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livey의 이미지

고정아이피 윈도우10서버 구축 문의

1안녕하세요

사무실에 남는 PC 에 윈도우10을 설치하고 svn 서버로 사용하려고 합니다.
고정아이피를 쓰려고하는데 몇가지 문의드립니다.

1. 유동아이피틑 ISP 에서 몇몇포트(80번 같은..)들은 막아놓는데 고정아이피도 이런 포트들 막혀있나요?
고정아이피는 서버에서 쓰는거니까 막아놓지는 않았을것같은데 궁금합니다.

2. 집에서 개인서버 사용할때는 공유기를 통해서 서버PC 에 접속하게되는데
고정IP 의 경우 공유기 없이 서버PC 에 직접 접속하게 되는거죠?
만약 그렇다면 서버PC 에서도 공유기 기능을 갖춰야할것같은데 공유기 역할을 해주는 프로그램이 있나요?

집에 개인서버 구축할땐 공유기에 접속해서 포트포워딩해주고 간단하게 끝났던것같은데
고정IP를 사용하려니 어렵네요..

6Gelemen의 이미지

루분투 19.04 에서

루분투 19.04 에서 인터넷 연결(wifi) 이랑 노트북 모니터 광도 조절을 어떻게 하죠?

6Gelemen의 이미지

쿠분투 게임 오류

쿠분투 사용하는데
마인크래프트가 설치되긴 하는데 실행하면 오류가 나네요...

onion의 이미지

혹시 linm 을 기억하시나요?

이 linm 이라는게.. 워낙에 오래된 소스라 최근의 linux 에서는 빌드할때 여러가지 에러가 납니다.

고수분들이야 다들 잘 하시겠지만.. 다른곳에서 mdir 소스코드를 본김에.. linm 이 일단 컴파일만 되도록 몇가지를 손봐서 일단 동작은 하게 만들어서.. 스샷을 보니 좋기는 하네요. 다만 몇가지의 문제가 있습니다.

skydeux의 이미지

CentOS 설치시 질문 입니다..

안녕하세요.

평소 궁금한게 있어 질문드립니다!

보통 CENTOS 공홈에서 DVD ISO 를 다운 받는데요..

제가 궁금한점이 버전마다 다르지만 어떤 버전은 DVD 1 만 있고,

또 어떤버전은 DVD1. DVD2 2개의 ISO 파일이 있더라구요.

설치는 1번으로 다 진행이 되는듯 한데.

DVD 2번은 뭐하러 있는건가요?? 용도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koreakimchiklan의 이미지

우분투 로컬 설치 시 wifi 끊김 문제.

안녕하세요.
우분투 18.04를 로컬에다가 설치해서 사용하고자 합니다.
다른 문제는 다 없는데 인터넷이 간헐적으로 끊길 경우가 많습니다.
약 15-20초에 한번정도만 잡히고(더 길 수도 더 짧을 수도 있는데 평균적으로 이정도) wifi를 껐다 켜면 잠깐 잘 됩니다.
커널은 4.18을 사용중에 있으며, 여러 군데에 문의해본 결과
rfkill에 대해 문제가 있는 것 같으며, 무선랜칩 인텔 AC-9560에 대한 드라이버가 마땅히 없다(?)라는 답변도 들었습니다.
이를 위한 조치로 구글링을 통해, AVAHI_DAEMON_DETECT_LOCAL 값을 0으로 설정도 해봤으며, sudo apt update도 해봤습니다.
저 뿐만 아니라 저와 같은 기종의 랩탑을 이용하는 사람도 비슷한 증상을 호소하는데, 안그런 사람도 있긴 합니다.
아마 라우터/공유기 상에서 충돌이 일어나는거 아닌가 싶은거로 추정이 되는게, 저 혼자 사용하는 제 방의 공유기에서는 인터넷이 ㄱ끊기지 않습니다.
또한 윈도우로 사용할 당시에도 인터넷이 끊기지 않았습니다.

jee9894의 이미지

c드라이브에서 c로, c드라이브에서 d로 복사하는것에 차이가 있을까요?

같은 드라이브 내에서 복사하는것과 다른드라이브로의 복사에는 어떤 차이점이 있나요?

6Gelemen의 이미지

음...

일단 제가 말을 꺼내고 싶은 것은 포인터의 필요 유무입니다.
예를 들어 n1과n2의 값을 바꾸는 함수를 만드는 것에서
포인터를 사용하면 더 편하기야 하겠지만 return문이나 =연산자를
사용하는 것 만으로도 그예제를 만들수 있을것 같네요.
제가 그 예제를 만들어본 적은 없지만
java가 포인터가 없다는 점에서
C언어도 시스템 을 프로그래밍하는 것이 아닌 응용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에는
충분히 포인터를 쓰지 않아도 되지 않아도 될까 생각합니다.
제가 초보라서 잘 모를 수도 있으니
틀린 부분이 있으면 제가 잘 모르니 답글 달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grub으로만 부팅이 됩니다.

NVMe SSD에 Ubuntu 18.04를 직접 파티션을 설정하여 설치했는데
실수로 부팅 파티션을 따로 잡아주지 않아서 그런지, Ubuntu 16.04가 설치되어있던 SATA SSD에 부팅 파티션을 잡아 설치 한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18.04 설치 직후만 해도 SATA SSD가 부팅이 정상적으로 되었었는데..

그 뒤에 NVMe SSD에만 다시 Ubuntu 18.04를 설치하고,
SATA SSD를 다시 부팅하려하니 이제 grub으로만 부팅이 되고 정상적으로 부팅이 되지 않습니다.

제가 생각한 문제가 맞다면 boot 파티션을 지정해주고 kernel을 올리는 방법을 자세하게 설명해주실수 있나요..?

제발 도와주세요ㅠㅠ

세벌의 이미지

오픈소스 활용 및 도입 전략 컨퍼런스 다녀옴

2019. 7. 23. 오픈소스 활용 및 도입 전략 컨퍼런스
다녀왔네요.
개발자 입장에서는 무료 프로그램 잘 쓰면 된다
고 편하게 생각했으나
어려운 법적 문제가 많이 숨어있음을 느낌.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https://www.datanet.co.kr:447/news/articleView.html?idxno=135658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