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해킹,공격의예술 부팅시디 오류 질문입니다. .

해킹,공격의예술 부팅시디 오류 질문입니다. . .
일단 해킹,공격의예술구매했구요 우분투사용하고있어요.
근데 부딩시디로 부팅할때마다 자꾸 x-server 그래픽인터페이스에 오류가있는거같더라고요.
세부사항보니 no screen found라고 뜨더라구요. .
찾아보니까 않되더라구요..
제노트북은 Dell vostro 3350 이구요.
도와주세요. .

eoen2eoen의 이미지

LCD 한글 출력용 폰트 제너레이터 가지고 계시는분 있나요?

ttf 파일을 C 배열로 제너레이팅 하고 싶은데
아무리 구글링을 해도 나오질않네요..

그나마 하나 찾은건 2009년도 프로그램이라 모든 한글이 변환되지도 않네요;;

ㅠㅠ 혹시 사용하고 계시는분 있나요?

kiraseed의 이미지

솔라리스 10 환경에서 libldap10.so 가 없습니다.

구서버에서 신서버로 포팅중인데

사용하던 데몬이 libldap10.so 라이브러리를 사용합니다.

openldap 패키지를 설치해야 하는건지 nss_ldap 패키지를 설치해야 하는지

아니면 별도에 패키지를 설치 하면 깔리는 건지 궁금합니다.

사실 검색을해도 저게 뭐하는 라이브러리 인지 자세히 알기가 어렵네요.

아시는 분이 계시다면 소중한 답변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shout1641의 이미지

동영상 업로드 구축관련. 오픈소스 미디어서버들을 활용하면 가능한지 여부

---------------
인트라넷 내부에서 동영상 업로드 링크 소스를 따와야하는데
dmz나 외부에서 차단되는 네트워크존이라고 칠때 외부랑 통신을 전혀 안해도 되는 그런
미디어서버가 있나요?

pwy1575의 이미지

linux man page 검색시 나오는 숫자의 의미

안녕하세요

구글에서 linux 에서 사용하는 함수들을 검색하다 보면

syslog(3) - Linux man page 와 같이 함수명 이름 옆에

(3) (2)이런식으로 나와있는 숫자가 있는걸 보았습니다.

이 숫자들이 어떤 의미가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세벌의 이미지

리눅스 한글 입력기 무엇을 쓰나요?

리눅스 한글 입력기 종류가 많지요.
요즘 ibus 많이 쓰는 거 같은데, 나비, uim 벼루 등 다른 입력기도 많네요.

우분투, 데비안 8 등에서 ibus로 한글 잘 쓰고 있었는데...
얼마전에 데비안 9 설치하고 ibus 설치했는데...
한글 입력하다 스페이스 누르면 띄어쓰기가 이상하게 나옵니다

대 한사 람대한으 로길 이보전하세
이 런식으 로띄어쓰기 가이상하 게나옵니다.
ibus 버전은 1.5.14입니다.

ibus-hangul 설정을 어떻게 하면 제대로 나올지? 아니면 다른 입력기로 바꾸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phsft의 이미지

쉘스크립트 문의

쉘스크립트를 거의 해본적이 없는데 아래 요구 사항을 구현 할 상황이 생겨 이렇게 문의 드립니다. 도움 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꾸벅

1. a.txt b.txt ....등등 여러 파일에
To: 메일아이디@naver.com
포멧으로 메일이 어딘가에 적혀 있습니다.

2. list.txt 파일에는
seoul|메일아이디
busan|메일아이디
.....

이런식으로 메일아이디에 대한 지역이 나타나 있습니다.

3. mail.sh 파일을 이용하여 1번의 a.txt b.txt 등의 파일에서 메일아이디만 추출하고 추출된 메일아아디를 가지고 2번의 list.txt파일에서 해당 메일아이디의 지역을 추출해서(seoul, busan...) 지역명의 디렉토리를 만들고
해당 파일을(a.txt b.txt...) 이동(mv)시켜 각 파일들을 메일아이디의 지역에 맞게 이동시키고 싶습니다.

clapmin의 이미지

NAT IP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NAT쪽에 대해서 조금 알아보다가 궁금증이 생겨서 질문드립니다.

서버 여러대가 있을 때, 각각의 서버가 사설IP+공인IP를 들고 있는 경우를 봤구요.

사설IP+NAT IP를 들고 있는 경우를 봤거든요.

이때의 차이점, 각각의 장단점같은게 있을까요?

서버1, 서버2, 서버3의 NAT IP가 같은 경우도 있던데,,(각자 사설IP만 들고있고 공인IP는 안들고 있고 같은 NAT IP만 들고 있더라구요)

이런식으로 공인 IP가 아닌 NAT IP만 들고있을때의 장점이나,

여러대의 사설IP 혹은 사설IP+공인IP를 들고있는 서버들이 같은 NAT IP를 들고 있을 떄의 장단점같은게 어떤게 있을지 궁금합니다 ㅎㅎ^^

nalbwa의 이미지

TCP에서 multiple write와 read

프로세스 1이 write함수 호출이 3번 나오고
프로세스 2가 프로세스1이 write한 버퍼를 read함수 1번 호출로 받는다고 했을때

read가 어디까지의 버퍼를 받을지는 네트워크의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는건가요?

제가 알기론 write가 read에 완전히 보낼때까지 read하는쪽이 ACK을 기다리고 있다가 다 전송받으면 ACK을 write했던 프로세스에게 보내는거로 아는데
write 3번호출이

write()
write()
sleep(1)
write()

이런식으로 이루어지면 read가 첫번째 2개 write만 받아내고 ACK을 보내서 3번째 write는 받지 못하는것인지 궁금합니다

페이지

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