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읏짜의 이미지

device driver ioctl 인자 전달

user app에서 어떤 device driver에 구현된 ioctl을 호출해서 data를 넘겨줄 때 질문이 있습니다.

user app에서 어떤 data라는 변수를 만들어서 ioctl에 인자로 넘겨줄 때
ioctl(fp, cmd, &data) 식으로 변수의 주소 값을 인자로 넘겨주고

device driver에 정의된 ioctl(fp, cmd, unsigned long arg)에서 arg로 위의 user app의 ioctl에서 인자로 넣어준 data의 주소 값이 들어오는 건가요..?

ph****@Naver의 이미지

rpmbuild로 직접 .rpm 제작시 어려움을 격고 있어요...

리눅스 공부하고 있는 직장인 입니다.

이번에 공부하면서 .rpm 파일을 직접 만들어 보고 싶은 생각에 진행 중인데

진행 관련에 있어 어려움을 겪고 있어 이렇게 글을 남깁니다.

1. nginx 소스파일을 받았습니다

2. nginx 소스파일을 ./configure

sinsisao의 이미지

make second expansion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최근에 make 공부를 하고있습니다.

second expansion를 공부하는 와중에 궁금증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lalupo20의 이미지

듀얼부팅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현재 놋북에 윈10(ssd)+데비안(hdd) 설치해두고

쓰고 있는데요.

이제 리눅스가 쓸모없어졌거든요.

그래서 포맷해버리려고 하는데

리눅스 들어있는 하드디스크 포맷해버리면

그럽 날라가서 윈도우로도 부팅안되는 현상이 발생할까요?

아니면 그냥 지워버려도 괜찮을까요?

rp2kmc의 이미지

shell 에서 특정 파일의 내용을 다른파일의 특정 라인 다음줄에 추가하는 명령을 알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도저히 답이 안나와서 다시 찾아왔습니다.
제가 무작위로 ping을 날려서 응답이 오는 IP를 따로 파일로 저장하였습니다.
===========================================
#!/bin/sh

ping -c 3 10.1.112.41 >ping.txt
ping -c 3 10.1.112.51 >>ping.txt
ping -c 3 10.1.112.109 >>ping.txt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TCP 소켓 통신 문제

간단히 설명하자면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메시지를 보내고 서버가 똑같이 응답해주는 일종의 에코 서버입니다. 그런데 외부에서는 접속이 잘만 되는데 같은 컴퓨터에서 서버와 클라이언트를 동시에 구동하면 접속이 거부됩니다. 아래는 전체 소스코드 내용입니다.

서버 소스 코드:

morphism의 이미지

콘도, 골프 자동 예약 프로그램...어떻게 만들면 되는지요

안녕하십니까

국내 유명 콘도 또는 골프 사이트의 경우

접속자가 한꺼번에 몰려서 예약이 삽시간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를 극복하고 원하는 시간대에 예약을 성공적으로 하기를 원합니다

이것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이 있다고 들었습니다

아마도 python selenium?? 라이브러리 같은 것을 쓰면 된다고 하는데요

1. 이런 프로그램을 뭐라고 하는지 궁금합니다

2. 이런 프로그램을 python으로 짠다고 하면, 어떤 공부를 해야 하는지

난이도나 개발 시간이 많이 걸리는지 등등

여기에 대해 회원님들의 조언을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yanggungg의 이미지

임베디드 485통신 개발 중 슬레이브에서 온 데이터가 읽히지 않습니다.

485를 이용해 마스터와 슬레이브간 통신을 구현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마스터에서 보낸 신호를 슬레이브가 받아 응답을 출력하는 부분까지는 구현된 상태입니다.
(이 부분은 PC와도 라인을 같이 연결해서 시리얼캡쳐 프로그램을 이용해 확인하였습니다.)
(슬레이브의 응답데이터도 기술문서에 작성되어있는 응답데이터와 일치하는것 또한 확인하였습니다.)

문제는 마스터 쪽에서 슬레이브의 응답데이터가 읽히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구현에 문제가 있나싶어 다른 종류의 슬레이브 장치를 구해 마스터로 신호를 보내봤는데 이 때는 잘 읽힙니다.

뭔가 놓친 부분이 있긴 한것 같은데 제가 485통신에 대해 배우거나 작업을 한적이 없어서 전혀 감을 잡을 수 없어 글 올립니다.

아래는 마스터의 시리얼을 read 모드로 셋팅할 때 호출하는 터미널셋팅입니다.

dyjin의 이미지

arm kernel object disassemble 문의

kernel object를 disassemble 코드를 확인하다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있어 문의드립니다.
parmeter r0 는 0 인상태로 호출됩니다.
46555 line의 load는 전역 구조체 변수를 읽는 것인데요 여기서 base address r3 는 46549 의 mla 에 의해서 0이 될 것으로 보이는데요, 어떻게 가능한것일까요? kernel module loading 시 뭔가 변형이 일어날 것 같은데요 고수님들의 조언 부탁드립니다.
코드는 문제없이 동작하는 코드입니다.
감사합니다.

46555 에서 access하려고하는 전역 변수의 위치는 아래와 같습니다.

 readelf -s file.ko | grep global_symbol
 70486: 0003314c    40 OBJECT  GLOBAL DEFAULT   29 global_symbol

wlstn8224의 이미지

클라이언트 서버간 네트워크 통신

안녕하십니까. 클라이언트 서버간 통신을 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고 싶어하는 사람입니다. 잘 설명할지 모르겠지만 현 상황은 이렇습니다.

총 3곳(물리적 장소가 다름, 동일한 서버에 데이터 전송 예정)

클라이언트 IoT기기(데이터 생성됨) --- KT egg(포트포워딩 기능 없음) ---- 동일한 서버(이미 구축되어있음)


이러한 상황에서 클라이언트 IoT기기 부분에서 데이터가 생성되면 서버로 초당 데이터를 쏴주면 됩니다.(송신만 하면 됨)


1. 이미 구축되어있는 서버에서 통신을 하려면 체크해야 되는 부분이 어떠한 것이 있나요?

잘 모르겠으나 직감적으로 IP?, 방화벽해제 방법?, 서버에 물려있는 공유기?, 포트포워딩? 등이 있을 것 같은데 조언좀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 위의 네트워크 환경에서 TCP 소켓 프로그래밍으로 송신 가능한가요?

페이지

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