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lalupo20의 이미지

리눅스 가벼운거 usb에 설치하면

컴퓨터 바꿔가며 쓸 수 있나요?

그리고 혹시 그렇게 된다면 설치할만한 가벼운 리눅스 좀 추천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trymp의 이미지

SSL handshake 시에 서버가 보내는 인증서의 형식은 어떤건가요?


SSL handshake 를 할때 서버가 자신의 인증서를 클라이언트에 보내주자나요

이때 인증서 그대로 der format 으로 클라이언트에게 보내주나요?

아니면 다른 형식으로 인코딩을 하나요?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haha1283의 이미지

CentOS7.9에서 Rokcy9.2 OS Upgrade 시 데이터 보존 방법

몇개의 CentOS의 경우 사용량이 적어 전체 백업 후 OS Rokcy Upgrade 이후 백업 파일을 Rocky에 적용하였습니다.
문제가 되는 CentOS7.9의 사용량이 약 12TB 정도가 되는데, 백업 시간이 너무 오래걸려 서비스 다운 타임이 러프하게 잡아도 일주일정도가 소요되어 문제가 되고 있는데, CentOS에서 Rocky OS Upgrade 시 기존 데이터 보존하면서 업그레이드 할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

parrier의 이미지

M2 슬롯에 파티션 할당시에 어떻게 하는 것이 나을까요?

추가적으로 질문 하나 더 드립니다.

현재 M.2 슬롯이 두 개가 있습니다. 그런데 이 두 개 중에서 한 개를 파티션을 나누어서 리눅스를 깔고 나머지 파티션을 디비로 구성하는 것과, 아니면 M.2는 DB 및 백업 용으로 빼두고, 따로 SATA3포트에 작은 SSD를 연결해서 여기에 리눅스 설치 등 전반적인 것을 구성하게 하는 것 중에 어떤 것이 더 나을까요?

성능에 문제만 없다면 혹시나 대비해서 M.2 슬롯은 디비 및 백업으로 놔두고 SATA3에 연결한 용량 작은 SSD를 리눅스 설치 등으로 쓰고자 하는데 그래도 M2슬롯과 SATA 속도 차이가 많이 나니까 무조건 젤 빠른 M.2에 리눅스를 설치하고 그 파티션을 쪼개서 쓰는 것이 나을까요?

basscraft의 이미지

CentOS 7 사용하시는 분들 OS 마이그레이션 준비 하고 계신가요?

안녕하세요

회사 서비스 중인 서버에 4~5년전 CentOS 7로 설치를 했는데요
2024년 6월이 만료로 알려져 있어서 OS 마이그레이션을 준비를 해야 할 것 같습니다.

최근 KISA 취약점 점검을 받았는데

glib 버전이 현재 2.17 인데 2.18이상으로 업그레이드가 권고 사항입니다.
openssl 버전도 걸리고...

glib 의 경우 CentOS 7에서는 공식적으로는 2.18이상을 지원하지 않는것 같더라구요
그리고 버전업을 잘 못 하면 아예 먹통이 될 것 같고...

해서 이참에 조금 땡겨서 OS를 바꿔 볼까 싶습니다.

현재 염두에 두고 있는 것은
1. Rocky Linux
2. Oracle Linux
3. Fedora
입니다.

다른 회사들은 어떻게 준비 하고 계시는지 궁금합니다.
OS 선택에 대한 조언이나 쉽게 하는 방법 같은 것도 많은 의견 부탁드립니다.

parrier의 이미지

현재 서버를 LVM으로 구축했습니다. 그런데 이동해야 할 일이 생겼는데요.

현재 서버를 LVM으로 구성했습니다.

더 큰 용량의 sdd를 sata3에 연결하려고 하는데 이게 포트가 2개밖에 없어서

/dev/sda 에 있는 거를 /dev/sdc?? 또는 그 이하로 옮겨야 하는데요.

현재 LVM으로 구성되어 있는 sda를 어떻게 해야 포트를 옮긴 이후에도

그대로 사용할 수가 있을까요? 혹시 아시는 분 계신가요?

standalon의 이미지

통신량 측정 방법

통신 관련 프로토콜을 java로 구현하였고,
프로토콜의 성능 측정을 위해서, 실행 시간과 통신량을 측정하려고 합니다.

먼저 실행 시간 측정을 위해서 검색해보니, 10줄 이하의 간단한 샘플 프로그램이 있어서 해당 코드를 추가하여 측정하였습니다.
이번에는 통신량을 측정하기 위해서 검색해보니, 이상하게도 관련 내용이 잘 검색되지 않습니다.
실행 시간과 마찬가지로 너무 많은 사람들이 통신량 측정을 해왔기 때문에,
대체로 통일된 방법이 정리되었을 것이라고 예측했거든요.

제가 정리한 바로는 외부 모니터링 툴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 같습니다.
코드를 추가하여 통신량을 측정하는 방법은 복잡해서 외부 툴을 사용하여 측정하는 것 같았습니다.
실행 시간 측정 방법처럼 서너줄 추가하는 수준이 아닌 것 같았습니다.

님들은 주로 어떻게 통신량을 측정하시나요?
경험이 있으신 분들은 사용했던 방법, 해당 툴 이름, 관련 URL, 샘플 코드 등등 간단한 조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페이지

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