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ekdud6562의 이미지

firewall 로그 설정이 궁금합니다

rocky 사용중입니다 firewall에서 drop이나 reject같은 경우는 자체적으로 로그가 생성이 되지만 정책이 추가되거나 삭제되는 경우의 로그는 어떻게 확인할 수 있나요? 아마 자체적으로는 안될거 같은데 어떤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hardboiled65의 이미지

Wayland 클라이언트에서 입력기와 통신하는 방법을 찾고 있습니다

요즘 Wayland 클라이언트 프로그래밍에 푹 빠져 있습니다.

https://jan.newmarch.name/Wayland/index.html

이 사이트가 도움이 많이 됐는데 좀 오래되어 나름 최신 프로토콜을 적용하는 연습도 해봤습니다.

GUI 프로그램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깊이있게 알고싶어서 GTK나 Qt에 의존하지 않고 직접 shared memory에 접근해 렌더링하는 방식으로 예제 애플리케이션들을 짜보고 있는데 대망의 한글 입력 부분을 구현할 단계가 되었습니다만.. 문제는 제가 리눅스에서 입력기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전혀 모른다는 점 입니다.

검색을 좀 해보니

study의 이미지

char 대신에 int8_t 를 사용할 수 없는건지요?

아래 code와 같이, 자료형을 stdint.h를 사용해서 바꿔보았는데,

#include <stdio.h>
#include <stdlib.h>
#include <string.h>
#include <stdint.h>
 
int32_t main(int32_t argc, int8_t *argv[])
{
   int32_t i;
 
   if (argc < 1)
   {
      printf("Error\n");
   }
 
   for (i = 0 ; i < argc ; i++)
   {
      printf("argv[%d] = %s\n", i, argv[i]);
   }
 
   return 0;
}

컴파일하면 다음과 같은 warning이 나오네요

esaram5의 이미지

ZIP파일 시그니처 비트 관련 질문 입니다.

C언어로 zip파일을 분석하는 프로그램을 만들고 있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파일의 내부 hex값에서 End of central directory record의 위치를 먼저 알아내려는 작업을 하려 합니다.

그런데 시그니처 비트인 0x06054b50가 파일안에 여러 번 존재해서 오류가 발생합니다.

마지막에 발견한 0x06054b50을 시그니처로 사용하기엔 .ZIP file comment (variable size) 내부에도 0x06054b50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어 코드를 짜는데 어려움이 있습니다.

혹시 시그니처 비트를 효과적으로 탐색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현재는

읏짜의 이미지

makefile 내에서 insmod

커널 모듈 makefile 안에서 insmod까지 되도록 하고 있는데요, insmod하려면 sudo 권한이 필요해서 makefile안에서 sudo insmod ~~~.ko가 되어있는데 sudo없이 insmod 되도록 할 수 있나요?
sudo없이 insmod는 make 실행할 때 권한이 없어서 insmod 오류가나서,,,

gyoonus의 이미지

lxc move_fd MACRO 관련 질문...

안녕하세요... 뉴비입니다..

lxc 분석하다가 ... 질문이 하나 있어서~ 문의드립니다.

esaram5의 이미지

전에 올린 파일포인터 관련 질문입니다.

제가 분석하려는 파일은 40MB쯤 되는 ZIP파일 입니다. Visual studio 에서 디버깅을 할 때 find_end_C_D함수에서 파일을 끝까지 읽지 않고 중간에 while 문을 종료합니다. 크기가 작은 파일을 이용해 봐도 끝까지 탐색하지 않는데 어디가 잘못된 것인지 알 수 있을까요? 종료되는 지점은 HxD에서 hex로 파일을 읽었을 때 offset이 450인 지점이였습니다. 작은 파일일때는 30kb정도의 파일을 사용하고 offset은 150에서 끝났습니다.

study의 이미지

TeraTerm 자동 login을 하는 배치파일을 만들려고 하고 있습니다.

Tera term 창을 여러개 열고 linux machine에 접속하는 일을 매일 하다보니, 자동화를 할 수 있으면 좋지 않을까 싶어서, 배치파일을 아래와 같이 만들어보았는데, 잘 안되네요

일단 배치파일은 아래와 같습니다.

c:\teraterm\ttermpro.exe 192.168.1.118 /M="multi_teraterm_setup.ttl" /W="Teraterm-setup" /X=100 /Y=80

그리고 multi_teraterm_setup.ttl의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읏짜의 이미지

kfree 리턴 값

kmalloc으로 할당한 메모리를 kfree로 해제할 때 kfree는 리턴 값이 어떻게 되나요?

페이지

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