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chocokeki의 이미지

DMA랑 cache 관련 커널 문서 문의

안녕하세요
커널 문서를 읽다 궁금한게 있어서 문의 드립니다

#1. scatter list
dma를 하려면 물리적으로 선형 주소의 메모리가 필요하잖아요
그런데 그게 힘들 경우 scatter list를 구성해서 불연속을 마치 연속적인 것 처럼 에뮬레이션 해주는 것 같은데요
요게 하드웨어적으로 IOMMU가 해주는건가요?
or DMA를 짧게...끊어서 하는 개념인가요?(DMA streaming?)

#2. kmalloc 메모리 할당할 때 cache size에 align하는거랑 coherent한거랑 뭔 상관이 있나요??
2) ARCH_DMA_MINALIGN

param123의 이미지

x

x

axc777의 이미지

우분투 설치후 문제

인텔 cpu환경에서 설치를 한뒤에 amd cpu환경에서 부팅이 되질 않네요 ㅠ 두 cpu의 아키텍처가 달라서 그런거 같은데 해결방법 없을까요?

qnpfr7179의 이미지

안드로이드 커스텀롬 제작에 대한 감조차 못잡고있습니다. 혹시 간단히 설명해주실분있으신가요?

안녕하세요.

오늘 처음 가입했습니다! 음 인사글을 올리려고 적는건아니구요 ㅎㅎ..

저는 안드로이드 커스텀롬을 제 입맛에 맞게 바꾸고싶어서 검색하다가 여기를 알게 되었습니다.

현재 컴퓨터과 학생이구요. 대략적인 코딩은 할줄알고 이론은 어느정도 알기에 설명해주시면
어느정도 알 수 있을것 같습니다. 설명해주셨는데 모르는 부분에 대해서는 검색을 해보면 되니까요!

요점은 (구글에 검색했는데도 잘 찾기 힘들더라구요.. 노력이 부족했기도하겠지만..)
커스텀롬을 만든다는게 제겐 어떤 의미냐면 사후 지원이 끊긴 폰들에 대해 현재 나온 버전의 롬을
수정해서 맞게 맞추고 싶어요.

커널을 수정하면 되나요?? 구체적인것을 알기 이전에 대략적인 그림을 잡고싶어서 글을 올립니다.ㅎㅎ..
어느정도의 롬을 제작하려면 어느정도로 건들이면 되는지도 잘 감이안오네요.

처음 써보기에 양식이나 이런게 안맞을수 있습니다. 댓글로 지적해주시면 수정하겠고
이후엔 실수하지 않게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ihjkoh의 이미지

Clang으로 glibc를 컴파일하는 방법을 찾고 있습니다

clang 컴파일러로는 glibc가 컴파일이 안되는데,
이론적으로는 glibc 소스코드를 튜닝해서 컴파일 가능하게 만드는 방법이 존재한다고 생각하는데
실제 컴파일에 성공한 사례가 찾아지기 어렵습니다.

반드시 clang으로 glibc를 컴파일하지 않으면 안되는 중요한 일이 있어서 그런데
혹시 방법을 알고 계신 분은 꼭좀 알려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ihjkoh의 이미지

TPM 2.0과 통신을 지원하는 부트로더를 만들려고 합니다

TPM 1.2와 통신하는 부트로더는 TrustedGRUB2라고 있지만
TPM 2.0을 지원하는 부트로더는 존재하지 않는거 같습니다.

직접 제작하려고 하는데
인텔 CPU 기반으로 BIOS와 통신하여 TPM 2.0 칩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정보를 찾기가 힘듭니다.
TPM 1.2 경우는 int 1A 인터럽트를 발생시켜서 서비스 루틴을 가동시키는데
TPM 2.0은 정보가 없는거 같습니다.

커널 로딩 전단계에서 어셈블리로 TPM 2.0과 통신하는 방법에 대하여
정보가 있으시다면 가르쳐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helperchoi의 이미지

Shell Script 관련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Shell 상에서 Linux OS CVE Fix 목록을 1차원 배열변수에 넣어 DB에 Insert 하고자 Script를 작성중에 있습니다.

아래와 같은 RAW 문자열이 있습니다.

aaa CVE-2009-0745 bbb CVE-2009-0746 ccc CVE-2009-0747 ddd CVE-2009-0748 eee

원하는 조건은 위 문자열 행 내에서 CVE로 시작하는 13자리 문자열만을 추출하여 1차원 배열변수에 넣고자 합니다.

단순 grep으로는 CVE가 포함된 행 전체가 출력되기 때문에

위 조건처럼 문자행에 포함된 CVE로 시작하는 13자리 문자열만 추출하고자 하는데 도저히 감이 안옵니다;;

조언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 원하는 결과값 ]

CVE-2009-0745
CVE-2009-0746
CVE-2009-0747
CVE-2009-0748

necroprg의 이미지

fd 사용관련 질문 입니다.

안녕하세요

소켓 프로그램을 하고 있는데요

소켓을 열면 열수록 open file descriptor가 증가 하잖아요?

질문들어 갑니다.

ㅇ 보통 소켓에서 read/write로 주고 받고 close 하면 open file descriptor가 증가합니다.
이것을 보통 해제라고 표현을 해야 할까요? 계속 증가되는데 Client가 종료되면
예를들어 150 정도 fd값을 client가 종료되면서 140으로 줄어들는게 맞는건가요?
아니면 종료되어도 계속 쌓이면서 증가되는게 맞는건지요?

ㅇ 계속 증가가 된다면 어느순간엔가 Too many file... 나올것 같은되요
보통 어떻게 구현이 될까요?

감사합니다.

페이지

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