 할지.. 아직.. 물론 프로그래밍 언어에 손은 댔지만..ㅎㅎ 진도를 많이 빼지 않아서 아직은 상관이 없을것 같네요. 회사에서는 많이 사용하는것 같긴하고 또 도움도 많이 되는것 같은데 제 꿈에 도움이 될지 ㅎㅎ 이게 제일 궁금합니다.
제 꿈은 'White Hacker' 이구요, 한가지 더 파워포인트는 굳이 기능을 전부 배우지 않아도 왠만큼 작업은 가능하더라구요. 파워포인트를 배워야 할까요?
제가 이 질문을 올리는 이유는 괜히 이쪽으로 했다가 시간만 낭비할까봐 그게 제일 두려워서 올리는겁니다.
이해좀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세벌의 이미지

RSS 사용 방법?

RSS 사용법 아시는 분?
http://sebul.co-story.net/q2a/?qa=320 에 질문 올려두었습니다.
기본으로 되어 있던데 사용법을 모름...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