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l5lreach의 이미지

make 시 속성 문의(dist -j8, j32)


안녕하세요
안드로이드 시스템 개발을 해보려고 하는데
기본 지식이 없어 많은 시행착오를 겪고 있네요...

다름이 아니라 기본적으로 build 시 속성을 주게 되는데
./build.sh 뒤에 붙는 dist -j8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궁금하네요.

./build.sh dist –j8 --qssi_only EXPERIMENTAL_USE_OPENJDK9=1.8

명령어를 입력 하 빌드를 하려고 하는데

FAILED: ninja: unknown target '–j8'
08:38:48 ninja failed with: exit status 1

에러가 나서 -j8 을 빼고 빌드를 돌리니깐 빌드가 진행이 됩니다.

dist 속성과
-j8, -j32 이런 속성을 주는게 어떤 의미인지 아시는분 댓글 부탁드려요.

study의 이미지

bash스크립트에서 locale관련 질문입니다.

# LC_CTYPE=C print '%02x' "02"
라고 입력을 하면

시스템 #1 에서는
02가 출력되고

시스템 #2 에서는
02-bash: warning: setlocale: LC_CTYPE: cannot change locale (C.UTF-8) 이라는 메세지가 출력됩니다.

여기서 시스템 #1은 Ubuntu 22.04 시스템이고, 시스템 #2는 buildroot를 기반으로 하는 임베디드 리눅스 시스템입니다.

다시 시스템 #2에서

alswns0220의 이미지

가입인사 드립니다.

코딩에 관심이 있어서 가입했는데 너무 어렵네요.

trymp의 이미지

인증서 검증은 UTC 기준인가요? 아니면 로컬타임 기준인가요?

대부분 인증서의 valid notbefore/notafter 같은 유효기간을 보면 UTC 형식으로 표기되어 있는데요.

가령 지금 한국시간이 12월 28일 16:00 이고 인증서의 유효시간(끝) 이 UTC 12월 28일 06:00:00 이면

이 인증서는 한국에서는 1시간전에 만료된 인증서인가요?

개념이 햇갈려서 질문드립니다.

tkaqnfkf7의 이미지

가입했습니다.

코딩에 관심이 생겨서 가입했습니다. 잘부탁드립니다.



세벌의 이미지

gimp 문서 번역 참여하기

https://docs.gimp.org/2.10/ko/
최근 번역 업데이트 기여 하실 분?
관심 있는 분은 아래 링크 참고하셔요.

https://sebuls.blogspot.com/2023/12/gimp-doc-translation.html

whitewolf8의 이미지

서버 locale 변경시 바뀌게 있나요?

작년 중순에 다른 개발자가 apache + tomcat + mariadb 를 설치해서 사용하는 서버가 있습니다.
서버 os 는 rocky 8 os 입니다.

최근에 sms 서비스 문제로 sms agent 를 설치하려고 하는데
locale 타입이 ko_KR.euckr 이 되어야 한다고 합니다.

그런데 이미 mariadb 캐릭터셋 타입도 utf8 이고
tomcat 등도 모두 utf8 로 세팅이 된 상태인데

LANG=en_US.UTF-8 ==> LANG=ko_KR.euckr 로 변경하면
문제가 될것 같아서 망설이고 있는데

문제가 발생할까요? 답변좀 부탁드립니다.

ps. tomcat , apache *.log, *.out 파일을
tail -f catalina.out, apache_access.log 등에서
한글이 포함되 있어도 터미널 프로그램으로 볼때도 깨지지 않고 잘보이고 있습니다.

그런데 euc-kr 로 변경하면 깨질것 같아 고민이 많습니다..

queenmedley의 이미지

wayland에서 nvidia 가 성능을 못내는건가요...

gpu는 nvidia 1060이고 wayland 모드에서 그놈을 사용해 왔습니다.
얼마전 실수로 x11로 들어가서 스팀에 csgo2를 하게되었는데 렉이나 화면 깜빡임도 없고 너무
너무 부드러워서 충격을 받았습니다.
그동안 wayland에서 랙이나 화면 깜빡임이 발생할때 게임이 무거워서 그런갑다 했고...
yuzu 나 mame 에서는 에러 많아서 아예 포기했는데 x11에서는 아무 문제가 없고, 그래픽도 더 깔끔하고..

제가 nvidia 설정을 잘못했나 싶어 몇일동안 arch wiki 나오는 설정을 다 테스트 해봤는데 답이 없는거같습니다. 다른 분들 중에 nvidia로 스팀게임이나 mame, yuzu 하시는 분들은 어떤지 궁금하네요..

답답해서 사무실에 radeon 그래픽카드가 달린 리눅스 컴퓨터로 오늘 csgo2를 몰래 설치해서 해보니 이건 정말 부드럽더군요. 아무리 생각해도 nvidia (property)드라이버가 wayland 와 아직 최적화가 안된게 아닌가 싶기도 합니다.

wallash의 이미지

CentOS 7.9에서 사용중인 ssh를 CentOS 6버전대로 낮출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현재 서버는 CentOS7.9를 사용하고 있는데요
접속 터미널의 OS 버전에 따라서 사용하는 툴의 GUI상에서 로딩 속도? 차이가 많이 납니다.
CentOS 6 버전으로 접속하면 빠르고 7버전 이상으로 접속을 하면 랙이 많이 생기는데요.

그래서 혹시 ssh나 x11의 버전의 차이인가 싶어서 일단 ssh의 버전을
CentOS 6에서 사용되는 버전으로 다운그레이드 하고 싶은데요...
제가 초짜다 보니 생각보다 쉽지 않네요...ㅠㅠ

일단 커널이 달라서 잘 안되는 건가 싶기도 하고...
이게 가능한 건가요??

고수분들의 조언을 좀 부탁드려봅니다..

Eunsol JO@Google의 이미지

archlinux mnt 디렉토리 용량 초과

archlinux 를 처음설치해봣는데요

python -m archinstall guide 명령어 사용해서 설치했습니다

vm 에 8gb 주고 설치했습니다

필수 패키지 설치하기 위해서
pacstrap /mnt base linux linux-firmware vim man-db man-pages texinfo intel-ucode

실행하니

오류로 error : partition / too full

mnt 의 용량을 늘릴수있는 방법이있을까요?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