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bao의 이미지

리눅스 top 명령어 질문있습니다..

top 명령어로 프로세스 정보를 좀 보려구 하는데

특정 유저로 검색을 해서 봐도 떠있는 프로세스가 너무 많아서 목록에 한번에 보이지가 않던데

한번에 볼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gksrlf2ek의 이미지

ARM 어셈블리에서 SWI랑 LDR, STR가 하는 역할이 뭐죠??

ARM 어셈블리 프로그래밍을 배우고 있습니다.

SWI 0라는 코드에 대해 처음에는 그냥 프로그램을 끝내고 터미널로 나가는 명령인가보다 했는데,

점점 배우다보니 SWI 0가 코드에 하나만 있는게 아니더라구요.

그렇다고 종료하는 지점이 여러개인것도 아니라서 잘못 이해하고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SWI 0라는 코드가 실행되면 일어나는 일과,

실질적으로 SWI 0라는 코드를 언제 써야하는지

에 대해 설명해주실수 있나요?

그리고 LDR, STR을 실행하면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와

MOV와 위 두 명령의 차이가 궁금합니다.

지금 고민 중인 코드는 이것입니다.

ansdyd66의 이미지

c 언어 포인트를 이용한 배열 합 인데 함수를 하나로 줄일수도 있나요?밑에 질문은 제가 잘못 올렸습니다

밑에 코드를 보면 2개의 함수로 이루어져 있는데요.
두개의 함수를 하나의 함수로 압축이 가능할까요?

참고로 밑에 있는 글은 제 글 인데,
잘못 적었습니다./
죄송합니다.

qw3709의 이미지

파이썬 질문이요

import os
 
password=0;
 
file=open("secret.txt","r")
 
 
 
for i in file:
	print"\n"+i
	for j in range(97,122):
		if i == j:
			password +=chr(j)
			print "find pw: " + password
		if j == 126:
			print "password is %s" %(pw)
 
print (password)
 
 
file.close()

secret파일안에있는 문자열을 찾는 코드인데
찾긴찾는데 출력후 다시 실행시키면 아무것도안뜨네요..
다시띄우려면 어떻게해야하죠??
ex)
>>import seceret
>>secret 1
>>import secert
>> <- 아무것도안뜸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파이썬 에러질문..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소수 출력 프로그램이 잘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밑에 코딩은 소수를 1000000000 까지 계속해서 출력하는 프로그램인데요. int is_prime(int n) 의 함수 부분이 잘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

또 메인 부분에서 printed++ % 15 == 0 이 식도 잘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어째서 15를 나눈 나머지로 식을 세운건지 알고 싶습니다.

lux1075의 이미지

busybox 1.27.2 cross compile

안녕하세요~

busybox를 크로스컴파일 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고수님들의 노하우를 알고자 질문합니다.

busybox 1.27.2는 (https://www.busybox.net/) 에서 직접 다운로드를 하였고,

mg2000의 이미지

안드로이드와 임베디드간의 TCP 통신시 패킷 손실 문제...

제가 안드로이드를 서버로 임베디드 기기를 클라이언트로 해서 TCP 통신을 하는데...

웬만해서는 크게 문제가 없는데, 간혹 몇몇 임베디드 기기와 통신이, 안드로이드쪽에서 패킷을 보냈는데 그에

대한 ACK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있네요.

그냥 허브 한대에 랜선으로 연결했는데, 이렇게 단순 연결시에도 패킷이 소실될 가능성이 있는 건지...

패킷이 100% 한번에 전달되는 것을 보장할 수 없더라도,

응답이 없으면 빠르게 재전송을 시도하고 싶은데,

안드로이드 쪽에서는 2초 정도 후에 재전송을 시도하더라고요.

보통 1~200ms내에 응답이 없으면, 이미 전송이 안됬다고 봐도 좋을 환경인데...

재전송을 빠르게 재시도 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

자바에서는 재전송 타이머 시간에 대해 별다른 설정 옵션이 없는 것 같고...

백연구원의 이미지

redis 사용에 질문이 있습니다.

redis 에 빈번한 주기로 데이터를 적재하려고 하는데요,

redis-cli 로 (로컬) 서버에 접속만 해도 TIME_WAIT 상태가 1개 생기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이 상태는 정상적은 tcp 커넥션 과정이니 문제가 없다는 것은 아는데요. 이 주기가 빈번해져도 문제가 없을까요? 가령 아래와 같은 코드가 무한히 돌아가고 있다고 보셔도 됩니다.

while (1) {
    redis connect()
    redid close()
}

대략 돌려보니 TIME_WAIT 상태로 1만개 이상이 유지됩니다. 이상태로 운영해도 문제가 안될까요? 또한 redis-cli info 에서 total_connections_received 의 값은 계속 증가하고 있고요. 이 값은 단순히 연결을 받은 횟수를 모두 기록하기 때문에 상관 없다는 글도 보기는 했습니다)

페이지

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