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osyvv의 이미지

빌게이츠가 로봇세를 만들자고 하네요 ㅎㅎ

오팀장 : 허! 참… 빌... 이 친구… 그래, 로봇이 더이상 안생겼으면 좋겠구만! 이렇게라도 제약을 가해야지.
유과장 : 빌… 요? 그게 누구에요 팀장님?
오팀장 : 빌 게이츠 말이야. 인공지능 로봇에게 세금을 부과하겠다는군. 그래, 로봇이 다 일을 하면 인간들은 어디서 일하냐고, 안그래도 일자리 문제가 심각한데 말야. 로봇세! 필요하지.

유과장 : 아~ 얼마 전 인터뷰 말씀이시군요! 로봇세... 전... 반댑니다.
오팀장 : 유과장. 거 왜 자꾸 내 말에 반대야? 지난주 애자일 문제도 그렇고 말이야. 인공지능이 개발되면 유과장도 짤리는거라고 알아~ 몰라!?
유과장 : (또, 시작이군…) 글쎄요... 저야 이제 한창인데, 오팀장님이 불안하신거 아닙니까?
오팀장 : 뭐? 허 참. (발끈!) 나같은 베테랑을 쇳덩이 따위가 대체한다고?

whdryqkfvy의 이미지

서브넷과 관련되어서 설명좀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ㅠ

서브넷과 관련된 문제인데 이해가 잘 안되는 부분에 있어 조언을 여쭤보고자 글을 올렸습니다.

문제는 바로 아래와 같습니다.

[문제] 서브넷을 호스트를 기준으로 할건지, 네트워크를 기준으로 할건지를 정해야 하며 호스트를 기준으로 한다

고 했을때 예를들어 주어진 네트워크가 192.168.1.0/24에서 각 네트워크당 호스트를 10명으로 잡았을때 서브넷팅에

대해 설명을 해보고자 한다.

호스트 기준으로 나눌 때 필요로 하는 호스트에 +2를 해서 계산을 해야한다. 네트워크 주소와 브로드캐스트 주소가

사용이 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진법을 적용해서 12를 포함하는 경우를 찾아내야 한다.

2의 3제곱승은 8이니까 안되고 2의 4제곱승인 16은 12를 포함하므로 우리가 원하는 숫자는 4이다.

그럼 주어진 네트워크 192.168.1.0/24 에서 서브넷마스크 255.255.255.0을 이진법으로 표시하면

renboy의 이미지

프로그램 공부를 좀 더 깊이있게 하려는데 제가 생각한 길에 대해 조언 좀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실력좋은 프로그래머 선배님들께서 많이 계시기에 조언의 말씀 부탁 드리고자 이렇게 글을 작성합니다.
조금 긴 글이 될 수도 있으므로 양해 부탁드리겠습니다.

저는 현재 LCD 공장자동화 제조업 분야에서 근무를 하고 있는 29살 직장인입니다.
대학교 졸업 후 곧바로 취업하여 현재 3년 조금 넘은 경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제조업 분야 특성 사 공정 사양이 무엇보다 중요하여 프로그램을 다룰 일이 생각보다 많지 않았습니다.
프로그램이 되어있다 하더라도 기존에 있던 프로그램을 가져다가 수정하는 식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해 왔습니다.

제 스스로 생각하기에 경력 3년을 가졌다고 하기에는 너무나 창피한 프로그램 실력이 아닌가 싶습니다.
이직을 하려고 해도 쉽지 않을 것 같으며 지금부터라도 프로그램 실력을 스스로라도 키워야겠다는 생각을 하였고 많은 고민을 하였으나 속 시원하게 해결이 되지 않아 이렇게 질문을 드리게 되었습니다.

gmlwns0@Naver의 이미지

[리눅스] cannot find -lm 오류에 관해서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임베디드 보드를 이번에 임베디드 보드를 사용 할 일이생겨 개발환경을 만드는중입니다.

보드는 삼성에서 나온 Artik 보드이며 Fedora24를 사용하고있습니다.
저는 IDE로 디버그를 하기원해 아래의 링크를 따라 설치를 진행하였는데요
기본적으로 우분투에서 이클립스를 사용하였습니다.

https://developer.artik.io/documentation/developer-guide/ide/sysroot.html

빌드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이 cannot find -lm 이라는 오류가 나옵니다.
거의 2주동안 시간날때마다 오류를 해결하려 구글링으로 많은 검색을 해보았지만 해법을 찾지못하여 이렇게 질문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kik9459의 이미지

[알고리즘]Dynamic Programming 알고리즘 작성하는거 좀 도와주십시오...

