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tombraid의 이미지

최종사용자용으로 설치된 솔라리스를 개발자용 버전 이상으로 업

최종사용자용으로 설치된 솔라리스를 개발자용 버전 이상으로 업그레이드 하고 싶습니다.

도무지 방법을 찾을수가 없어서 이렇게 질문 올립니다.

아시는 분의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superelf의 이미지

스왑 파티션을 다시 나누고 싶습니다.

리눅스 레드햇 7.1을 사용중이고 램 512/ CPU 펜3 750/ 하드 10G의
시스템을 가지고 있습니다.

스왑파티션이 물리 램의 2배인 1G로 잡혀 있는데 이것을 줄이고 싶은데요.

fdisk 로 스왑파티션을 죽이고 다시 잡아도 문제가 없을까요?
또 늘어난 공간을 따로 파티션으로 잡지 않고 기존 파티션에 추가하는것이
가능한지요?

좋은 조언 부탁드리겠습니다.

정인철의 이미지

트래픽 모니터링 툴?

네트워크의 트래픽을 모니터링을 해보고 싶은데요..
mrtg 를 마니 쓰는 거 같던데요..
snmp 때문에 사용하던거 아니던가요?

하여간,
시스템 점검할때..
다양한 트래픽 모니터링 할대 주로 어떨 툴을 이용하십니까?
bandwidth 나 Qos 상태라든지.. 기타등등..

쉬우면서 우수한 성능을 가진 툴이 있다면.. 추천해주십시오.

sunyzero의 이미지

정말 황당한 스터디...

동생이 몇몇 사람들과 운영체제에 대해서 스터디를 한다고 말했는데 얼마전 mutual exclusion 에 대해서 물어봐서 이것저것 갈켜주고나서 관계있는 다음 부분에 semaphore여서 실제 코드를 짜주고 설명을 해주었습니다.

그리고 나서 동생이 스터디 하는 사람들에게 이것을 설명해주었는데 평소에 잘난체를 많이 하는사람이 갑자기 딴지를 걸고 나왔다고 합니다(이 사람은 비전공자라고 하더군요)

내동생: 이러저러 .... 세마포어는 쓴데...
딴지A : 흠... 요샌 세마포어 잘 안써. 그건 옛날 기술이야

mawang90의 이미지

처음 리눅스를 시작할때 alias등을 자동으로 지정하게 해줄수 있

리눅스를 배워가고 있는 초보 마왕입니다.
리눅스를 사용하다보면 alias란 명령어로 명령어들을 ls -al을 ll같이 줄여서 쓰고는 합니다. 그런데 매일 매일 이렇게 지정해주는 것은 비효율적이라고 생각해서 이렇게 질문 올립니다. 리눅스에서 처음 시작할때 alias 같은 명령어로 줄여줄 수 있나요?
알려주시면 정말 감사드리겠습니다.

yeo9597의 이미지

ports 로kde3 설치했는데 한글화가 안됩니다 ...

프비4.8 사용 중인데 ports에 보니깐 kde3 이거만 있고 국제화 버전은 없어서
kde3 설치 했는데 한글화가 안되네요.
설치 시에 잘 몰라서
#cd /usr/ports/x11/kde3
#make install clean <== 이부분에서 옵션 어떻게 주는지....
이렇게 했습니다
gnome 은 한글화가 돼있는데 ....
백묵 폰트 설치 했는데 폰트 설정에 보면 없거든여..
blackbox 에서는 백묵 폰트가 있어여 ㅡㅡ;;;;
또한가지 질문있습니다.
콘솔 상태에서 startx 했을때
어떻게 하면 gnome kde blackbox 선택해서 윈도를 사용 하는지..

zeshai의 이미지

snort 설정이 잘 안되네요....

레드햇 9를 쓰고 있구요, Apahce, MySQL은 RPM으로 설치되어 있습니다.

snort를 받아서 설치하고 다른건 다 문제가 없는데요.

여러 문서에서 본 대로 로그를 mysql로도 보내려고 하는데,

잘 되지가 않네요.

혹시 RPM으로 MySQL이 설치되어 있으면 연결이 불가능한건가요?

흠... 혹시 이문제에 대해서 아신다면 조금이라도 알려주셨으면 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new5244의 이미지

디렉토리 생성이 안됩니다.

mount 결과

Quote:
[root@kit /]# mount
/dev/sda5 on / type ext3 (rw)
none on /proc type proc (rw)
......
/dev/sdb1 on /usr type ext3 (rw)
.....

df 결과

Quote:
Filesystem 1k-blocks Used Available Use% Mounted on
/dev/sda5 5036284 122092 4658360 3% /
/dev/sda1 5036284 42692 4737760 1% /boot
/dev/sdc1 34985444 686956 32521300 3% /home
/dev/sda7 12776408 32828 12094556 1% /opt
none 515520 0 515520 0% /dev/shm
/dev/sda3 5036316 32832 4747652 1% /tmp
choeek의 이미지

FTP - Broken Pipe error

ftp로 파일전송 도중에 netout : Broken Pipe 에러가 발생했습니다. error 원인을 알고 싶습니다.

cohuman1의 이미지

네임서버를 두대 운영은 비효율 적인거 아닌가요?

안녕하세요.

전 현재 서버 1대로 네임서버와 웹사이트를 운영하고 있는데요.
웹사이트가 네임서버를 기반으로 하는거에요. (무료도메인아라고;;)

네임서버를 안정적으로 운영할려면 네임서버가 보통 두대잖아요.

만약 제가 서버를 한대 추가해서 네임서버를 두대로해서 하나를 슬레이브로 지정했다고해요.

이럴경우 마스터 네임서버에 문제가 없는한 슬레이브 네임서버는 노는거 아닌가요? 띵가 띵가~ -_-;

이럼 넘 비효율적인거 같은데요.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