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balgarac1의 이미지

centos 계정 삭제 질문입니다.

계정을 삭제하고 싶은데

계속 로그인 중이라 뜨면서 거부됩니다.

찾아보니까 해당 프로세스를 kill 하라고 하는데

명령어로 프로세스들 확인해봐도 뭘 죽여야할지 모르겠습니다.

첨부에 화면 캡처해서 올려놓았습니다.

조언부탁드립니다.

ljh9212의 이미지

OPEN CASCADE 설치 관련 문제 질문입니다.(오픈소스, bat 파일, 환경변수, 컴파일 등과 관련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우선 이렇게 질문사항에대하여 관심을 가져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제가 질문 드릴 내용은 그래픽 관련 오픈소스중 하나인 OPEN CASCADE와 관련한 내용입니다.
(OPEN CASCADE설치 공식 홈페이지 참조 링크 : http://www.opencascade.com/doc/occt-6.9.1/overview/html/index.html#OCCT_OVW_SECTION_4)

호기롭게 오픈소스 그래픽 툴을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만드려고 하는데 단추도 꿰기 전에 설치에서 막혀서 몇날 몇일을 허비하고 있습니다.

아직은 프로그래밍 지식도 부족하고 시행착오를 많이 겪어 고수분들이 보시기엔 별거아닌 문제일 수 있습니다ㅠ

ryunzae의 이미지

[멤버 모집 중] 블락체인 기술 기반 스타트업 transparen.ci

블락체인 기술 기반 스타트업 transparen.ci에서 <저스티스 리그>의 초기 멤버를 모집 중입니다!

transparen.ci는 블락체인의 투명성을 기반으로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현재 비트코인/블락체인 뉴스 큐레이션 서비스 3 Chains (http://3chains.transparen.ci)를 운영중이며, 블락체인을 활용한 인증 서비스 BitEntity를 개발 중입니다.
국내 스타트업의 성지인 마루180에 입주해있고 국내 최고 액셀러레이터인 '스파크랩스(SparkLabs)'의 지원을 받고 있습니다.

뛰어난 동료,
수평적 조직,
재택 근무,
끊임없는 혁신,
기술적 자유,
애자일 개발,
이전 급여 최대 70% 보장,
초고속 성장 지향이 기다리고 있는
테크 스타트업입니다.

Eavan의 이미지

인터넷 자료의 무서움을 알게 되었습니다.

인터넷에서 FreeBSD 노트북 적용기를 훑어보다가 그나마 싸고 편하게 구할만한 제품이

Macbook Air Mid-2011 이길래 중고로 하나 업어왔더니만...
(https://wiki.freebsd.org/Laptops)

BCM43224 무선을 지원 안한다고 합니다...(어...?!)

다시 한번, 뭔가 알아볼때는 끝까지 파고들어서 완전히 파악해야 한다는 걸 뼈저리게 알았습니다...ㅠㅠ

ps.

어셈블리 질문글에 올려주신 조언 덕분에 이래저래 진도는 나가기 시작할 수 있었습니다.
감사합니다.

gogomox의 이미지

노트북의 설치된 우분투를 다른 pc 의 vmware 로 복사하고 싶습니다.

제가 가진 노트북에 특정 컴파일러가 들어 있습니다.
이것을 메뉴얼로 받았으면 이런 고생은 없겠지만..
노트북 째로 받는 바람에 해당 환경을 다른 pc에 설치할 방법이 없네요..
그래서 해당 노트북의 우분투를 통째로 다른 pc 의 vmware 로 복사하고자 합니다.
당연히 설치 환경이 완전 다릅니다...
해당 방법에서 tar를 이용한 백업 및 복원을 하고자 하였으나.
그렇게 하니 vmware 의 우분투가 망가져버리는 사태가...
발생하네요...
그리서 다른 백업 프로그램이 있거나
tar 를 사용한 제대로 사용가능한 방법이 있는지 문의드립니다...
부탁드립니다.

hanty11의 이미지

안구관리는 어떻게하시나요?

안녕하세요
프로그램공부하는 학생입니다
한2~3년 나름 열심히공부를하고있는데요
아무래도 항상 컴퓨터를 쳐다보게되고 그러다보니
요즘은 시력이안좋아지는게 확실히보이네요..
혹시 개발자선배님들께선 눈 관리방법이 있으신가요?

Rubypops의 이미지

아이폰 프로그래밍 하시는 분들

제 경우는 아이폰 없이 그냥 맥에서 시뮬로만 확인을 하면서 만드는데

친구 아이폰으로 막상 실행을 해보니 뭔가 버그가 뜨네요.

장비를 사봐야 하나요??

kotko0123의 이미지

DNS(BIND)와 MySQL을 연동관련 질문있습니다.

권한 DNS서버를 구축하여 웹으로 관리하려고 하는데,

웹으로 관리하려면 DB를 연동하여 서버를 구축하면 좋다고 들었습니다.

그래서 관련된 문서를 찾아보니 PDNS(PowerDNS), BIND-DLZ 등 여러가지 방법이 있는데

제가 BIND를 조금 공부해봐서 BIND와 MySQL을 연동하여 DNS서버를 구축하려고 하는데, BIND-DLZ라는 것은 2004년에 릴리즈되어서 그 이후 별도의 업데이트가 지금까지 이루어 지지 않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런경우 보안적인 측면이나 추후 서버확장에 관한 이슈가 없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PDNS로 구축할시 어떤 이슈가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혹시, 현업에서 어떤 DNS프로그램을 많이 사용하는지 순위나 장단점도 알려주셨으면 합니다.

PDNS와 BIND-DLZ에 관한 한글로 된 문서가 있으시거나 소개시켜주실게 있으면 링크나 파일 첨부하여 주시면 정말 큰 도움이 될거 같습니다.

TBIinstitute의 이미지

여러분은 어떤 리눅스를 쓰시는지요.

리눅스 종류가 너무 많아 어떤 걸 설치해야 될지 난감하네요.

nsy503의 이미지

CentOS 재부팅 현상 및 지연 문의

안녕하세요. 리눅스 초보 문의 드립니다.
현재 CentOS5.8을 사용하여 APM 환경을 운영중입니다.
최근들어 이유없이 재부팅이 3번정도 일어 났는데요.
재부팅도 문제지만, 마지막으로 재부팅된 건으로 시스템이 재부팅되면서 2일 이상 지난후 부팅이 된건이 발생하여 원인을 몰라서 고민하다가 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아래의 내용 확인해 주세요.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