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CentOS를 설치할 때 디스크가 표시되지 않습니다.

- 질문하려고 하는 내용
그래서 결국 생각해 낸 방법이 듀얼부팅이었습니다. https://thrillfighter.tistory.com/618 이 글을 참고하여 볼륨 축소(50GB)를 하고 usb를 만들었습니다. 그런데 제가 설치를 하려고 하면 첨부한 사진과 같이 아무런 디스크도 나오지 않아서 설치할 수 없는 상태가 됩니다. SSD는 삼성 250GB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isanghan의 이미지

시스템 시작하고 1분 내외로 오류가 뜨는데요...

무슨 오류인지 설명도 안 해주고 무조건 리포트 보내라고 나오네요...

기동 후 1분 정도 지나면 무조건 뜨는 거니 시작 설정에서 뭔가 걸린거 같은데

우분투 기동시 자동시작하는 커맨드를 정의하는 곳은

어떤 곳들이 있나요?

hjchoi0620의 이미지

C쉘 코드의 문제점 해결을 하고 싶습니다. C쉘 고수님들 도와주세요

안녕하세요.
리눅스 초보입니다.

set P1 = 1981/1990
set DIR = /disk3/hjchoi/data/ERA-Interim
set OUT = /disk3/hjchoi/TEST/moving_data

@ P2_1 = 1981 # start year of P2
@ start_year = 1981
@ end_year = 2017
@ period = 10
@ n = ${end_year} - ${period} + 1 # last start year
@ mon = 1 # for month

dubai91의 이미지

UART 터치 드라이버를 USB 터치 드라이버로 바꾸는게 어려울까요..?

AR1100 이라는 Microchip 드라이버를 임베디드 리눅스에서 사용하려고 합니다.
문제는 Open source 로 제공되는 드라이버는 UART 타입인데요..
기존의 장비가 USB 타입으로 되어있습니다. 정확히는 AR1100 프로토콜에 맞는 HID-mouse 혹은 HID-generic 타입으로 보냅니다. 여기서 문제가 윈도우에서는 3rd Party App 으로 Touch Base 의 UPDD 라는 프로그램이 있는데, Linux 에는 x86 용으로 된 드라이버만 있을 뿐.. ARM 용으로 없어서 크로스컴파일도 힘든 상황입니다.
이 상황에서 AR1100 UART 드라이버를 USB 타입으로 인식하게 해서 동작시켜보려고 하는데요. probe 나 이런 과정에서 BUS_UART를 BUS_HOST 이런식으로만 바꿔만 주면 되는건지, 아니면 USB 로 된 터치 드라이버를 참고해서 Parsing 하는 부분만 수정해주면 되는건지 문의드립니다.

albert.lee의 이미지

[임베디드 리눅스] redirect serial console(ttyS0) in/output to telnet(ttyp0)

안녕하세요.
임베디드 리눅스 관련 질문드립니다.

nuvoton 칩에 포팅한 리눅스 app을 serial port 또는 telnet을 통해서 모니터링 하고 있습니다.

boot argument "console=ttyS0"로 설정해놔서
기본적으로 serial port를 통해 app 과의 console 입/출력은 됩니다.
또한 telnet으로 접속 시 app을 재시작시키면 telnet 터미널을 통해 app과의 console 입/출력도 됩니다.
즉, app에서 출력하는 메시지 확인 및 app으로의 키보드 입력 등이 처리됩니다.

하지만 telnet으로 접속 시 app을 재시작시키지 않으면
여전히 serial port 쪽으로 app과의 console 입/출력이 되고 있어서
telnet으로 app을 모니터링 할 수가 없습니다.

하여 궁금한 것은..
telnet 터미널을 통한 app과의 console 입/출력을 app 재시작 없이 되게끔 하는 방법입니다.

Harvey Moon@Google의 이미지

iptables 포트포워딩을 통하여 (외부IP주소:포트)로 (내부IP주소:포트)에 접근하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iptables을 이용한 포트포워딩이 잘 안돼서 조언을 구합니다.

1) 라즈비안OS에 도커 컨테이너를 띄우고 nginx로 웹서버를 구축하였습니다.

2) IP주소에 포트 설정까지 하였습니다. (내부 IP주소: 222.22.2.2:8888)

3) 공유기를 통한 내부망뿐만 아니라 외부망 어디서든지 접속가능하게 하려는 목적으로 포트포워딩을 하였습니다

4) KT통신사가 제공하는 공유기 설정페이지에서 포트포워딩을 설정하고,
외부 IP주소로 접속해보고, 내부 IP주소로도 접속해보니 잘 됩니다.
예) 111.111.11.111:8888 (외부 IP주소) -> 222.22.2.2:8888 (내부 IP주소)

5) 다음으로 iptables를 이용하여 포트포워딩을 시도해보았습니다.
검색을 통한 여러가지 방법을 다 적용해봤지만 모두 되지 않았습니다.
방법이 잘못된건지 통신사에게 막아놓은 것인지 아니면 원래 안되는 것인지 알지 못하여 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emptynote의 이미지

자체 RPC 개발 프레임워크 vs 전자정부 프레임워크 기술 자문 해줄분 어디서 어떻게 모셔야 할까요?


자체 RPC 개발 프레임워크를 만들었는데,

전자 정부 프레임워크처럼 인증을 받아 공공 기관에서 개발을 하고 싶은데요.

그래서 자체 RPC 개발 프레임워크 vs 전자정부 프레임워크

냉정한 비교가 필요합니다.

냉정하게 기술 비교해줄 분 어디서 어떻게 모셔야 할까요?

alsgh9411의 이미지

mrtg 모니터링 대상 추가하고 싶은데 안되네요..;;

지금 mrtg를 구축해보고 있는데 로컬(192.168.0.172)는 잘됩니다
그래서 0.1도 추가해서 mrtg로 보고싶은데 안되네요...뭐가 문제일까요?

snmp.conf 파일

####
# First, map the community name "public" into a "security name"

# sec.name source community
#com2sec notConfigUser default public

####
# Second, map the security name into a group name:

# groupName securityModel securityName
group notConfigGroup v1 notConfigUser
group notConfigGroup v2c notConfigUser

lalupo20의 이미지

구글플레이스토어에 롬파일 여러개 들어있는 에뮬앱 올라와 있던데

이런거 저작권 문제 되는거 있는지 검사 안하는건가요?

구글에서는 터치 안하지만 잘못 걸리면 소송걸리는건가요?

ianandhappy의 이미지

운영체제에 대해 질문

안녕하세요. 운영체제를 만들고 있는 학생 입니다..
운영체제를 만들다 조금 걸리는 게 있어서요. 계속 구글링을 해도 안나와서 여기에 질문을 하려고 합니다.
일단은 GDT랑 IDT는 구현했는데, 마우스 인터럽트를 키는 방법을 몰라서 계속 걸리고 있습니다.
키보드는 어셈블리어 명령어에 in out 을 이용해서 인터럽트를 키고 FIFO까지 만들어서 잘 쓰고 있는데,
마우스는 인터럽트가 켜지질 않아서 고민하고 있습니다. 어떻게 할까요..?
구글링해서 찾아보니까 PS/2 마우스는 IRQ 12가 담당하고 있다는데....
도와주세요 ^^

페이지

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