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kyj_kr의 이미지

커널과 가상메모리 질문있어요.

간단하게 질문드리겠습니다.

컴퓨터가 부팅되면서 커널 프로세스가 실제 메모리에 올라갑니다. 그리고 프로세스를 생성하면 각 프로세스 마다의 가상메모리 공간이 만들어지면서 윈도우 32비트 기준으로 2G의 커널영역이 만들어지겠지요.
그럼 대체 이 2G크기의 가상 커널 영역에 있는 코드는 실제 메모리에 올라와있는 커널 코드를 일부분 copy한건가요?

감사합니다.

lhc9763의 이미지

쉘 스크립트 도움 좀 부탁드립니다 ㅠㅠ

안녕하세요 도저히 혼자서 못 하겠어서 도움을 요청드립니다 ㅠㅠ

쉘스크립트 작성중인데 한 번 보시면,

kosang02의 이미지

배틀아이우회

게임마다 핵을막기위해 배틀아이가 있는데
배틀아이를 우회하기위해 게임 코드를 조작해서
배틀아이가 실행되지 않고 게임을 시작하게하는 법이
가능한가요???
불가능 할꺼같은데

iamlengend의 이미지

터미널에서 쉘 커맨드 실행하는 방법

리눅스 터미널에서 바로 쉘 커맨드를 실행하는 방법이 뭔가요? sh filename.sh와 같은 스크립트 실행말고 커맨드 단위로 실행하는 방법이요.
예전에 알았는데 다시 검색하려니 정보도 안나오고 기억이 안나네요.
%> sh echo "aaa" 또는 echo "aaa" sh 이런식으로 했던 것 같은데 혹시 아시는 분 있나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linux /proc/cpuinfo로 aarch64인지 x86_64인지 가리고 싶습니다

x86_64에서 빌드된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x86_64에서는 그냥 돌아가고, arm64에서는 qemu+kvm을 이용해서 binary translation을 해서 수행시키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두 환경 모두에 완전히 동일한 실행 파일을 사용합니다. 앞으로 arm이나 몇 가지 다른 타겟에서 마찬가지로 qemu+kvm 가상화를 이용해서 수행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실행 중에 이 프로그램의 host가 x86_64인지 arm64인지 혹은 다른 무엇인지 간단하게 구분하고 싶습니다. 현재 찾아낸 방법은 우선 uname -m을 fork-exec으로 수행하고, pipe를 이용해서 output을 읽어오는 것입니다. uname() 콜은 에뮬레이트 되더군요.

이것보다 간단하고 신뢰성 높은 방법을 찾고 있습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LM_LICENSE_FILE 스크립트 문법

LM_LICENSE_FILE가 setenv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27001@192.168.0.209:27001@192.168.0.47

@앞은 호스트 계정으로 보이는데 :(쌍점)을 통해서 호스트끼리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스크립트의 의미를 알고싶습니다.

감사합니다.

at1239의 이미지

[C++ ]CODEPAGE가다른 환경에서 컴파일하고 한글을출력하려면

안녕하세요

CODEPAGE가 한국(949)이아닌 중국(936)상태에서 컴파일하고
문자집합은 유니코드가아닌 멀티바이트 입니다
CHARSET을 바꾸고 입력식으로 테스트하면 한글이출력이되지만
컴파일은 ANSI가달라서인지 모두 물음표로나옵니다..
혹시 이경우
중국ANSI(GB2312)를 UTF8로 바꾸고 그 UTF8을 다시 CP949로 변환하면 컴파일때 선처리가 가능할까요?
가르침 부탁드립니다..

at1239의 이미지

CODEPAGE가다른 환경에서 컴파일하고 한글을출력하려면

안녕하세요

CODEPAGE가 한국(949)이아닌 중국(936)상태에서
유니코드가아닌 멀티바이트 입니다
CHARSET을 바꾸고 입력식으로 테스트하면 한글이출력이되지만
컴파일당시 ANSI가달라서인지 모두 물음표로나옵니다..
혹시 이경우
중국ANSI(GB2312)를 UTF8로 바꾸고 그 UTF8을 다시 CP949로 변환하면 컴파일때 선처리가 가능할까요?
가르침 부탁드립니다..

김선기@Google의 이미지

쉘프로그래밍 질문드립니다.

centos7 환경입니다.
DNS를 쉘프로그래밍으로 설치 중 에러가 떴는데 해결을 못해서 올려봅니다.

a="echo -e "zone \"kim.com\" IN {\n type master;\n file \"kim.zone\";\n allow-update { none;};\n };" > txt.txt"
eval $a

dns.sh: line 20: syntax error near unexpected token `}'
dns.sh: line 20: `a="echo -e "zone \"kim.com\" IN {\n type master;\n file \"kim.zone\";\n allow-update { none;};\n };" > txt.txt"'

a는 echo로 rfc파일 설정을 위해 만들었습니다.
zone "kim.com IN{
type master;
file "kim.zone";
allow-update { none; }

chocokeki의 이미지

arm 어셈 mov 간단한 질문

ARMv6-M 문서를 읽어보면 thumb1 명령어는 대부분 r0-r7 까지만 접근이 가능하다고 되어있습니다
ARMv7-M 을 보면 thumb2는 이런 제한이 없구요

그럼 ARMv6-M에서는 mov도 r0-r7 까지만 가능한 건가요??
그런데 막상 ldm 같은 건 ARMv6-M에서는 r0-r7까지만 접근이 가능하도록 제한이 있는 거 같더라구요

이런 구분을 어떻게 해야하는 지 궁금합니다...

페이지

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