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nahs777의 이미지

Sed 사용법 질문입니다..

SED를 처음 사용해보는 초보자입니다. 나름 이해했다고 생각했지만..

imyejin의 이미지

한국에 와서 컴을 켤 때마다 밀려오는 짜증

일단 닥치고 액티브엑스 사이트에 접속해야 하니 윈도우즈가
아니거나 IE 아닌 브라우저로는 거의 아무것도 못하게 만들어
놓았어요. 특히 무슨 결제 하나 하는데 뭘 이렇게 복잡한 짓을
많이 해야 하는지, 철도예약에서부터 간단한 책 주문까지 왜
우리나라에서는 모든 사람의 컴퓨터를 걸레처럼 너덜너덜하게
만들지 않고서는 못배기도록 이런 미친 환경 속에서 살아가야
하는 걸까요?

*다방에서 노트북으로 인터넷을 하려고 네스팟에 접속하려는데
무슨 플러그인을 안깔면 돈내고도 인터넷 못쓰게 하는군요.
다행히 대학교 근처라 그런지 공짜 무선랜이 잡혀서 그냥 그걸
쓰고 있습니다만 돈내고 쓰려고 해도 M$ 윈도우즈가 아니면
쓰지도 못하게 하는 이뭐병같은 상황에 짜증이 납니다.

cs010101의 이미지

visual studio .net 2008 책 좀 추천해주세요.

주로 리눅스에서 C프로그래밍 했는데요.
윈도 GUI 프로그램 좀 할려고 해요.

차근차근 배울 수 있는 좋은 책 좀 추천해주세요. 2008용으로요.

보니까 2005까지랑 2008부터랑 틀리는것 같더라고요.

부탁드립니다~~

seacloud의 이미지

16bit 를 6bit로 변경하기.

안녕하세요,

16bit를 6 bit씩 쪼개어 3개로 나누어야 하는데,

3개의 6bit 는 각각 햐위 2bit가 padding처리가 됩니다.

그런데, 6비트씩 나눈다면 6/6/4로 마지막 3번째에서 2bit가 모자라는데

이런경우에는 다음번 16bit data의 2bit를 가져와서 붙이는 방법으로

6/6/6 형식을 완성시켜야 하나요?

아니면 16bit

atdt01420의 이미지

Makefile에서 Object 분리 방법 가르쳐 주세요.

안녕하세요.
Makefile을 수정해서 Object파일을 따로 보관하려고 합니다.

Makefile 작성법을 몰라 고생하고 있습니다.
수정 방법 좀 가르쳐 주세요.

=============================================
CC = arm-linux-gcc
LD = arm-linux-ld

EXEC = Test
OBJS =./main.o

KERNELDIR = /project/kernel/linux-2.6.22
CC = arm-linux-gcc
CHMOD = chmod 777
RM =

elementy의 이미지

xubuntu 8.10 터미널콘솔(grub) 해상도 변경시 부팅 splash가 오른쪽으로 몰려서 나오네요;;

/boot/grub/menu.lst 에서 vga=0x318로 수정했습니다.

그런데 부팅 splash가 가운데에 자리잡질 않고 오른쪽으로 붙어서 나와서 보기에 굉장히 안좋습니다.

일단 터미널 해상도는 제대로 잡혔습니다.

그렇다고 splash끄자니 커널메시지 보기가 그렇구..

깔끔한 splash 보긴 좋은데 터미널콘솔 해상도를 낮추

narusas의 이미지

Default gateway(gw) 가 죽었을때 같은 네트워크도 느려집니다.

ubuntu를 사용하는 중입니다.

가끔 공유기가 열때문에 맛이 가서 잠깐 꺼질때가 있습니다. 이때야 당연히 인터넷이 않되는게 당연하겠지요.

그런데 공유기 아래에 허브를 연결한 상태인데 허브에 연결된 같은 서브넷(subnet 255.255.255.0 ) 상에 위치한 다른 PC로의 네트워크가 너무 느려집니다.

puaxx의 이미지

[질문] TCP/IP 네트워크 프린터 질문

랜포트 없이 usb 포트만 지원하는 hp 프린터가 있습니다.

공문서 같은걸 인쇄할때는 해당 컴퓨터에서 인쇄해야 되는데요.

이걸 리눅스를 이용해 TCP/IP 네트워크 프린터로 잡을수 있도록 할수 있을까요?

가능한지 조차 모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s_jeho의 이미지

사설교환망PBX의 OPEN SOURCE 프로젝트에 대하여...

PBX, 즉 교환망을 오픈 소스화 한 것들이 있더군요,
Asterix 라고...

이것을 이용하여 집에서 PBX에 대한 공부를 해보려고 하는데
구체적으로 소프트는 구해서 설치한다고 하지만 어떤장비가 필요할지 모르겠습니다..

모뎀, 즉 RJ11에 대한 인터페이스가 필요할테고, 이것을 뿌리는 기계는 VoIP용 게이트

monovision의 이미지

ddos 공격 테스트 툴을 만드느데 질문이 있습니다. (네트워크 관련)

ddos 공격 툴을 만들고 있는데 한가지 질문이 있습니다.

하고자 하는 것은 flooding 공격을 할때 그 양을 직접 제어를 하고 싶습니다.

udp flooding 의 경우 한계치까지 무한 쓰레드로 돌려버리면 초당 최대 7-8 만 패킷.

페이지

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