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호기심천국의 이미지

c++의 메모리 할당방식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기초가 많이 약한 c++ 초보입니다.

(편의상)char*의 realloc이나 vector의 resize를 통해 메모리를 재할당할때 궁금한점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제 생각에는 realloc이나 resize로 char* 이나 vector의 사이즈를 확장할때 기존에 다른 변수가 사용된 메모리를 침범할 수 있을것 같은데, 이런경우는 발생하지 않나요?

예를들어 메모리주소 1이라는곳에 char* arr가 생성되어있고, 메모리주소 10이라는곳에 int x라는 것이 할당되어있을때, realloc(arr, 20)을 하면 x의 값에 영향을 미치게 될 것 같아보여서요.

그렇다고 realloc이 x가 할당된 주소 10을 피해서 1~9, 11~21을 할당하는것 처럼 보이지는 않구요. (연속성때문에..)

그러고보니 근본적으로 애초에 변수를 선언할때 어떤식으로 메모리 주소를 할당해주는지도 궁금하네요... 랜덤하게 주는건 아닐것같은데 ㅠ

궁금한게 많습니다. 고수님들 알려주세요~~!

shint의 이미지

1km Wi-Fi 무선 와이파이




 

 



http://www.devpia.com/MAEUL/Contents/Detail.aspx?BoardID=52&MAEULNO=20&no=52237&page=1

반경 1km 와이파이 사용 가능한 통신칩 개발 / YTN

집밖 1Km 거리에서도 Wi-Fi 연결, IoT를 위한 802.11ah 표준 확정

eternalklaus의 이미지

디스어셈블리에서 레이블 정보는 어디에 있나요???

아래 코드는 디스어셈블리의 일부입니다.
(바이너리를 디스어셈블해서 뽑아왔습니다)

eternalklaus의 이미지

어셈블 과정에서 더미코드들이 생겨나는 이유

어셈블 과정에서 어셈블러가 더미코드들을 추가하는데 그 이유가 뭘까요?
실험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a.s --assemble--> 바이너리 파일 --disassemble--> b.s

최종 디스어셈블리인 b.s를 보면, ( 제가 a.s에 추가하지 않은) 더미 인스트럭션들이 종종 보이는데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즉, 어떤 상황이냐면,

xodn158의 이미지

c 언어 배열로 장난하는 거 같지만..

0 0 1 0 0
0 2 3 4 0
5 6 7 8 9
0 10 11 12 0
0 0 13 0 0

이런 식으로 나오게끔 코드를 짜봤습니다. 대부분은 잘 되는데 a[0][0] 부분에서 32이라는 숫자가 뜬금없이 나옵니다. 이게 어떤 동작으로 인해서 32숫자가 나오는 건지 궁금해서 질문 올립니다.(원래는 0이 나와야 정상)

dnwls3525의 이미지

java로 미로찾기를 구현하고자합니다.(아이디어부족)

랜덤함수를 이용해서 골인지점을 찾는 프로그램을 만들고자 합니다.
방식은 이렇습니다.
1. x,y축 상으로 표현된 배열 안에서
출발지점에서 다섯 개체가 출발합니다.
-밟은 땅은 파란색으로 표시함
-한 개체당 움직이는 걸음 수에 제한이 있음
-개체별 걸음 제한이 끝나면 목표지점과 현재위치를 점과 점사이 거리공식이용하여 순위를 매김
-이동한 개체들 중 우성과 열성을 비율을 정해 선택하여 현재위치에서 다시 여러개체가 출발
-이를 반복하다가 목표지점에 도달시 종료

namacin의 이미지

zfs에서 스냅샷 생성 방법중...

크론으로 주기적인 생성 말고..
디스크 io가 빈번하거나 일정수준 이상일 때...
아니면 네트웍 트래픽이 그럴때....
이렇게 특정 조건에 부합할 때 스냅샷을 생성할 방법이 있을까요?

hgg2468의 이미지

서버와 클라이언트에 대해서... 대략적인 개요가..ㅜ

안녕하세요. 막학기를 다니고 있는 전산학도입니다.

개발을 하려고 하는데 감이 잡히지 않아서 이렇게 여쭤봅니다.

일단 저는 가상화폐 트레이딩 봇을 만드려고 합니다.

그 봇을 서버에 올려서, 각 유저들이 접속을 하면 봇을 이용할 수 있게 말이죠.

4년동안 서버프로그래밍은 배운적이 없어서 열심히 찾아보고는 있는데..

대충 웹서버와 웹애플리케이션서버 정도가 있다는 걸 알게되었습니다.

근데 여기서 웹 애플리케이션이라 함은 단순히 클라이언트쪽에서 '뭘 해줘!' 라고 하면 WAS가 '알았어! 계산좀! 자!' 하는 식으로 정보를 주고받는 것 같은데..

제가 구현해야 하는 것은 클라이언트가 '이거이거해줘!' 하면 서버쪽에선 그 정보로 1달이면 1달, 3달이면 3달동안 계속 프로그램을 돌려야 하는 상황입니다. 그 사이사이 생성되는 값들을 클라이언트에 돌려줄 수도 있지만요...

이런 경우에는 서버쪽에서 해당 봇을 수백 수천개를 돌려야 하나요?(유저수에 따라)

감이 잡히질 않습니다..

세벌의 이미지

MS가 깃허브를 인수

http://www.etnews.com/20180604000119

엠에스가 깃허브를 인수했다네요...
깃허브를 사용하는 개발자들에게는 어떤 변화가 생기는 건가요?

페이지

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