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tworiver1213의 이미지

루트 9.5 직접계산했으면 죽을뻔했다

직접계산하니 3.082207001484488225125096190727122112617815까진 했는데 빡쳐서 포기하고 계산기로 하니까 ...

sincs912의 이미지

자바 공부중인데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에 대해서 질문입니다.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public는 접근 제한자로 어디서든지 참조 할수 있는 넓은 범위를 의미한다.
//static는 정적이라는 의미로 메모리에 제일 먼저 로딩되는 것이다.
//void 리턴값을 의미한다 void는 리턴값이 없다는 뜻이다.
//(String[] args) 이름이 args인 String형의 배열

이정도로 알고 있는데

더 정확히 알고 싶어서 그런데

자세히 설명 해주시면 안될까요

alkfjalfja의 이미지

sscanf() 질문...

아래와 같은 c code가 있는데...

sprintf의 %%%u[^\x01-\x1f] 부분과

sscanf 함수 내의 사용 방법에 대한 이해가 잘 되지 않습니다.

도움 좀 부탁 드리겠습니다.

====================================================
u8 include[513];
u8 fmt[20];

................

sprintf((char*)fmt, "%%%u[^\x01-\x1f]", 512);
sscanf((char*)tmp + 8,(char*)fmt, (char*)include);
====================================================

twinwings의 이미지

C에서는 auto나 decltype 같은 예약어가 도입될 가능성이 없을까요?

혹시나 해서 gcc -std=c11 옵션 주고 해봤는데 역시나 안되네요.

간단한 매크로 작성(swap 같은) 할 때 편할 것 같은데...

36311의 이미지

질문할때 왜 자기 상황을 설명하지 않을까요?

* 이 언어 공부하면 좋을까요? -> 공부 목적이 무엇이고 어디에 관심있는지는 언급이 없습니다.
* 이 사람 아시나요? -> 왜 찾는지, 찾으면 어떤일을 하려고 하는건지 언급이 없습니다.
* 이 회사 어떤가요? -> 자기 경력은 어떤지, 어떤 회사를 원하는건지 언급이 없습니다.
* 이거 꼭 알아야 하나요? -> ...

잠깐 생각해본 이유는 우리 교육 환경이 너무 획일적이다보니, 딱히 토론이나 자기 상황 설명을 하는 연습을 할 필요가 없었기 때문 아닐까 합니다.

dlagyrbs의 이미지

선배님들 OS hierarchical page table 기법에 대해 궁금한게 있습니다.

운영체제 공부를 하면서 몇가지 궁금한것들이 생겼는데요

1. hierarchical page table 기법이 나오게된 정확한 이유가.. Virtual Memory 공간이 너무 커져서 탄생하게 된건가요?
예를 들면 32bit 머신에서 64bit 머신으로 바뀌게 되면 2^64 bit의 가상주소공간이 필요하게 되었고 이를 표현하기위한 페이지 테이블의 갯수가 너무 많이 증가하여서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려고 만들어진것인지 궁금합니다.

kimtaehan91의 이미지

c언어 기본적인 질문

안녕하세요 C언어를 공부하고있는 학생입니다.

리눅스 환경에서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질문은 리턴 값에 관한 건데 최근 엔디안이란걸 알아서 리틀 -> 빅엔디안 변환하는 과정에서 궁금한게 있어 질문합니다.

아래와 같이 스왑 해주는 함수를 만들어서 스왑까지 성공을 했는데

int int_swap(int int_buf,int int_buf_size)
{
int i;
int output_int_buf;
char *char_buf = (char*)&int_buf;
char *output_char_buf = (char*)&output_int_buf;

for(i = 0; i < int_buf_size; i++)
output_char_buf[i] = char_buf[int_buf_size - i - 1];

return output_int_buf;
}

mydream의 이미지

PtInRect와 같은 함수가 없을까요?

Visual Studio 2008 C++로 FillRect로 만든 사각형을 움직여서 먹이를 먹는 프로그램을 만들고 있습니다. 먹이는 점의 좌표이고 SetPixel로 점을 찍었고요. 그리고 사각형(이하 '팩맨'이라 하겠습니다.)이 먹이를 집어삼키면 먹이가 없어지도록 했고요. 이를 감지하기 위해

if(PtlnRect(팩맨, 먹이)) {
//먹이를 먹었을 때의 처리를 해준다.
}

라고 해서 팩맨이 먹이를 삼켰다는 것을 인식하도록 했고요.
그런데 먹이를 점이 아닌 다각형 Polygon으로 표현하고 싶은데, 이럴 경우에는 팩맨이 먹이를 삼켰다는 것을 어떻게 인식하게 할 수 있을까요?

if(anyfunc(팩맨, 다각형먹이)) {
//먹이를 먹었을 때의 처리를 해준다.
}

이 때 anyfunc 함수로 API에서 제공하는 함수가 무엇인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muz0880의 이미지

멀티스레드의 문제라는 게 멀티 프로세스 환경에서는 일어나지 않나요?


멀티 스레드의 문제점 중에 스레드들이 한 공유자원을 사용할 때 동기화를 해 주지 않으면
작업 중 컨텍스트 스위칭이 일어나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불러오는 과정 사이에서
작업 반영이 안되거나 예기치 않은 값이 들어가는 현상(무어라 하는 지 잘 모르겠습니다..)이
일어나는 데..

스레드가 아닌 멀티 프로세스의 경우 같은 상황에서 A가 자원을 읽고 쓰기 전에
B가 자원을 읽고 쓰거나하여 결과적으로 A,B의 작업 결과가 모두 반영되지 않거나
이상해지는 경우가 동일하게 일어날 수 있는 게 아닌가요?

아니면 혹시 스레드의 문제라는 건 메모리공간을 공유하면서 컨텍스트 스위칭 시
이전 내용을 같은 곳에 저장하기 때문에 생기는 일인가요?

.. 머리 속에서 자꾸 헷갈리고 모르는 상태로 답이 안나와서 여쭙니다..

jonyon의 이미지

윈도우의 퍼미션 문제라는게 뭔가요?

이걸 어디 QnA게시판에 올리기가 좀 애매해서 그냥 자유게시판에 올려요. 양해부탁드려요~

윈도와 리눅스를 비교해볼까 하면서 포직스나 파일객체, 커널 등 여러가지로 차이점을 찾고 있는데 퍼미션에 대한 자료를 찾기가 어렵습니다.

어디를 뒤지던 간에 '리눅스는 서버용으로 만들어져 다중 접속을 위해 권한에 대한 막강한 기능들을 제공한다' 라고 나와있는데, 자세히 설명된곳이 많이 없네요.
윈도우 퍼미션이 리눅스에 비교했을 때 조금 약하다 라고 알고있습니다. 이게 보안 구멍을 만든다는 것도 어디서 들어본 기억이 나는것 같아요.
그 생각이 나서 여기저기 들쑤시고 있네요.

그래도 여전히 잘 모르겠습니다. 윈도의 퍼미션 설정이 리눅스와 비교해서 어떻길래 그런건가요?

페이지

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