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Node.js에서 실시간으로 JSON 데이터를 가져오는 방법이 있을까요?

플레이스테이션에서 플레이 중인 게임을 디스코드에 Rich Presence로 표시하고 싶어서 Node.js로 스크립트를 만들었습니다. 하지만 실행 시에만 플레이스테이션 네트워크에서 정보를 불러오기 때문에 스크립트 실행 도중에 플레이스테이션에서 유저의 상태가 변경(오프라인 또는 온라인, 플레이 중인 게임 변경)될 시 반영되지가 않습니다. 아래는 스크립트의 일부분입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리눅스 커널의 스택에 대해서 질문드리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리눅스 커널을 공부한지 얼마 안된 학생입니다.

리눅스 커널에서 하나의 task를 생성할때, task_struct와 task 전용 커널 스택을 할당해준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task_struct와 커널 스택을 할당해 주는 영역은 커널의 어떠한 섹션인가요? 슬랩 할당자로 관리되는 커널 힙 영역에서 할당되는 건가요?

또, 가상메모리상 유저 공간의 섹션은 stack, heap, bss, text 등의 섹션으로 나누어지는데, 리눅스 커널 이미지에서는 어떤 섹션들이 존재하나요? (x86_x64 기준)

리눅스 커널을 공부한지 얼마 안되어 질문이 좀 이상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답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ext3에서의 저널링(journaling)

제가 쓰고있는 데이터들을 실제 파일시스템이 아닌, "저널"이라는 공간에 우선 저장을 하고, 나중에 복사하는 방식을 저널링이라고 이해하고있습니다.

저널링 모드가 여러가지인데, 그중 Ordered 모드가 "저널에 기록된 메타데이터는 쓰기 순서를 보장한다"라는데 쓰기 순서를 보장한다는 말이 무슨 뜻인지 모르겠습니다.

불꽃놀이의 이미지

윈도우 소켓 통신

윈도우에서 c++로 네트워크 프로그램 중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소켓 통신으로 포트를 연결했습니다만,

3-4분 후 클라이언트 측에서 연결 해제를 하는 것 같습니다.

아래는 와이어샤크 캡쳐 내용입니다.

192.168.0.111 은 클라이언트 아이피이고,
192.168.0.122는 서버 아이피 입니다.

2257821 17:47:18.169482 192.168.0.111 192.168.0.122 TCP 60 62536 → 1000 [RST, ACK] Seq=441 Ack=122241 Win=0 Len=0
2258932 17:47:23.504163 192.168.0.111 192.168.0.122 TCP 66 62544 → 1000 [SYN] Seq=0 Win=64240 Len=0 MSS=1460 WS=256 SACK_PERM=1
2258934 17:47:23.504586 192.168.0.111 192.168.0.122 TCP 60 62544 → 1000 [ACK] Seq=1 Ack=1 Win=2102272 Len=0

scroll2727의 이미지

centos7 gedit 3.0 전체찾기 설정(plugins) 궁금합니다.

centos7 기반에서 code수정하면서 debugging을 진행 중인데

gedit 전체찾기가 안되서 너무 힘드네요.
찾아봐도 별다른 데이터가 없어서..

기존 2.대 version에서는 /usr/lib64/gedit/plugins에 file-serach, file-search.gedit-plugin 등을
카피해서 넣으면 file-search기능이 plugins에서 활성화 되었는데요..

centos7 version에서 상기내용 아시분 답변주시면 감사드립니다.

semjase의 이미지

vim 사용중 잠깐 나타나는 에러메시지 볼려면

vim사용중에 저장할려고 :w 하면
에러메세지가 잠깐 나왔다가 사라집니다.
너무 빨리 사라져서 읽을 수가 없는데요.
에러메세지를 볼려면 어떻게 해야합니까?

김영재@Google의 이미지

PXA255 부팅문제

초보 개발자입니다.

제 질문이 이 게시판에 맞는지 잘은 모르겠지만 아시는 분 있으면 답변 부탁드립니다.

PAX255 부팅시 아래와 같이 출력됩니다.

Boot Flash Checking ................... [OK]
NAND Flash Checking ................... [OK]
diff magic [flash:20080516-1]

diff magic이라는 문구가 출력되는 경우도 있고, 출력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diff magic 문구가 출력되도 그 다음 작업은 계속 진행할 수 있습니다.

diff magic이 있는 경우 문제가 있는 것인지요??
diff magic이 출력되는 이유도 알고 싶습니다.
그리고 이 부분이 문제라면 해결방법은 어떻게 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UDP 서버에서 포트를 여러개 사용하면 이득일까요?

안녕하세요.
UDP를 공부하다보니 재밌는 생각이 났는데 도저히 검색으로 알아볼수가 없어서 이렇게 글을 남깁니당.

UDP는 접속이 없다보니 보통의 예제들을 보면 소켓을 하나만 만들어서 사용하잖아요.
(물론 TCP도 크게 다를것 없지만..)

접속 개념이 없다보니 단순이 에코 서버로 사용한다고 했을 때,
포트를 나누어 소켓을 여러개 만들어서 사용한다면 소켓 하나만 만들어서 사용했을때와 크게 다른점이 있을까요?

이부분은 뭔가 실제 서비스를 해봐야만 알 수 있을 것 같은 부분인데.. 너무 궁금합니다.

접속하는 클라이언트에서 올바르게 포트 분배를 할 수 있는 상황이라면

1. 56535 포트 하나로 소켓을 만들어 500개의 클라이언트와의 통신
2. 55635 ~ 55639 포트로 소켓 5개를 만들어 각각의 소켓에 100개의 클라이언트와 통신

모두가 같은 조건이고 위와 같은 상황일 때 2번이 과연 득이 더 될까요??

이 부분을 좀 더 이해 잘 할수 있는 책이나 페이지가 있다면 알려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당~

페이지

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