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 커널과 모놀리식 커널 구조의 차이점에 대한 글을 읽었는데 이해가 잘 안되는 부분이 있어서 질문 드립니다.
글 본문 내용에서요
"마이크로 커널은 핵심적인 기능(스케줄링, 메모리관리 등) 만을 포함하고
나머지는 유저모드에 추가되는 식이다. 예를 들면 디바이스드라이버, 파일시스템은 유저모드에 들어간다."
라고 되어있었고, 마이크로 커널의 예시로 윈도우즈를 들었는데요.
1. windows에도 파일시스템과 디바이스드라이버가 전부 커널모드에 있지 않나요? ( 물론 유저모드랑 조금 나뉘지만요... 예를들면 pnp관리자가 usermode pnp 관리자 / kernelmode pnp 관리자 나뉘는 것처럼요)
뭔가 직관적으로 이해할만한 예시가 있을까요 ??
2. 리눅스에서는 드라이버 추가시 커널을 재빌드 한다고 하는데 정말인가요?
윈도우즈는 드라이버를 서비스처럼 등록해주는 것에 비해 리눅스에서의 드라이버 추가는 굉장히 큰 일 처럼 느껴지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