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리눅스 모듈 프로그래밍 질문입니다

리눅스 모듈 프로그래밍을 하고있는데요 커널과 연계되는 부분에서 막힙니다.

커널에서 모듈 소스코드에 정의된 구조체를 참조하거나 호출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커널 컴파일시 이를 인식하지 못합니다.

커널 컴파일시에 모듈소스의 오브젝트파일을 같이 컴파일 시켜버려도 되긴하지만(실제로 잘 동작하고 있습니다) 그렇게되면 메모리상에 항상 상주하는 커널의 일부가 되버리지 않습니까?(모듈이 아니게 되는거죠)

커널소스에서 이 변수는 모듈에서 정의된 변수이다. 라는것을 알려줄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까?

예뿌니의 이미지

리눅스 shell 프로그래밍 UI 구현

이런 모양으로 구성하려고 하는데 저는 틀도 못잡겠습니다..ㅜㅜ

예를 들어
저 앞쪽에 있는 파일들 이름들과 그림들을 구분하는 | 이런 선들도
echo "ls $filename |"
이렇게 하면서 포문을 돌리면 파일이름이 몇 글자냐 에 따라 | 가 밀리게 되어버립니다..
그리고 저 그림들도 디렉토리냐 실행파일이냐 일반파일이냐 에 따라서 다르게 출력해야하는거라서
함수로 파일타입에 따른 케이스들을 만들어 놓은다음 해보려고하는데 이어쓰기도 안되서 감을 못잡겠습니다 흑흑

dlgustmddd의 이미지

cent os 7 openvpn

cent os 7 으로 openvpn을 올렸는데요
윈도우7이랑 연결을 시켰을 경우 윈도우7에서 server로 ping도잘가고 내부ip를 이용해서 ssh접속도 잘됩니다.
그런데 server에서 윈도우7으로 ping이 되지 않습니다.

방화벽-> hub -> vpn 이런구조로 되어있는데 방화벽문제같긴한데 iptables이아닌 firewall을 사용하여
더 이해가 되지 않는군요.. 혹시 해결방법있을까요..

jwoo0122의 이미지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접속했어요. :)

물론 저를 기억하는 분은 없을 거라 생각합니다. ;D

마지막으로 글을 작성한지 3.5년 정도 지난 것 같네요.

철없던 시절에 썼던 글을 보니 감회가 새롭기도 하고 부끄럽기도 합니다.ㅋㅋ
이것저것 해보고자.. 열심히 노력하던 모습도 떠오르고
불평만 늘어놓고 투덜대던 모습도 떠오르네요.

지금은 대학생이 되었습니다.
중학생때 마지막으로 접속하고 대학생이 되어 다시 접속한다는게 신기하기도 하네요.

또 오게 될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이렇게 글을 적는 이유는

그래도 포기하지 않고 열심히 노력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드리고 싶어서 였습니다!
이곳에서 얻은 소중한 조언들을 생각하며 열심히 공부했고
그래도 나름 좋은 대학에 들어와 열심히 공부하고 있습니다.
아주 혹시나, 세상 물정 모르는 중학생의 뒷이야기가 궁금한 분들을 위해서
'그래서 그 학생은 이렇게 살고 있습니다~' 라고 전해 드리려 온거에요.ㅋㅋ

언제든 하고싶은 이야기가 생기거나
물어볼 것이 생긴다면 달려오겠습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서비스 종료된 게임은 패킷 캡쳐가 불가능한가요?

1. 게임 클라이언트가 독립적으로 혼자 서버가 있는지는 판단이 불가능할텐데, 클라이언트에 설정된 서버 주소로 패킷을 먼저 보내서 응답이 없으면 서버와 연결이 되지 않는다는 패킷이 돌아오는 구조가 아닌지 궁금합니다.

2. 프리 서버는 어떻게 만들어지는 것인가요? 서버 유출로 만들어진다고는 들었는데, 직접 서버를 만들 수 있나요?(서비스가 종료된 게임으로 원활한 패킷 캡쳐가 힘든 경우)

3. 리퀘스트 패킷을 적절히 처리하는 임의의 서버를 만들고 성공적으로 접속했다는 패킷을 리스폰스해서 클라이언트를 접속시키는게 가능한가요?

게임을 운영하려는 목적은 없습니다. 옛향수를 느끼면서 재밌게 공부할 수 있는 분야인 것 같아서 혼자 공부하려는 것입니다.

혹시 문제가 된다면 삭제하도록 하겠습니다.

DebPolaris의 이미지

lighttpd로 proxy 설정방법 질문합니다.

안녕하세요. 현재 우분투 16.04, lighttpd 환경에 개인 서버를 올려서 사용 중에 있습니다.

Photoshow라는 가벼운 웹 이미지뷰어를 docker 이미지로 만들어 두신 분이 계셔서
(https://github.com/thibaud-rohmer/PhotoShow)
이 웹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서 가족사진을 보는 용도로 사용하려고 합니다.
여러 프로그램을 고려했지만 데이터페이스를 사용하지 않고 디렉토리 자체만으로 안에 있는 이미지를 볼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그램이라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하여 선택을 했습니다.

근데 문제는 photoshow는 ngnix를 이용하여localhost:8080에 접속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제가 원하는 localhost/photoshow에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있습니다.

pwy1575의 이미지

임베디드 시스템의 부팅 과정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임베디드에 관심이 있어 공부하고 있습니다.

운영체제는 linux kernel 2.6 버전을 사용중에 있습니다.

일반 PC의 경우 부팅시 BIOS가 Mother Board의 ROM에 저장 되어있어,

전원 입력시 BIOS가 처음 시작하고 BIOS에 의해 MBR에 올라가 있는
Bootloader가 호출되어 부팅이 시작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여기서 궁금한 건 임베디드의 경우 CPU(MCU)를 사용하고
부트로더 및 kernel은 flash(hard_disk)에 올라가 있습니다.

보드에 전원이 들어갈 경우,
맨처음 돌아야 할 BIOS가 보통 어디에 위치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아니면 BIOS가 없는 경우도 있을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pingpong622의 이미지

리눅스 sfdisk 해석 도와주세요

sudo sfdisk /dev/sdb <<-__EOF__
1M,12M,0XE,*
,,,-
__EOF__

이걸로 sd카드에 파티션을 나누는 중인데
잘 돌아가긴 하지만 해석이 안되서 글 올립니다.
아시는 분 있으면 해석 부탁드립니다.

vog1967의 이미지

파이썬 코딩실행 관련 문의

첫글입니다.
프로그램 초보입니다만
업무상 파이썬으로 코딩해야 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다 보니 문의 드립니다.

ㅇ 코딩개요
- 라즈베리파이에 온도 등 각종 센서 값을 운용자 핸드폰으로 문자전송하는 프로그램입니다.

ㅇ 진행상황
- 라즈베리파이가 현장에 인터넷으로 공인ip접속
- 원격에서 ssh접속하여 프로그램 실행하고 체크
- 코딩 및 문자메세지 전송부분은 1차적으로 완성함

ㅇ 문제점
- 원격에서 ssh로 접속후 실행하면(sudo python test.py) 정상동작하나 ssh접속이 끊기는 순간
프로그램이 종료됨

ㅇ 추가 검토사항
- 라즈베리파이가 부팅시 자동실행되는게 나은지 아니면 원격에서 수동실행해 주는게 나은지
자동실행시 메모리나 운용시 문제점은 없는지 궁급합니다.

일단 수동실행으로 생각하는데 원격실행시 접속이 끊기는 순간 프로그램이 종료되어서 ㅠㅠ

아시는 분 계시면 답변부탁 드립니다.

페이지

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