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skyno486의 이미지

qsound 와 /dev/dsp 질문드립니다.

wav 오디오 프로그램을 제작해볼려고 공부중인 학생입니다.

그런데 시작하자 막혔네요.

QT로 qsound 클래스를 사용해서

wav 파일을 재생시킬려고 하는데 음악이 나오지가 않네요

리턴값을 봐도 0으로 나오고;;;

QSound *a = new QSound("주소");
a->play();

주소를 상대 절대 주소를 해도 나오지가 않네요

HunterRTS의 이미지

[완료]AT91RM9200 코어를 Custom 보드, 이런 증상 보셨나요?

AT91RM9200를 기초로 커스텀 보드를 만들었습니다. u-boot1.3.4-rc2가 올라 간 상태입니다. 리눅스 커널을 올리고자 하는데, 빌드된 이미지가 메모리 로딩 번지에 따라 조금은 다른 에러를 발생 시킵니다.(주로 internal error #x 이런 메세지가 발생합니다) SDRAM이 의심이 되어 오실로스코프로 찍어 보았습니다.

vhgksl의 이미지

IPv6주소 내컴퓨터에 잡기??

안녕하세요 리눅스를 공부하는 리눅서입니다.
페도라8에 커널 버전 2.6.24.7 입니다.

IPv4버전과 IPv6버전의 IP주소를 함께 쓰고 싶어요~

<IPv6 enable>
 1) /etc/sysconfig/network 에서
    NETWORKING_IPV6=yes
    IPV6_AUTOCONF=yes(필요시) 
 line을 추가한다.
 2)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interface>에서
    IPV6INIT=yes

sweep의 이미지

가입하려고 할때 적어야되는 인증숫자,영어들

인증이미지가 안떠서

영어,숫자등을 입력못해서

가입할수가없다네요.

제보입니다..ㅋㅋ

poplike의 이미지

gcc 로 네트웍 프로그래밍에서

윈도우 프로그래밍에서는

네트워크에 관한 헤더 파일이

winsock2.h 파일 하나와 ws2_32.lib

두개만 해주면 되던데..

리눅스에서는 h 파일들이 상당히 세분화 되있더군요.

어떤 이유 때문에 이렇게 h 파일을 따로 따로 불러다 써야 하는지요..?

newlife958의 이미지

malloc() 와 free()에 대해서요..

malloc 으로 공간을 할당 받고

그할당된 공간을 free 시킵니다.

그런데 이것이 무한히 반복된다면

힙이 다차게된다면 처음에 malloc 한공간을 free 시킨 메모리공간을 다시 할당하게되나요??

즉 free 한 메모리 주소를 malloc 하다보면 다시 재사용 하는지 궁금하네요

프로그래머가 그주소를 직접 대입

36311의 이미지

GFDL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업 출판물을 만들 때...

GFDL을 어떻게 적용시켜야 하는 겁니까;;; 아 이거 어렵네요;;;

전체 책에 딱 그림 하나 넣는 건데...

newlife958의 이미지

malloc 하고 free 한 공간에 대해서 좀 궁금한게 잇네요.

malloc 으로 공간을 할당 받고

그할당된 공간을 free 시킵니다.

그런데 이것이 무한히 반복된다면

힙이 다차게된다면 처음에 malloc 한공간을 free 시킨 메모리공간을 다시 할당하게되나요??

즉 free 한 메모리 주소를 malloc 하다보면 다시 재사용 하는지 궁금하네요

프로그래머가 그주소를 직접 대입

anaud2의 이미지

안녕하세요 dirfd에 대해서 질문을 드리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리눅스에서 ftp데몬을 조금 변경해서 새로운 ftp데몬을 만들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유닉스 포팅을 해야해서 포팅 중인데요 문제점이 생겼습니다.

sun os 5.9(선 솔라리스 5.9인것 같습니다.) 인데

소스를 컴파일해보면 에러가 발생을 합니다.
ftp 구성하는 소스중 glob.c라는 소스중 아

jinjin620의 이미지

레드햇 설치 커널 패닉 관련 질문드립니다 [대답 꼭 부탁드립니다^^]

sata하드에 xp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IDE 하드를 하나 추가하여서
레드햇 9.0을 설치하였습니다.

설치가 잘 끝나고 부팅을 하는데 grup에서 두 가지가 있더군요.

red hat linux(2.4.20-8 smp)와 red hat linux-up(2.4.20-8)

red hat linux(2.4.20-8 smp 를 선택하게 되면

VP_IDE : IDE controller at PCI slot 00:0f , 1

VP_IDE : chipest revision 7

VP_IDE : not 100% native mode : will probe irqs later

VP_IDE : Unknown VIA SouthBridge, disabling DMA.
이렇게 나오면서 아무런 키도 안먹고 멈춥니다.

red hat linux-up(2.4.20-8) 를 선택하게 되면

*pde = 00000000

Oops : 0000

............

페이지

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