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kwkimg3100의 이미지

리눅스로 파일전송하는 함수 구현하려하는대

소켓은 구글링을 통해서 컴퓨터가 어떤식으로 통신하는지 알게됬습니다

근대 파일전송은 어떻게 하는지 찾기가 어렵네요

어떤 원리로 파일이 전송되는 건가요?

c언어로 구현중입니다

네트워크단에서의 설명말고 컴퓨터입장에서의 원리를 알고싶습니다

Yi Soo An@Google의 이미지

gdb 사용할 때 이런 경로는 왜 생성되고 올바른 패스로 참조시키려면 어떻게 하나요?

libglib2.0-dev, libglib2.0-debug 모두 설치했습니다.
소프트웨어 디버깅 도중에 glib의 참조 경로가 아래와 같이 뜹니다.
/build/glib2.0-xxxxxx/glib2.0-2.48.2/./glib/gmain.c
디버깅하려고 frame 1 명령어를 치니 gmain.c 같은 파일이나 폴더를 찾을 수 없다고 나오네요...
검색해봐도 관련 내용은 나오지 않는 것 같은데... 왜 이런게 생기고 어떻게 하면 해결할 수 있을까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리눅스(centos) 부팅시간 단축시키는 법

centos 사용 중 입니다

제목 그대로 부팅시간 단축시키는 방법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ssh 터널링 관련 질문입니다.

제가 어느 한 우분투 서버에 kvm으로 가상머신을 만들었는데 이 가상머신은

따로 공인 ip가 아닌 사설 ip로 192.168.0.x로 설정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실제 작업하는 윈도우 서버에서 xshell로 가상머신에 접근을 하려면 우분투서버 접근 후 ssh 명령친후 접근을 해야하는데

혹시 ssh 터널링을 통해서 바로 윈도우에서 우분투서버 네트워크 안에 있는 사설망 가상머신에 바로 접근이 가능할까요?(해당 서버에서 포트포워딩한 해당 kvm으로 바로 연결 될 수 있게)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OS(Kernel) Loading Image 변경

OS(Kernel) Loading Image 변경문의

freax의 이미지

FEDORA CORE 26 응급복구 USB에서 /dev/nvme0n1p3 SSD MOUNT 방법 알려주세요

FEDORA CORE 26 응급복구 USB에서 /dev/nvme0n1p3 SSD MOUNT 방법 알려주세요

PARTITION TYPE : LINUX FILESYSTEM, CONTENTS : LUKS ENCRYPTION (VERSION1) - UNLOCKED

sudo mount /dev/nvme0n1p3 /mnt/nvze0n1p3 했는데
mount: unknown filesystem type 'crypto_LUKS'
이라고 나옵니다

해결방법 주세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C 와 Java 간의 소켓 통신시 문제

클라이언트는 C 언어로 되어 있고, 서버는 자바로 구현되어 있습니다.

클라이언트에서 데이터 전송시 (한글없는 영문/숫자 문자열)

서버쪽 프로그램에서 처리가 안되는데 서버측은 아스키 모드로 전송하라고 얘기합니다.

클라이언트에서 보낼때 소켓 통신 모드를 지정할수 있나요?

아니면 클라이언트쪽에서 데이터 전송시 어떤 작업을 해주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Event-Driven, Multi-Thread의 차이점에 대해 질문.

Event-Driven, Multi-Thread의 차이점에 대해 궁금한게 있어서 질문합니다.

Event-Driven 방식은 미리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등록해놓고 비동기 상태로 있다가 이벤트가 발생되면 미리 지정된 콜백을 호출하는것으로 알고있고, Multi-Thread는 여러개의 스레드가 특정 이벤트가 발생할 때 까지 루프를 돌다가 이벤트가 발생하면 처리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틀린부분이 있으면 지적해주시기 바랍니다.

이 두개의 차이점이 뭔가요?

아무리 이벤트-드리븐 방식이라해도 특정 이벤트가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알려면 루프를 돌아야되고, 루프를 돌게되면 블로킹 상태가 되는데, 넌 블로킹(비동기)식으로 구성하려면 제2의 스레드를 생성해서 이벤트의 발생 유/무를 감시해야 되는거 아닌가요???

kwkimg3100의 이미지

소켓 통신에서 inet_pton과 inet_addr의 차이점이 뭔가요?

inet_addr의 경우에는 &구조체변수.sin_addr.s_addr에 할당하는반면에 inet_pton은 &구조체변수.sin_addr에 할당하던대

이 두함수의 차이점을 알고싶어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문자열로 표현된 트리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방법

트리 구조로 표현할 데이터를 문자열로 받아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려고 합니다.

문자열은 트리의 중첩된 괄호 표현방식의 문자열을 입력받습니다.
(ex. [A[B][C[D]]])

이는 실제
A
|
B C
|
D
위 그림과 같은 트리구조를 표현하는 문자열입니다. 중첩된 괄호 표현으로 나타낸 문자열을
데이터베이스에 어떻게 저장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데이터 베이스에는 [고유아이디(기본키),부모아이디,데이터] 와 같이 표현하여 위 트리를 [1,0,'A'],[2,1,'B'],[3,1,'C'],[4,3,'D']와 같이 표현하고 싶은데, 위 문자열의 대괄호 수나 포함 구조 등을 계산하여 데이터베이스로 나타내는 알고리즘을 어떻게 짜야할지 고민입니다..!!

문자열을 풀어 트리구조를 알 수 있는 알고리즘이 있다면 알려주세요ㅠㅠ

페이지

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