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morphism의 이미지

콘도, 골프 자동 예약 프로그램...어떻게 만들면 되는지요

안녕하십니까

국내 유명 콘도 또는 골프 사이트의 경우

접속자가 한꺼번에 몰려서 예약이 삽시간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를 극복하고 원하는 시간대에 예약을 성공적으로 하기를 원합니다

이것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이 있다고 들었습니다

아마도 python selenium?? 라이브러리 같은 것을 쓰면 된다고 하는데요

1. 이런 프로그램을 뭐라고 하는지 궁금합니다

2. 이런 프로그램을 python으로 짠다고 하면, 어떤 공부를 해야 하는지

난이도나 개발 시간이 많이 걸리는지 등등

여기에 대해 회원님들의 조언을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yanggungg의 이미지

임베디드 485통신 개발 중 슬레이브에서 온 데이터가 읽히지 않습니다.

485를 이용해 마스터와 슬레이브간 통신을 구현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마스터에서 보낸 신호를 슬레이브가 받아 응답을 출력하는 부분까지는 구현된 상태입니다.
(이 부분은 PC와도 라인을 같이 연결해서 시리얼캡쳐 프로그램을 이용해 확인하였습니다.)
(슬레이브의 응답데이터도 기술문서에 작성되어있는 응답데이터와 일치하는것 또한 확인하였습니다.)

문제는 마스터 쪽에서 슬레이브의 응답데이터가 읽히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구현에 문제가 있나싶어 다른 종류의 슬레이브 장치를 구해 마스터로 신호를 보내봤는데 이 때는 잘 읽힙니다.

뭔가 놓친 부분이 있긴 한것 같은데 제가 485통신에 대해 배우거나 작업을 한적이 없어서 전혀 감을 잡을 수 없어 글 올립니다.

아래는 마스터의 시리얼을 read 모드로 셋팅할 때 호출하는 터미널셋팅입니다.

dyjin의 이미지

arm kernel object disassemble 문의

kernel object를 disassemble 코드를 확인하다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있어 문의드립니다.
parmeter r0 는 0 인상태로 호출됩니다.
46555 line의 load는 전역 구조체 변수를 읽는 것인데요 여기서 base address r3 는 46549 의 mla 에 의해서 0이 될 것으로 보이는데요, 어떻게 가능한것일까요? kernel module loading 시 뭔가 변형이 일어날 것 같은데요 고수님들의 조언 부탁드립니다.
코드는 문제없이 동작하는 코드입니다.
감사합니다.

46555 에서 access하려고하는 전역 변수의 위치는 아래와 같습니다.

 readelf -s file.ko | grep global_symbol
 70486: 0003314c    40 OBJECT  GLOBAL DEFAULT   29 global_symbol

wlstn8224의 이미지

클라이언트 서버간 네트워크 통신

안녕하십니까. 클라이언트 서버간 통신을 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고 싶어하는 사람입니다. 잘 설명할지 모르겠지만 현 상황은 이렇습니다.

총 3곳(물리적 장소가 다름, 동일한 서버에 데이터 전송 예정)

클라이언트 IoT기기(데이터 생성됨) --- KT egg(포트포워딩 기능 없음) ---- 동일한 서버(이미 구축되어있음)


이러한 상황에서 클라이언트 IoT기기 부분에서 데이터가 생성되면 서버로 초당 데이터를 쏴주면 됩니다.(송신만 하면 됨)


1. 이미 구축되어있는 서버에서 통신을 하려면 체크해야 되는 부분이 어떠한 것이 있나요?

잘 모르겠으나 직감적으로 IP?, 방화벽해제 방법?, 서버에 물려있는 공유기?, 포트포워딩? 등이 있을 것 같은데 조언좀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 위의 네트워크 환경에서 TCP 소켓 프로그래밍으로 송신 가능한가요?

happyoht11의 이미지

오늘 시험에 나온 html이 이해가 가지 않아 질문합니다.

제목과 같이 오늘 시험본 내용중 처음보는 내용이 있어 질문합니다.
html에서 표 또는 일반 텍스트를 출력할 때, 글자 주위에 음영 또는 표 한칸 색채우기를 할 때
@텍스트내용, ~텍스트내용, #텍스트 내용 이런 방식으로 입력하여 조절하는 방법이 있나요?
앞의 기호 중 하나를 선택하여 고르는 문제였는데 저는 처음 보는거라 이해가 안가네요.ㅠㅠ
전문가님들 부탁드립니다.

kyj_kr의 이미지

안드로이드 액티비티 Dialog 테마 설정에 문제를 겪고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안드로이드 개발 중에 액티비티를 다이얼로그처럼 보이고 싶은 부분이 있어서

android:theme="@style/Theme.AppCompat.Dialog" 으로 액티비티 테마를 설정했는데, 이렇게 하면 액티비티가 다이얼로그 형식으로 잘뜨긴하지만 안에 리스트뷰의 데이터들이 뜨질 않습니다.

