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onetwoeight의 이미지

symbol (간단한 질문)

//one.c
int x=0; //weak symbol
p1() {x=3;}

//two.c
int x; //weak symbol
p2() {}

만약 linker가 two.c를 기준으로 잡았을 때
위와 같이 p1의 x를 초기화해주는데, 왜 two.c의 x에 영향이 가냐요?
linker가 two.c를 기준으로 골랐는데도요!!

onetwoeight의 이미지

[linux] curses에서 getch

질문 두 개 중에 아는 것 하나만 답해주셔도 너무너무 감사해요!!

Q1. curses.h를 include 해주었는데도 컴파일 할 때 -lcurses 플래그를 붙여주는 이유가 뭔가요?

Q2. input으로 받을 것도 getch()를 해주는 이유가 궁금해요! refresh()기능을 내포하고 있어서 refresh()를 주석처리하면 정상 작동하는데 getch()를 주석처리 했더니 화면이 아예 안타나내요ㅜ

#include <stdio.h>
#include <curses.h>
 
int main()
{
	initscr();
 
	clear();
	move(10,20);
	addstr("Hello, world");
	move(LINES -1, 0);
 
	refresh();
	getch();
 
	endwin();
 
	return 0;
}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어셈블리 코드 질문 조금 급합니다

movl 8(%ebp), %eax
movl 12(%ebp), %edx
leal (%edx, %eax) %ecx

위와 같은 코드가 있고 8(%ebp) 여기에 a란 값이 있고 12(%ebp) 여기에 b란 값이 있을 때

leal (%edx, %eax) %ecx

위 코드가 실행 되면 %ecx에는 a + b 값이 들어가는지 아니면 a의 주솟값(예를 들어 0x100) + b의 주소값 (0x108)인 0x208이 들어가는지 궁금함 그리고 mov와 lea의 차이가 잘 와 닫질 않음 그리고 인덱스 주소지정방식도 좀 헷갈림 위에 lea 명령어에서 쓰긴 했는데 저게 주솟값 연산인지 아니면 레지스터 주솟값 연산인지 헷갈려 미치겠음 알려주면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anny724의 이미지

안녕하세요 리눅스 시작한지 3일 된 초보입니다

.bash_profile을 수정하고 적용하려고 source ~/.bash_profile을 했는데요.
계정이름(? 뭐라 부르는지 모르겠어요)이 전에는 [username@hostname ~ ]$이었는데 -bash-4.1$로 바뀌었어요...
왜 이런거죠? 처음으로 돌아가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 모르겠어요
이런 기본적인 질문 하는곳이 아니라면 죄송합니다. 어디에 어떻게 물어봐야 될지 모르겠어서요 ㅠㅠ

seoul_girl의 이미지

iptable 자료 저장 문제에 대해서...

안녕하세요.

centos 6 버전인데요,
제가 iptable에 내용을 입력하고
iptable을 재 시작하면 해당 내용이 모두 없어져 있습니다.

제 절차가 무엇이 잘못된 것인지 조언 좀 구하고 싶습니다.
저는 주로 vi 에디터로 iptable을 수정하는 방식을 이용합니다.

# vi /etc/sysconfig/iptables

내용 추가 함

# service iptables save <- 여기가 안먹힘 ㅠㅠ
# service iptables restart

위와 같이 하는데 iptlbes 내용에 제가 추가한 내용이 포함되지 않고
다시 진입하면 이전 내용이 그대로 있습니다.

# vi /etc/sysconfig/iptables

제가 잘못이해하고 있는 것일까요?

ekejaqutmqk의 이미지

WSL2가 CPU를 제대로 활용하질 않습니다.

기존에는 우분투 + 윈도우 듀얼부팅환경에서 작업했었는데,
이번에 i9-13900K 사양의 새 컴퓨터를 받게 되어서 WSL로 해볼까 싶어 넘어왔습니다.

각설하고
WSL에서 QEMU를 돌리는데 너무 느려서 뭘 할수가 없는 수준입니다.
WSL로 들어간 뒤 nproc으로 확인해보면 32코어(Host와 동일) 모두 들어가 있는게 맞는데
윈도우에서 작업 관리자로 CPU 사용률을 보면 7~8%를 넘기지 않습니다.
논리프로세서 그래프로 확인하여도 1~2개의 코어만 사용합니다.

QEMU가 코어를 두개만 사용하는것이 아닌가 싶지만,
그렇다 하더라도 기존의 i5-12500 환경에서 적어도 지금보단 5배~10배는 빨랐습니다.
QEMU인스턴스가 켜지는데 기존에는 1분정도 걸렸다면 지금은 10분은 걸립니다.

WSL환경이라 리소스 분배 잘 안 일어나는 것 같은데
WSL이라는 친구가 원래 이렇게 느린 친구인지, 무엇이 문제인지, 해결 가능한지 알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sunwkim19의 이미지

apache를 프록시서버 이용시 400에러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실무에서 apache를 프록시서버로 이용하여 was에 존재하는 모듈을 통해 특정 ip/포트를 호출하는 작업을 진행 중입니다.

다만 이때 모듈의 헤더가 표준화 되어있지 않고 목적지에서 요구하는 별도의 양식으로 구성이 되어있습니다.

이런 상태에서 구글 같은 곳들에서 가이드된 대로 아파치 서버를 proxy로 이용할 경우 proxy서버 자체에서 400에러를 발생시키더라고요.
(다만 다른 was에서 proxy서버 호출시, 즉 표준헤더일 경우에는 정상적으로 페이지 전환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혹시 이럴경우 아파치에서 헤더를 무시하고 프록시를 한다던지 아니면 들어온 헤더를 파싱하는 방법같은데 별도로 있을까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소켓프로그래밍 질문

server에서 client로 kill을 이용해 signal을 보내려합니다. kill을 보내려면 client의 pid를 알아야하는데 server에서 client의 pid를 아는 방법이 있나요?? client랑 server는 부모관계가아니라 서로 다른 프로세스입니다.

라스코니의 이미지

특정 단어(변수명)에 모두 _0 등 접미사 붙이기

안녕하세요. 아래 ymir이 해주신 스크립트를 수백개 파일에 적용하려니 어려움이 있네요.
수백개 파일이 입력 이름명만 다르고 내용이 거의 비슷합니다.
data_0.txt data_1.txt ... cmd_0.txt cmd_1.txt ... 등등으로요.
각각 합친 파일을 합쳐서 큰 파일을 만들어야 합니다.

그러다 보니 data.txt와 cmd.txt를 합친 결과가 거의 다 같아서 모두 합친 파일이 잘 실행되지 않을 것 같습니다. 그래서 아래 결과 파일에서

라스코니의 이미지

어떤 문서에 다른 문서의 내용을 일부만 가져오기

안녕하세요. 어제 질문했던 내용의 연장선인데 data import 방법이 바뀌었습니다.

값이 들어 있는 아래와 같은 data.txt가 있습니다.
DATASTART

VALUE AAA
VALUE BBB
VALUE CCC

AAA = 10
BBB = 100
CCC = 1000

DATAEND

다른 cmd.txt가 아래와 같이 있는데 위의 data.txt를 DATASTART, DATAEND, VALUE line 만 빼고 이문서 (또는 새로운 문서에) 붙여 넣기를 하고 싶습니다.
COMMAND START

COMMAND AAA SEND
CMMAND A1=AAA, A2=BBB, DELAY=CCC SEND

COMMAND END

원하는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COMMAND START

VALUE AAA
VALUE BBB
VALUE CCC

페이지

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