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seojh1431의 이미지

네트워크 질문입니다.

구축환경은 컴퓨터 3대 모두 ubuntu 12.04 LTS 입니다.

공격자, 서버, 희생자가 있습니다. 서버에는 랜카드 2개를 장착하고 굴러다니는

랜선 2개를 주어서 공격자(eth0) ----(eth0) 서버 (eth1)----(eth0)희생자 이런식으로 컴퓨터를 구성하였습니다. 아이피는

Attacker
address 192.168.111.40
netmask 255.255.255.0

Server (두장의 랜 카드를 사용)
address 192.168.111.30 (eth 0)
netmask 255.255.255.0

address 192.168.112.30 (eth 1)
netmask 255.255.255.0

victim
address 192.168.112.40
netmask 255.255.255.0

지금 현재 네트워크는 이렇게 구축하였구요.. 어택커가 디도스툴로 빅팀을 쏘면 써버에서 티시피덤프의 로그가 남도록 하였습니다.. 그런데..문제는

whs9400의 이미지

맥북

제가 처음에는 맥북 프로 레티나 15인치를 알아보다가 너무 비싸고 또 노트북은 성능은 좋다고 해도 휴대성(무게)이 딸리면 데스크탑과 별 의미가 없는것 같아서 맥북 에어를 알아보려고 하는데요.
물론 돈을 모아야하긴 하지만 맥북 에어 13형은 맥북 프로 보단 성능이 많이 딸리겠지만 프로그래밍과 포토샵 할때 큰 무리없을까요?

sanugi의 이미지

samba에 share 설정을 했는데도 윈도우에서 계정 정보를 묻습니다! 설정이 잘못된걸까요?

[global]
#Workgroup = WORKGROUP
server string = TEST
Log file = /var/log/samba/%m.log
Max log size = 50
security = user
dos charset = cp949
unix charset= euc-kr
#printing = none
#disable spoolss = yes
#guest only = yes
#guest ok = yes
#guest account = nobody

[share]
comment = SHARE
path = /SHARE/
security = share
guest account = nobody
#guest ok = yes
guest only = yes
read only = yes
#browsable = yes
map to guest = Bad Password

Sdsf3qUr의 이미지

커널 패닉이 일어날 때 연결된 스마트폰으로 패닉 메시지를 볼 수 있을까요?

요 근래 들어 캡스 락, 스크롤 락 키가 반짝이며 시스템이 멈추거나 아니면 그냥 아무 증상 없이 종종 멈춥니다. Ctrl+Alt+F1, 본체의 전원 버튼, 키보드의 파워 키 전부 반응이 없습니다. 소리가 나오던 중이면 약 1초 정도의 구간이 계속 반복해서 들립니다.

딱히 어떤 상황에서 일어난다고 단정하기가 힘듭니다.

리셋한 후에 몇 차례 `journalctl -b -1` 명령으로 로그의 마지막을 봐도 별 것 없이 깨끗 합니다.

혹시 평상시에 스마트폰을 연결해 두고 이런 일이 일어날 때 커널 로그를 바로 볼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whs9400의 이미지

잠에 얼마나 투자하시나요?

제가 지금 방학 이기도 하지만 방학이 아닌 평상시에도 잠이 되게 많아서 학교에 갔다오면 바로 뻗습니다. 그리고 일어나면 많이 멍하고 몸이 욱신욱신 거리고요. 방학을 하고나서 하루를 빠트리지 않고 매일 낮잠은 꼭 잤습니다. 시간이 아깝더군요...

잠에 얼마나 투자하시나요?

hengunmok의 이미지

퍼미션 775 작동이 안됩니다

최초 설치시 xe/files 폴더를 만들고 소유자 그룹 test:test 로 주고 chmod 775를 주고 설치를 시도했습니다. 그런데 여전히 707을 고수하며 바뀌질 않네요. 그누보드 data폴더도 그렇고 무엇때문에 진행이 안되는건가요?

hengunmok의 이미지

웹주소(url) 암호화 어떻게 해야될까요?


ftp 서버에 파일을 올리면 http://site.com/file.txt 식으로 접속을 해서 다운을 받을 수 있습니다. 여기서 http://site.com/file.txt 부분을 암호화 해서 다운로드용 주소로 제공할 수 있을까요?
파일관리 측면에서 폴더구조로 활용하려는데 url 암호화 관련은 찾기가 어렵네요..

astzlra955의 이미지

eclipse 없이 jar 파일 생성하는 다른 방법이 없을까요?

안녕하세요.

jar 파일을 생성하려고 하는데, eclipse 말고 다른 방법으로 생성이 가능한지 질문드립니다.

이 jar 파일은 실행파일은 아니고 android java 소스에서 일부분을 library처럼 만들어서 사용하려고 합니다.

기존에는 eclipse로 사용하고 있었는데, eclipse가 메모리도 많이 사용하고,
jar 생성시 오류도 자주 발생하고 해서 너무 불편한 것 같습니다.

그래서 가능하다면, eclipse 말고 서버에서 명령어로 간단하게 jar를 생성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있습니다.

혹시 알고계시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jinh0802의 이미지

윈도우 2000 ntp client 설정 질문

ntp server 는 리눅스 입니다.
ntp client 는 윈도우 xp 와 윈도우 2000 입니다.

윈도우 xp 는

net time /setsntp:xxx.xxx.xxx.xxx
w32tm /resync /nowait

이 명령어로 ntp 설정이 잘되어지는데요

윈도우 2000에서는

net time /querysntp
net time /setsntp:xxx.xxx.xxx.xxx
또는
net time \\xxx.xxx.xxx.xxx /set /y
net stop w32time && net start w32time

입력을 하는데 시간도 안바뀌고

System error 53 has occurred.
The network path was not found. 라고 오류가 뜨네요!

왜그런건가요??

UDP포트도 모두허용했습니다.

hypnosis의 이미지

DB2 리눅스 설치관련..

안녕하세요. 초보개발자 입니다..

이번에 DB2 설치하는 과정을 스크립트로 작성해 보고 있는데요.

한가지 질문이 있어서.. 이렇게 글 남기게 되었습니다..

현재 DB2설치하는 과정에 입력받는 값이나 필요한 라이브러리 복사 그리고 설치 명령어를 스크립트안에 넣어서 스크립트 실행시

한번에 설치하도록 하고 있는데요.

문제는 connect to db명 을 실행하고 다음에 실행할 커맨드 가 아래와 같이 데이터베이스에 접속되지 않는다고 출력되네요..

DB21034E The command was processed as an SQL statement because it was not a
valid Command Line Processor command. During SQL processing it returned:
SQL1024N A database connection does not exist. SQLSTATE=08003

지금 connection 하고 나서 DB2에 버퍼풀이나 테이블스페이스 생성할때 나타나는데요.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