근데 여기서 android:theme="@style/Theme.AppCompat.DayNight.Dialog" 으로 테마를 바꿔주면 아주 잘 뜹니다... 테마를 Theme.AppCompat.Dialog로 하면 안되는 제약사항이나 추가 설정사항이 있는건가요?

###추가###

보니까 Dialog 테마를 설정 후에 리스트의 아이템들의 textColor를 검은색으로 바꿔주니까 뜨긴뜨네요. 뭔가 테마의 색상에 차이가 있는거 같은데 자세히 설명 혹은 링크 올려주실분 계신가요?

zip9seok의 이미지

솔라리스10 / Filesystem이 계속 증가하고 있는데 du 명령어로 찾아봐도 못찾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최근 솔라리스 서버에 / filesystem 용량이 계속 증가해서

(/ 파일시스템은 총 19G 이고 오늘 확인해보니 2일전과 비교시 400M가 증가했더군요.. 2% 증가, 총 75% 사용중)

du -sh 명령어로 각 디렉토리 용량을 며칠 전 용량과 비교해봤는데 용량이 증가한 디렉토리를 찾을수가 없었습니다...

400M 증가한거면 du 결과에도 눈에 띄어야하는데 그런건 없었고요... 2일전 du 결과값과 똑같네요...

증가한것이라곤 swap filesystem으로 마운트 된 /tmp 디렉토리 뿐인데...

혹시 /tmp 쪽이 증가하면 / Filesystem 용량도 증가하나요?? 그건 아닌거 같은데...

2일이내 생성된 파일을 찾는 find / -ctime -2 -print 명령어로도 찾아봤으나

/ filesystem 쪽에 생성된 파일은 전부 몇십 kb, 1~2 메가 수준으로 용량이 작거나 proc 파일시스템으로 마운트 된 /proc 디렉토리쪽 뿐이네요...

qazplm123321의 이미지

라즈베리파이에서 아파치를 이용해서 어플로 데이터를 보내려고하는데

학교 제출용이라 간단하게 코딩 결과값만 어플에 뜨면 되는데요
어떤 방식으로 해야할지 도저히 가닥 좀 잡아주실 수 있을까요

chocokeki의 이미지

makefile 병렬빌드 할 때 의존성 문제 때문에 문의 드립니다

제목이 뭔가 복잡한데요 아래와 같은 문제를 겪고 있습니다

p1: job1 job2 job3 ...
p2: job4 job5 ....
all : p1 p2 .....

싱글코어로 make를 하면 이상없이 잘 되는데요 병렬빌드 옵션인 -j를 넣으면 빌드가 정상적으로 이뤄지지 않습니다.

원인을 분석해보니 all: 에 있는 p1 작업과 p2 작업이 순서를 반드시 지켜야 해서 그러는 것 같습니다

다시말해서 p1이 완벽히 끝나야 p2 컴파일 진행이 되야 하는데 병렬 빌드를 시키면 p1, p2를 같이 컴파일 작업을 수행해서 문제가 발생합니다
(p1의 job1 작업에 파일 삭제 같은 구문이 있습니다)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야하는지 아시는분 계신지요?
job1의 삭제 구문은 반드시 있어야 합니다

makefile sequential dependency 키워드로 검색해보니 pipe 쓰라는 얘기가 있어서
all: p1 | p2로 시도해보았으나...안되네요

stew의 이미지

CentOS 8 systemd

안녕하세요. 리눅스 systemd에 관련해 질문 드립니다.

CentOS 8에서 apache 2.4.48을 컴파일 설치하여

./apachectl start 명령어로 실행시켰습니다.

(systemd에 수동으로 서비스 등록을 하지 않은 상황)

그런데 systemd에 수동으로 서비스 등록을 하지 않았는데 pstree 명령어로 확인해보니 httpd 데몬이 systemd 위에서 작동하고 있었습니다.

서비스 등록을 하여 httpd.service로 httpd를 작동하는 방식과 ./apachectl로 서비스 등록을 하지 않고 httpd를 작동하는 방식의 차이가 있을까요?

페이지

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