안녕하세요...

컴퓨터공학과 한 학생입니다...

알고리즘 과제를 받았는데 도저히 해결을 못하겠어서 조언이라도 얻으려고 이렇게 글을 올려봅니다..

각 cell은 맛의 정도를 표시한 -10 - 10 사이의 정수로 표시되어 있다. 여러분은 각 세로 줄의 한 부분을 잘라서 그 아랫부분을 모두 가져갈 수 있다. 이 작업은 가장 왼쪽 줄부터 오른쪽 줄로 한 칸씩 옮겨 가면서 하는데, 한 가지 주의할 것은 오른쪽 줄에서 잘린 높이는 왼쪽 줄의 높이보다 같거나 그 이상 이여야 한다.

5 8 2 4 -4 4
4 2 3 -3 -1 -6
2 -1 -7 6 -3 -8
-3 2 -8 -8 2 2
1 -5 3 9 3 -2

A B C D E F

tichunter의 이미지

QXcbConnection: Could not connect to display

우분투 서버에 X윈도우 같은걸로 접속하여 gnuplot으로 그래프를 그리려고 하는데
QXcbConnection: Could not connect to display 에러가 뜨면서 윈도우창이 생성이 안됩니다.

서버의 상황이 좀 특이한데...보안때문에..
A라는 우분투서버에 먼저 접속한다음 그안에서 B라는 서버로 ssh를 통해 다시
접속하여 거기서 작업을 해야하는 상황입니다.

제가 B라는 서버로 들어갈수 있는 유일한 길입니다.

A라는 서버는 x윈도우로 gnuplot 그래프 창 생성이 잘 됩니다.

B라는 서버에서는 위와 같은 에러로 시각화가 안되고 있습니다.

Xming을 설치해서 뭐 이명령 저명령 구글에서 찾아 해보았는데도 잘 안되네요.

무엇이 문제일까요?

tichunter의 이미지

QXcbConnection: Could not connect to display

우분투 서버에 X윈도우 같은걸로 접속하여 gnuplot으로 그래프를 그리려고 하는데
QXcbConnection: Could not connect to display 에러가 뜨면서 윈도우창이 생성이 안됩니다.

서버의 상황이 좀 특이한데...보안때문에..
A라는 우분투서버에 먼저 접속한다음 그안에서 B라는 서버로 ssh를 통해 다시
접속하여 거기서 작업을 해야하는 상황입니다.

제가 B라는 서버로 들어갈수 있는 유일한 길입니다.

A라는 서버는 x윈도우로 gnuplot 그래프 창 생성이 잘 됩니다.

B라는 서버에서는 위와 같은 에러로 시각화가 안되고 있습니다.

Xming을 설치해서 뭐 이명령 저명령 구글에서 찾아 해보았는데도 잘 안되네요.

무엇이 문제일까요?

Jinwoong Han (SKYEND)@Google의 이미지

C/C++로 개발한 프로그램 빌드/배포에 관해 여쭤볼게요.

안녕하세요.

현재 웹 개발자로 일하고 있습니다.

저는 예전부터 게임을 개발하고 싶었고 시스템 프로그래밍에 관심이 많습니다.

그런데 문득 궁금한게 생겼어요.

보통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다운받고 빌드하게 되면 bin파일들을 비롯해서 여러 바이너리 파일들이 생기구

보통 윈도우PC에서 게임을 다운받아서 설치해도 게임 실행파일과 리소스 파일들을 제외한 여러가지 바이너리 파일들이 생기는걸 본 것같아요.

여기서 궁금한게 있습니다.

하나의 바이너리 파일에 모든내용을 담아도 되는데 굳이 파일들을 쪼개서? 모듈단위로 쪼개서 파일을 배포하는 이유가 뭔가요?

제 추측으로는 게임같은경우 효율적인 패치를 위해서 인것 같기도 하고 아니면 필요할 때만 로드해서 최초 로딩 시간을 줄여주기 위한건가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도 비슷할 것 같아요. 모듈화에서 오는 장점들 때문에 나누는것 같기도 하고..

이게 맞는건가요? 이유를 알고싶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int형과 char의 비교 속도 차이

int c
switch(c)

char c
switch(c)

이 둘의 속도 차이가 어느 정도 있는 편인가요?

int를 쓰는 게 최적화라는데 이해가 잘 안가네요

설명해주실 수 있으신 분 계신가요?

페이지

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