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Clientserver의 이미지

a.jsp에서 b.jsp변수값 넘기거나 공유하는법

a.jsp 에서
<%
   String name = request.getParameter("name");
 
%>
으로 받아온 name값을 <%=name%>으로 출력
 
그런다음 name에 저장된 값을 b.jsp에 넘겨줄려고 하는데 
 
input안쓰고 값을 넘겨주거나 변수를 공유하는방법 없나요?
 
b.jsp 에서
 
<%string name;%>
 
<%= name%> 하면 바로 보일수 있게요
 
include 나 forward는 변수는 공유하지만 페이지가 합쳐져서 쓸수가 없어요

gurugio의 이미지

간단한 블럭장치 드라이버에 대한 강좌를 만들었습니다.

https://opentutorials.org/module/2497

공부한거 정리하자는 의미로 글을 쓴거라 공유합니다.

최종 소스는 만들었고, 글을 쓰는 작업만 하고 있습니다. 이삼일정도면 다쓸것 같은데요.
커널에 있는 brd, null_blk 드라이버를 공부하면서 따라 만들어본것입니다.

아직 저도 잘 모르는 내용들이 많습니다.
혹시 제가 빼먹은 것들이나 추가해야할 내용들을 강좌에 답글로 달아주시면 저도 공부해서 보강하겠습니다.

lkh의 이미지

drdos에서 경로 추적이 어려운 이유

drdos에서 경로 추적이 어려운 이유가 정확히 뭔가요? 반사체를 거치긴 하지만 ddos도 좀비를 거치는거잖아요

ip 스푸핑 때문이라는 분도 있는데 그렇다면 ddos도 ip 스푸핑 하면 되잖아요?

그리고 drdos에서 증폭, 단독공격 가능하다는거 빼면 ddos에 비해 더 좋은점이 있나요?

증폭이 불가능한 상황이라면 udp flooding 등의 dos 공격이 더 좋지 않나요?

jw8704의 이미지

서버호스팅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한달정도 테스트해볼 서비스관련하여 회선때문에 서버 호스팅을 받아야한다는 결론에 이르렀습니다.

그런데 서버호스팅을 받을경우 IDC 에서 제공해주는 서버의 하드에 서비스관련한 Code 가 존재하게되어 추후 코드의 외부 유출에 대하여 완전히 보장할수없을수도있다는 생각이들었습니다.

그래서 서버호스팅을 받되 , 하드는 저희것을 쓰고 , 서버에 봉인지를 붙이는 형태가 가능한지 궁금해지게되었습니다.

혹시 이러한 상황에서 어떻게 하는 방법같은것이있을까요?

jw8704의 이미지

서버호스팅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한달정도 테스트해볼 서비스관련하여 회선때문에 서버 호스팅을 받아야한다는 결론에 이르렀습니다.

그런데 서버호스팅을 받을경우 IDC 에서 제공해주는 서버의 하드에 서비스관련한 Code 가 존재하게되어 추후 코드의 외부 유출에 대하여 완전히 보장할수없을수도있다는 생각이들었습니다.

그래서 서버호스팅을 받되 , 하드는 저희것을 쓰고 , 서버에 봉인지를 붙이는 형태가 가능한지 궁금해지게되었습니다.

혹시 이러한 상황에서 어떻게 하는 방법같은것이있을까요?

dkdlel의 이미지

라이브러리 추가 관련해서 궁금한 부분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아두이노 라이브러리에 대해서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제가 만드려고 하는 아두이노 프로그램 부분에 보면 라이브러리에 추가했던 파일들이 3개정도가 있는데

라이브러리 가져오기에 맨 아래쪽에 있는 저 3가지 부분이 (Adafruit_CC3000_Library 랑

DHT11_Library와 dht11_read) 라이브러리에 포함된 총 라이브러리의 개수인가요?

그걸 제외했을 경우에, 그 위에 있는 EEPROM 부터 아래쪽으로 쭈욱 해서, Wire 부분은 그냥, 추가할거면 추

가하고 사용하지 않을거면 굳이 추가해주지 않아도 되는 부분으로 해석하는게 맞을까요?

yoowon904의 이미지

간단한 임베디드에서 돌아가는 C언어 해석이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아두이노로 프로그램을 만드는데 아래의 프로그램을 분석하고 있는데, 어떻게 돌아가는지 명확하

게 눈에 보이지 않아서 질문을 올렸습니다. 제가 대략적으로나마, 해석을 해보긴 했는데 어리숙하게 제가 잘못

이해하는것보다, 능력자님들의 해석을 참조해보고 이해를 해보고싶습니다.

아래의 소스코드에 대해서 한줄한줄 해석좀 해주시면 정말 감사드리겠습니다 ㅠ

예를들어, 단순히 유틸리티/debug의 헤더파일을 참조하는겁니다. 유틸리티/socket.h의 헤더파일을

참조하는 겁니다.. 와 같은 답보다, 좀 자세하게 알고 싶습니다 ㅠ

willisone의 이미지

연결리스트를 사용한 프로그램을 제작중인데 이 둘의 차이가 있나요?

위의 코드로 작성하니까 에러가 나오다가 밑의 코드로 작성하니까 에러가 나질 않네요... 위 두 코드에서 어떤 차이가 발생하는 건가요??

아직 실력이 부족한 제가 봤을 때는 typedef를 먼저 하느냐 나중에 하느냐의 차이 같은데 무슨 차이인가요?

typedef struct
{
     struct Student* next;
}Student;
 
struct Stu
{
     struct Stu* next;
};
 
typedef Stu Student;
ihjkoh의 이미지

부트로더 (또는 하이퍼바이저) 프로그램 제작해주실 수 있는 분을 찾습니다

안녕하세요,

이곳에 이 글을 올려도 되는게 맞는지 모르지만 조심스럽게 올려봅니다..

아래와 같은 프로그램의 개발 의뢰를 받아주실 수 있는 분을 찾고 있습니다.
제작하려는 프로그램은 사물인터넷용 커널을 로딩하여 모니터링하는 하이퍼바이저입니다.
보드는 Conga-IA4를 사용하려 하는데, X86 i386 아키텍쳐입니다.
(ARM이 아니기 때문에, 일반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OS를 별도의 포팅 없이 바로 설치 가능합니다.)

<필요한 하이퍼바이저 (또는 부트로더) 프로그램의 요구사항>

- 사물인터넷용 소프트웨어 또는 IncludeOS, Zephyr와 같은 초소형 OS (단일 프로세스)를 디스크로부터 메모리에 로딩하여 부팅하는 소형 하이퍼바이저 제작

- 하이퍼바이저 (또는 부트로더)에서 운영체제 코드 로딩 시 운영체제 코드가 해킹으로 변조되지 않은 정상 상태인지 정상값과 비교/검사 (TPM 칩을 사용하여 검사)

페이지

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