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질문]리눅스 설치시 파티션 설정이 안 되요??

현재 adaptec 2901 스카시 콘트롤러에 16기가 짜리 하드와 13기가 짜리 퀀
텀 IDE 하드를 설치하여 리눅스를 설치하려 합니다

현재 스카시 하드에는 윈도 XP 가 깔려있는 상태이구요,. 나머지 13기가
하드에 리눅스를 깔려하는데 자꾸만 /tmp/hda 에 문제 있다고 bios
geometry 에 문제 있다면서 경고가 뜨고 무시하고서 넘어가도 파티션
이 나누어 지질 않습니다.

그래도 리눅스는 많이 설치해보았다고 자신하지만 이건 어떻게 해야 될지
모르겠네여??

분명히 디스크는 인식되는데..쩝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Daemon에서 Sigchild를 무시하는 까닭은?

Daemon에서 child process를 fork, exec하는 경우에 sigchild를 무시하는
소스를 본적이 있습니다.

이것은 곧 child process를 wait하지 않는다는 거이고, 결국 부모인 데몬
이 자식 프로세스보다 먼저 죽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자식 프로세스가 좀
비가 되는 경우가 없기 때문인가요?

아니면 데몬이 Server Process로 동작할때 sigchild 처리를 하는 경우에
다른 client의 요구를 제때에 반영하지 못하기 때문인가요?

그것도 아니라면 데몬의 특수성 때문에 설령 데몬이 먼저 죽더라도 chid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아파치 가상유저 호스팅에 대해

아파치로 가상유저 호스팅에 대해 질문합니다.
아파치를 소스로 컴파일 하였고 dso 모듈중 mod_rewrite.c라는 모듈을 추

해야 한다는데 그방법을 잘 모르겟어용..

예를들면 http//www.yahoo.co.kr 이잖아요
사이트에서 회원가입하면 자동으로 아이디가 리눅스 시스템 상에서 계정

생성되죠 그러니까 한마디로 http//id.yahoo.co.kr 이런식으로 할려고 하

든요 www 대신에 id 로 접속할수 잇게 자동으로 할수 있게 아파치에서 설

하는 방법이 있다고 하던데여 그 방법좀 부탁드립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링크 에러 같은데, 고수님덜 부탁합니다.

소켓 통신을 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었는데, 솔라리스에서 잘 돌아가는데
터보리눅스에서는 잘 안 돌아갑니다. 리눅스에서는 소켓 라이브러리를
따로 부르지 않아도 된다고 해서 소켓 라이브러리를 뺐습니다.
아래의 lsock, llog 제가 만든 라이브러리 입니다.
소스는 우선 솔라리스에서 컴파일 했으므로 문제는 없는것 같습니다.
아시는 분 리필 좀 달아 주세요.

Makefile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
##########################################################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사용자 로그오프 시키는 방법 좀...^^&

안녕하십니까?
현재 제 리눅스에 텔넷으로 접속하면 예전에 제가 접속한 계정이 그대로
남아있습니다.

who 명령어로 보면....
user1 pts/0 ... <- 예전에 접속했던것...
user1 pts/1 ... <- 현재 접속한것...

이렇게 나오는데.... 예전에 접속한 계정을 어떻게 로그오프 시킬수 있
는지 알고 십습니다...
제발 도움 부탁 드립니다...

리눅스 만세...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리눅스 커널 어셈블리고수님의 지도 바랍니다.

리눅스 커널 2.41에서 보면 현재 task를 저장하는Function switch_to가 있
잖아요?
그 소스 내에 있는 어셈블리 내용중하나를 질문합니다.
%0 == last %1 == next , %2 ==prev인것같은데요 %3 , %4는 무엇을 가리키
죠?
아니면 제가 잘못 알고 있나요?
빠른 답변 바랍니다.

#define switch_to(prev,next,last) do {\
asm volatile("pushl %%esi\n\t"\
"pushl %%edi\n\t"\
"pushl %%ebp\n\t"\
"movl %%esp,%0\n\t"/* save ESP */\
"movl %3,%%esp\n\t"/* restore ESP */\
"movl $1f,%1\n\t"/* save EIP */ \
"pushl %4\n\t"/* restore EIP */ \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갑갑합니다. 시원한 답변의 비를 내려주소서

사설ip를 쓰고 있는 2대의 컴퓨터
하나는 리눅스고요 하나는 윈도우입니다.
리눅스 172.16.1.48 (와우linux 7.1)
윈도우 172.16.1.49 입니다. (win98)
윈도우에서 리눅스 서버에 접근하고자 IP<172.16.1.48>를 치면
텔넷, FTP, 웹서버 모두 접근이 안됩니다. 어떻게 해야합니까?

httpd.conf파일에서 server name을 사설 ip로 해놓았습니다.<172.16.1.48>
웹서버는 잘 돌아가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그런데 윈도우가 깔려있는 컴에서 http//172.16.1.48을 치게 되면
뜨질 않습니다. 어떻게 해야 합니까? 보안설정은 하지 않은 상태입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부팅 -- 이런 경우 왜 안되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이런 2가지의 경우 왜 부팅이 되지 않는지 부탁을 좀 드립니다.

1번째

hda1 -- 30G --WIN2K (NTFS)
sda1 -- 9G ---R.H 7.2

이렇게 설치하면 부틷이 양쪽 모두 잘됩니다.

근데 문제는 저의 보드가 IDE RAID ON BOARD 이거든요.
처음에 셋업할때는 RAID 설정을 하지 않았지요.
양쪽 모두가 부팅이 잘되는것을 확인 하고 RAID 를 설정하고
참고로 RAID 에는 40G 4개의 IDE 가 달려 있습니다.

RAID 를 설정해주고 부팅을 하면은 부팅이 되지를 않습니다.
물론 다시 RAID 를 죽이고 부팅하면 양쪽으로 모두 잘됩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점 갈켜주세요 계정주는거.

에드유즈로 유즈를 추가한담에 그담 할일이 있잖아요. 그게 뭐죠..?
답점 달아주세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alarm함수 사용법 좀 가르쳐 주세요..

소켓 프로그램에서 일정시간마다 메세지를 띄우려고 alarm함수를

사용하려고 하는데

어떻게 사용하는지를 모르겠습니다.

고수님들의 답변 부탁드립니다.

페이지

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