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virus829의 이미지

리눅스 cron에서 쉘 스크립트 인식을 못합니다.

쉘 스크립트 파일을 작성 후 cron에 등록해서 1분마다 실행시키려고 하는데 스크립트 파일을 찾지 못합니다.

over7474의 이미지

[재업] 서브네트워크와 관련된 문제 질문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답변이 달리지 않아서 재업로드를 해보았습니다.

현재 저는 서브넷의 수를 구하는 문제로 고민을 겪고있습니다.

A클래스는 0.0.0.0 ~ 126.255.255.255 이고 기본마스크는 255.0.0.0 이다.
B 클래스는 128.0.0.0 - 191.255.255.255이고 기본마스크는 255.255.0.0이다.
C 클래스는 192.0.0.0 - 223.255.255.255 이고 기본마스크는 255.255.255.0이다.

1번같은 경우에는 B급 클래스라서 128.0.0.0 ~ 191.255.255.255 사이의 네트워크 주소임을 알수 있는데
비트를 빌렸다는 개념이 들어가고나서부터 어떻게 계산처리를 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힝

빌려서 계산을 한다는것은 어떻게 해야할까요? 어렵네요.. :(

[1] 8비트를 빌려 서브넷팅을 하였을 경우 B급 네트워크에서 생성할 수 있는 서브넷의 수는 몇 개 인가?

A. 255
B. 256
C. 192
D. 244

하진호@Google의 이미지

(자바) 새 노드를 만들어서 노드를 대입한 후에, 내용물을 꺼내보니 타입이 다릅니다.

더블리 링크드 리스트로 프리스토어를 시뮬레이션하는 프로그램을 만드는 과제 중인데요,

일단 heap은 더블리 링크드 리스트이고, .getFirst()는 그 첫번째 노드입니다.

heap에 있는 노드를 순서대로 돌아가면서 그 내용물을 비교하려고 Node current를 만들어서 대입하였는데,

.getItem()으로 내용물을 살펴보니, 노드에 원래 들어있던 Blcok이라는 타입(따로 만든 타입입니다.)이 아니라 java.lan.object 타입으로 바뀌는데요.

블록의 코드는 이렇습니다.

class Block {
public int size;
public int start;
public int end;

public Block(int size, int start, int end) {
this.size = size;
this.start = start;
this.end = end;
}

내가왜리눅스썼지의 이미지

저 이런 내용을 위키에 추가하고 싶은데

어떤지 묻고 싶습니다.

joystick 관련으로

xbox 컨트롤러는 xboxdrv 를 깔면 된다

그리고 itvideo 에는

기타 항목에 혹은 해킹이 직접적으로 들어나는

게임

watchdogs 시리즈

내가왜리눅스썼지의 이미지

리눅스 민트에서 지지직 거리는 소리 문제

이걸 질문으로 올려도 되는지는 잘 모르겠네요. 어찌보면 리눅스를 이용한 한 배포판에서 일어난 문제라서 괜히 리눅스를 리눅스 커널만 인정하는 분들한테서는 욕 먹을 수 도 있는 질문인데요.

제가 현재 리눅스 민트 18 시나몬 사라를 깔았는데 볼륨을 조금이라도 올리면 지지직 거리는 소리가 나서 질문드립니다. 아무 것도 재생 안 할 때만 지직 거리는 소리가 들리고 컴퓨터에서 음악을 재생한다던가 다른 소리가 나오면 지직 거리는 소리가 사라집니다. 어떻게 하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까요?
만약 정보가 더 필요하시면 필요하시 정보를 요청해 주셔도 됩니다.

shint의 이미지

사용자 정의 해상도'를 적용해보자.


- 사용자 정의 해상도 (프로그래시브. 인터레이스 - GTF. DMT. CVT 등등)
- 모니터 Hz
- 입출력 연결 방식(시리얼 케이블. DVI. HDMI)
에 따라서. 성능이 좋아질 수 도 있다고 한다.

사용자 정의 해상도'를 만들어보자.
http://blog.naver.com/aufcl856/220571663690

120 Hz
http://www.itnamu.com/1023

daktopia의 이미지

EOF와 파일시스템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컴공과 다니는 대학생입니다.

EOF에 대해 궁금하네요.

파일의 끝에 EOF라고 인식될 수 있는 특별한 코드가 있다고 이해하고 있는데

그렇다면 2메가 크기의 파일에서 1메가 부분에 EOF를 write 하면

그 파일의 끝은 write한 EOF부분 까지인거고, 용량도 1메가가 되는게 맞는건가요?

그렇다면 OS에서는 EOF라는 코드 만으로 파일의 끝을 표시하는건가요?

예를들어 파일 끝에 있던 EOF라는 코드를 지운다면, 그 파일은 어떻게 되는건가요?

경험상 용량이 큰 파일일수록 파일의 용량을 조사하는데 시간이 걸리는 것을 봤을 때

실제로 파일의 처음부터 EOF를 만날때까지 순차적으로 커서?를 옮기며 크기를 조사하는 거 같은데...

유닉스 디스크에 대해서도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제가 배우기로는...

디스크는 bootblock, superblock, inode. datablock 로 구성되어 있다고 알고있습니다.

speedwall의 이미지

OS개발 30일 프로젝트 이 책 가지고 계신분?!

안녕하세요!
당차게 OS를 만들어보겠다며 중고책을 구매했으나 첨부된 CD가 없네요 ㅠㅠ 크윽

혹시 책 가지고 계신 분중에 첨부 CD의 내용을 보내주실수 있으신분 있으실까요?

speedwall@nate.com 으로 보내주시면 정말정말 감사하겠습니다

(저자가 CD의 내용은 맘대로 가져다 써도 된다고 책 내에서 말했습니다)

페이지

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