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오지훈@Google의 이미지

되게 초보적인 질문입니다만 C++ 문법 끝나면 무엇을 보통 보시나요?

C++ 문법 끝나고 나면 레퍼런스를 보시나요? 아님 STL을 보시나요? 이제 입문 단계 끝났는데 책이나 자료는 뭐를 봐야하죠? 목표 수준은 중급 이상으로 올리고 싶습니다. 답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parkon의 이미지

C++에서 getter 이름에 대한 뉘앙스 차이

ㄴ안녕하세요,

사소하다면 한없이 사소한 문제인데요,

어떤 class에서 여러 변수들에 대해 getter/setter들이 있고
setter들은
SetName(name), SetValue(value) 등등 Set으로 시작하기로 했을 때
getter들은
1. Name(), Value(), Size(), XXX(), 이런 형식하고,
2. GetName(), GetValue(), GetSize(), GetXXX(), 이런 형식이 있을텐데

이 둘의 뉘앙스 차이가 있으려나요?

질문을 다시 말해 이 두 방식을 혼용한다면, 어느 경우에 1번을, 어느 경우에 2번을 쓰면 좋을까요?

한편으론 당연히 존재하는 건 1번, 있을수도 없을수도 있는건 2번,
아님 자주 쓰이는 함수는 1번, 어쩌다 한번씩 쓰이는 건 2번,
아님 setter가 있는건 2번, 없는건 1번,
아님 완전 작성자 맘대로,
그것도 아님 제가 모르는 뭔가 일것 같은데,

foruses의 이미지

conda 로 여러 환경 모두 activate 할 수 있나요?

conda env list
# conda environments:
#
base * /home/user/miniconda3
aaa /home/user/miniconda3/envs/aaa
bbb /home/user/miniconda3/envs/bbb
ccc /home/user/miniconda3/envs/ccc
ddd /home/user/miniconda3/envs/ddd

이렇게 프로그램 aaa,bbb,ccc,ddd를 설치 했는데요,
설치한 프로그램을 모두 activate 할 수도 있나요?

쉘로 job srcipt를 만들어서 필요에 따라 위 프로그램들을 실행시켜가면서 작업을 실행 중인데,
개별적으로 매번 activate 하고, deactivate 하는건 너무 번거로워서요.

WATO x64@Google의 이미지

cmake로 *.sln 빌드

Cmake로 빌드 시 아래 매시지 해결해주세요.

trymp의 이미지

libc 의 mktime 과 kernel 에 있는 mktime 함수가 다른가요?

user daemon 에서 mktime() 값으로 나온 time_t 값하고

kernel time.h 에 있는 mktime(yy,mo,dd,hh,mm,ss) 하고 다른건가요?

두개가 동일한 날짜를 넣어도 반환되는 time_t 값에 차이가 있네요. ㅠㅠ

어떤건 localtime 이 적용되고 어떤건 안되고 그런건가요?

조언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parkon의 이미지

소프트웨어 라이센스에 대한 질문

안녕하세요,
제가 어떤 라이브러리 하나를 만들어서 학술 저널에 투고 할려고 하는데
라이센스를
CC0 1.0/CC By 4.0/MIT/Apache-2.0/BSD
3-clause/BSD 2-clause/GPLv3/GPLv2/LGPL/CC BY NC 3.0/MPL-2.0
이것들 중에 하나 선택하라고 하네요.

개인적으로 GPL은 너무 제약이 강하다고 느끼고, 반대로 BSD는 너무 제약이 약하다고 느끼는데,
어떤 게 좋을까요?
제가 만든 라이브러리는 상업적으로 이용될 가능성은 없진 않겠지만
아마 대부분 학문 연구에서 쓰일 것 같구요.

사람들이 마음대로 제껄 가져다 쓰는건 좋은데,
다른 사람들이 자기들의 이름으로 코드의 주인을 바꾸는 건 허용하고 싶지 않구요.

대충 구글 검색해보니 LGPL이 괜찮아 보이는데 잘 모르겠습니다.

정답은 없으니 아무 조언이나 해 주심 감사하겠습니다.
논문을 곧 투고할 생각이라 이번 주 안에 의견 주시면 좋겠구요.

l5lreach의 이미지

make 시 속성 문의(dist -j8, j32)


안녕하세요
안드로이드 시스템 개발을 해보려고 하는데
기본 지식이 없어 많은 시행착오를 겪고 있네요...

다름이 아니라 기본적으로 build 시 속성을 주게 되는데
./build.sh 뒤에 붙는 dist -j8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궁금하네요.

./build.sh dist –j8 --qssi_only EXPERIMENTAL_USE_OPENJDK9=1.8

명령어를 입력 하 빌드를 하려고 하는데

FAILED: ninja: unknown target '–j8'
08:38:48 ninja failed with: exit status 1

에러가 나서 -j8 을 빼고 빌드를 돌리니깐 빌드가 진행이 됩니다.

dist 속성과
-j8, -j32 이런 속성을 주는게 어떤 의미인지 아시는분 댓글 부탁드려요.

study의 이미지

bash스크립트에서 locale관련 질문입니다.

# LC_CTYPE=C print '%02x' "02"
라고 입력을 하면

시스템 #1 에서는
02가 출력되고

시스템 #2 에서는
02-bash: warning: setlocale: LC_CTYPE: cannot change locale (C.UTF-8) 이라는 메세지가 출력됩니다.

여기서 시스템 #1은 Ubuntu 22.04 시스템이고, 시스템 #2는 buildroot를 기반으로 하는 임베디드 리눅스 시스템입니다.

다시 시스템 #2에서

kkb의 이미지

python에서 리스트 내의 특정 인덱스의 리스트 만드는 방법.

python에서 리스트들의 리스트 내에서 특정 인덱스의 요소만으로 리스트를 만들 때,
저는 아래와 같이 만드는데
혹시 다른 방법도 있을까요?
파이썬에 다양한 방법들이 많던데 보통 일반적으로 어떤 식으로 만드는지 질문해봅니다.

trymp의 이미지

인증서 검증은 UTC 기준인가요? 아니면 로컬타임 기준인가요?

대부분 인증서의 valid notbefore/notafter 같은 유효기간을 보면 UTC 형식으로 표기되어 있는데요.

가령 지금 한국시간이 12월 28일 16:00 이고 인증서의 유효시간(끝) 이 UTC 12월 28일 06:00:00 이면

이 인증서는 한국에서는 1시간전에 만료된 인증서인가요?

개념이 햇갈려서 질문드립니다.

페이지

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