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dlsxjsptvmfhxhzhf의 이미지

간단한, 라우터에 관한 객관식 문제를 모르겠습니다 ㅠ

안녕하세요.

제가, 라우터와 관련해서 어떤 문제를 풀고 있는데 그 답을 잘 모르겠어서 글을 올립니다.

정답과 근거를 좀 알고 싶습니다.. 문제가 조금 이상한거 같기도 한데.. 몇번이나 읽어보았는데

잘 모르겠습니다.

문제는 아래와 같습니다.

현재 라우터가 작동을 하지 않고 있다.

OSI 7계층에서 몇 계층에서 잘못 되었다고 말할 수 없는가?

A. 1계층, B. 2계층, C. 3계층, D. 4계층

bsjun의 이미지

PBS 랑 SGE 랑 둘다 설치 해도 상관 없을까요?

평소에 SGE 를 사용하고있는데
최근에 사용하게된 페키지에서 PBS 로 qsub 을 하고 jobDB 를 관리하는 메뉴가 있어서..
페키지 코드를 다 뜯어고치기 귀찮아서 PBS 를 그냥 설치 하려고 하는데
SGE 랑 둘다 사용하더라도 호환에 문제는 생기지 않을까요?

shint의 이미지

KT 올레 TV 앱 - 극장판 드래곤볼 Z 시리즈 무료

KT 올레 TV 앱 - 극장판 드래곤볼 Z 시리즈 무료
https://www.microsoft.com/store/apps/9wzdncrdj2kxd

엄청 나네요. ㅇ_ㅇ;; 평생 구경도 못해본것들인데...

mydream의 이미지

그래픽 카드와 모니터는 어떤 장치일까요?

고등학교 시절 정보처리과였던 관계로 컴퓨터 하드웨어에 대해 조금 들은 바가 있었습니다. 당시 모니터는 출력장치인 것으로 알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윈도우 프로그램을 만들다 보니 문득 모니터가 출력장치인가에 대한 의심이 들었습니다. 화면에 대한 정보를 읽어올 수도 있기 때문이죠.

BitBlt(memHdc, ~, screenHdc, ~);

여기서 memHdc는 가상의 메모리 DC이고, screenHdc는 화면 DC입니다. 위와 같이 BitBlt 함수를 쓰면 메모리 DC는 스크린에 대한 정보를 가져옵니다. 윈도우 내의 화면 정보를 말이죠. 그렇다면 화면의 정보가 프로그램으로 읽힌다는 것이고요. 그래서 스크린이 과연 출력장치로만 쓰이는 것인가에 대한 의문이 들었습니다. 입력도 되고 있으니 말이죠. 모니터는 어떤 장치인가요? 이 의문이 속시원히 풀릴 수 있을까요? 그리고 그래픽 카드도 입출력장치 아닌가요? 검색해보니 그래픽 카드도 모니터에 대한 출력장치라는 설명만 뜹니다.

forfever1의 이미지

스마트 폰용 어플을 개발해보고 싶은데 어떤 공부과정을 거쳐야하나요?

제가 개발해보고 싶은 것은 플랫폼입니다. ^^

요즘에 우후죽순처럼 생기는데 중고나라어플, 중고차 매매 어플, 이런 것처럼

여러사람이 토론하고 의견교환 할 수 있는 플랫폼 어플을 만들어보고 싶은데

어떤 공부과정을 거쳐야하는지 물어봅니다.

기본이 자바라는 것은 알겠는데 어떤 식으로 진행해야할지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워낙 아는게 없어서 질문이 너무 추상적인 것 같은데 적절한 조언 좀 부탁드립니다.

bluelunar의 이미지

iOS 개발 관련 프리랜서로 일해보실 분 있으신가요?

저희회사가 현재 개발중인 앱에 대해, 기능추가 개선 및 PDF 분석 관련하여 개발자가 필요한 상황인데요.

KLDP 능력자분들중에 혹시 관심 있으신 분 있으신가 해서 글올립니다.

KLDP가 포럼 형식이라, 이런 글을 써도 되는지 좀 애매하네요. (문제가 된다면 자삭하겠습니다. ㅠ_ㅠ)

관련한 정보 간략하게 요약드립니다!

1. iOS용 Native App 기능 개선 및 추가기능 개발
- 자격 요건 : 중급개발자
- 필수 요건 : iOS Native App 개발 경험
- 개발 언어 : Swift
- 업무 내용 : 기 출시된 iPad용 앱의 제품 기능 개선 및 추가 기능 개발
- 근무 형태 : 상주 근무 (오전 9시~오후 6시)
- 근무 지역 : 판교
- 근무 기간 : 2016년 12월부터 4개월간
- 임금 : 월 4,000,000 ~5,000,000 (협의 가능 --> 정말 가능!!)
※ 일부 조건의 경우 협의 가능하니 많은 응모 부탁드립니다.

khj의 이미지

크로미움 플래시 플러그인 설정 문제

Debian 8.6 (xfce 4.10)

chromium (53.0.2785.143)
------------------------

link : https://kldp.org/node/156462

위 링크의 방법으로 플래시 영상은 볼 수 있습니다만 제가 알고 싶은 것은 굳이 데비안 저장소에 있는 플래시 플러그인을

설치하지 않고 제가 크로미움 브라우저의 플러그인 경로를 설정해서 직접 libpepflashplayer.so를 지정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구글링을 해봐도 /etc/chromium-browser/default를 수정하라는데 chromium.d 폴더는 있지만, chromium-browser 폴더는 보이지 않습니다.

크로미움 설치 경로인 /usr/lib/chromium을 확인해봐도 default파일은 없습니다.

어떻게 해야 할까요?

bigsun의 이미지

DNS 서버 운영하는데 zone 파일에 등록 후 오류

회사에서 자체 DNS서버를 운영 중에 있습니다.

회사 서버 7대에 도메인네임을 연결하려고 zone파일에 아래와 같이 등록해두었습니다.

서버1번 - https://abc1.ddd.go.kr

서버2번 - https://abc2.ddd.go.kr

서버3번 - https://abc3.ddd.go.kr

서버4번 - https://abc4.ddd.go.kr

서버5번 - https://abc5.ddd.go.kr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