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나빌레라의 이미지

가끔 KLDP가 살아 있는지 확인하러 옵니다. (근황겸)

안녕하세요.
예전엔 하루에도 몇 번씩 KLDP에 접속했는데, 요즘은 많이 뜸한것 같습니다.
시대의 흐름이 게시판 위주의 커뮤니티에서 흔히 SNS라고 불리우는 서비스로 옮겨가서 그런것인지.. 아니면 다른 이유가 있는 것인지..

오래간만에 갑자기 KLDP가 생각나서 접속해 봤습니다. 예전 모습 그대로네요. 더 예전 모습을 기억하고 있는 제게는 지금 KLDP도 최신으로 느껴지긴 합니다. :)

아무튼 잘 살아 있고, 예전의 자료들도 쌓여 있는것 보니 좋습니다. KLDP는 쌓여 있는 정보들 만으로도 충분히 가치가 있는 사이트니까요.

저는 어쩌다보니 미국에 와서 밥벌어먹고 살고 있습니다. 흔히 말하는 실리콘벨리라는 동네에요. 이 동네 애들은 베이 에어리어라고 많이 부르네요. 돈 잘 버는 사람들이 넘쳐서 그런지 물가와 집값이 미친듯이 비싼 이 동네에서 무슨 영화를 누리자고 영어도 잘 못하는 제가 와서 코딩질 하고 살고 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beta99th의 이미지

나래 머드 (Narai MUD) 다시 열었습니다.

eye.mynetgear.com:5001

수년전 닫았던 그 상태 그대로입니다. 데이터만 초기화하였습니다.

열 계획 없냐고 이메일 주셨던 분들이 있어 개별적으로 답신드렸습니다.

이제 웬만하면 닫지 않고 쭉 갈 계획입니다..

한글은 UTF-8은 지원되지 않습니다.

51949 (EUC-한국어) 지원됩니다.

이메일 : beta99th@gmail.com

mud0107의 이미지

vmware 네트워크 (가상 어댑터 추가 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제가 테스트하고 싶은 내용은
두개의 가상 OS(우분투) 를 만들어 실행합니다.
그런다음 각각 OS 에 A 라는 프로그램을 실행합니다.

여기서 제가 두개의만 하려고 하는것은 내부 동작을 깊이 있게 소스 파악을 하려고합니다.
즉, 디버깅................

넘 많은 노드 접속이 되면 정확하게 파악하기가 힘들어서입니다.
제가 내용 파악하는 소스의 내용은 P2P입니다.

내부 동작을 좀 상세하게 알고 싶어서 일단 2노드(+1 씩 )에서 계속 늘려가면서 테스트 하려고합니다.

그래서 두 가상끼리만 통신하려고 하면 어떻게 해줘야 하나요?
VMWare 에서................

그리고,,, 윈도우 PC는 온라인(인터넷) 상태 였으면 좋겠습니다.
아니면 인터넷이 안되어도 좋으니까 좋은 방법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상............ 좋은 주말 보내세요!!

robonex_ep3의 이미지

로보넥스라고 합니다~!

방금 가입했습니다^^
요런 좋은 사이트가 있었군요 ㅎㅎ

자주 놀러와도 되죠?

kungmo의 이미지

레드햇 리눅스에서 우분투 리눅스로 서버 이전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거의 16년 정도 쓰던 레드햇 리눅스 웹 서버가 있습니다. 무려 펜티엄4에 1GB RAM, 120GB HDD로 구성된 컴퓨터입니다.

이 컴퓨터가 요즘 사망 전조 증상이 보여서 tar을 이용하여 /home과 나머지를 권한까지 백업하였습니다.

그러나...

이 리눅스를 요즘 나오는 컴퓨터에 설치하기가 과소비(?) 같다는 생각이 들어 우분투 서버 18.04LTS로 이전하고자 합니다.

이 때 거의 20년이 차이날 정도로 리눅스 종류가 다른데도 계정부터 웹 서버까지 백업/복구 그대로 tar 파일 압축을 풀어서 복구할 수 있는지요?

shint의 이미지

미션코딩스터디 7회 + 공모전

ㅇ_ㅇ;; 필요하신분 보세요...

미션코딩스터디 7회
http://www.devpia.com/MAEUL/Contents/Detail.aspx?BoardID=83&MAEULNo=28&no=8639

기가 지니 데브 챌린지 공모전 | 글로벌 No.1 KT
http://benefit.kt.com/event/challenge/main.asp

2018 에코톤 - 환경 ICT 아이디어 공모전
https://ecothon.kr/

MunGyu의 이미지

가상머신을 한번에 여러개 돌려도 되나요?

리눅스 공부가 하고 싶어 집근처의 알라딘을 들렀더니 '이것이 리눅스다'라는 책이 괜찮은 매물로 나왔더라구요.
구입을 해서 읽어 보고있습니다만, 설치부터가 조금 난감한데, 이 책이 리눅스 서버를 다루기 위한 책인 것같아요. 제가 배우고 싶은 분야와는 조금 다르더군요,
일단 각설하고, 그것까지는 상관없지만(일단은...) 시작부터 가상머신이 4개 정도가 필요하다더군요. 아마 서버에 관한 실습을 위해 사용하는게 아닐까 생각합니다. 가상머신이 뭔지는 어느정도 알지만, 하나 돌리는 것만으로도 컴퓨터에 부담을 지울 것 같은데, 4개 씩 한번에 사용해도 괜찮은 건가요?

rat의 이미지

여러분은 해킹을 하며 노가다성을 느끼신적 있으신가요?

어느게시판에 올려야할지 고민하다 자유게시판이 적당한듯하여 여기에 올려봅니다.

여러분들은 혹시 해킹(취약점 분석 버그헌팅등 어느것이든) 을 하며 혹시 노가다적인 작업을 하신적이 있으신가요?
예를 들어 반복적인 작업이지만 아직 자동화가 부족하여 직접 손으로 한다던지..

질문을 너무 추상적으로 올리는듯해서 죄송합니다 ㅜㅜ..

MunGyu의 이미지

리눅스 공부...(어제 공부 시작한 뉴비)

리눅스에 대해서 알아보니 단순한 OS로 사용하시는 분들도 있고 서버를 위해 사용하시는 분들도 있더군요.
분야가 워낙 다양하다보니 제가 생각했던 공부와는 괴리감이 크더라구요.
그래서 질문합니다. 제가 공부하고 싶은 분야는 시스템해킹에 관한 리눅스인데 어떤 방향으로 공부를 하는게 좋을까요??

nickcave의 이미지

우분투에서 하드 디스크 마운트시 실행 권한이 항상 붙습니다.

안녕하세요,

우분투 16.04를 노트북에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OS가 설치된 SSD외에 추가로 500G의 하드디스크가 내장되어 있어서 데이타 저장용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sda1이 추가된 디스크이고요,

ub@ubuntu:/dev$ ls -al | grep sda1
brw-rw---- 1 root disk 8, 1 5월 15 10:12 sda1

아래와 같이 마운트된 것을 보면 항상 실행 권한으로 되어 있고, 그 안에 들어 있는 문서 파일들 또한 실행권한으로 되어 있습니다. chmod 644 같은 것으로 권한 변경하려 해도 변경이 되지 않습니다.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