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질문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설치 궁금 사항이요...답변좀.

펜티엄 4에서는 리눅스 파란7.1 버젼이 설치가 안데는
지 궁금하네여...학원에서 셀러론300 설치 할때는
잘되던데...집에서 하니깐 안되네여
파란7.1 시디 1번으로 부팅을 했구요.
설치화면에서 엔터 누르면 설치한다고 해서
엔터를 눌렀는데 화면이 꺼머코....암것두 안데여
다운되고.... 왜그러져? 답변좀 부탁합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c언어에서 화면 출력, 한번에 좍~~ 쓰내요..

main()
{
어쩌구, 저쩌구.....
무한루프{
함수(어쩌구);
printf("......");
}
}

위와 같은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함수부분은 파일 입출력을 비롯한 이런 저런 작업이 이루어지구요.
그리고 프린트 부분은 ..... 으로 작업의 진행상황을
표시하려고 찍는것입니다.

원래는 1~2초정도에 한번씩 ..... 이 찍혀야 하는데
프로그램을 실행하보면
한참동안(약 2~3분정도 후에 )가만히 있다가
.........................................................
.........................................................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xwindow랑 그래픽에 관한건데요..

Xconfigurator를 실행시키니깐 처음 화면에서 그래픽카드를 잡는데서요
자동으로 찾은 그래픽카드 이름이 깨져서 나오는데 어떻게 하면
그래픽 카드이름이 제대로 나오게 할 수 있나요?

또 하나는 리눅스 처음 부팅했을때 xwindow 설정 다 해주고 수동설정으로
그래픽 카드 메모리하고 모니터 하고 화면 해상도 다 잡아줬는데
처음 설정을 했을때는 잘됩니다. 그런데 재부팅 하고나면 이런에러 가 뜹니다.

fatal server error
could not open default fon 'fixed'

XIO fatal IO error 104(connection reset by peer)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파티션나눌때 질문요~~

리눅스를 깔려고하는데
제 컴에는 지금 C, D로 파티션이 나뉘어져있어요.
D에다가 리눅스를 깔려고하는데... 리눅스설치할때 파티션을 다시잡아
주자나요... 스왑파티션은 잡히는데 native파티션을 잡을려고하면
" boot 파티션 > 실린더 " 는 에러가 나오면서 용량할당이 안되요...
왜그런건지 좀 가르쳐 주세요....

그리고 win2000에서 파티션매직사용안하고 파티션나누는 방법도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질문] touch screen 에 관하여...

touch screen 을 리눅스에서 세팅하려 합니다.

그런데 여러가지 문서를 읽어 보았더니 tablet 과 비슷한 것 같아서...

정말 원리가 tablet 인식 시킬때와 같은지요....?

xinput 이라는 유틸을 써서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것 같은데...

혹 이 유틸을 쓰는 방법 말고는 없는지요....?

도와주시와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파티션과 관련된 질문입니다....

30G 하드를 4개로 나눠서 쓰고 있습니다..

C --> winme (5G)
D --> 암것두 없음 (5G)
E --> win2000server (5G)
F --> 백업 (15G)

그런데, 리눅스를 D 에다 설치하려고 하는데, 문제가 좀 있습니다.
위의 파티션을 도스에서 FDISK를 이용해서 파티션을 미리 다 나눠놓아버렸거든
요, (그러니까 C는 primary로 잡고 나머지 D,E,F를 extended로 전부 잡아버렸
습니다)
이런 경우에, 리눅스설치시에 fdisk나 diskdruid로 D 파티션을 지우고,
거기다 새로 리눅스 파티션을(native, swap)만들어서 깔아도 되는건가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질문]resize_reiserfs를 쓰고나서...

df를 하면 줄어든 결과로 나오고
fdisk를 하면 바꾸기 전 상태로 나오네요.

man resize_reiserfs를 살펴보니 cfdisk를 사용해서
파티션을 조정해야 한다고 나오는데 어떻게 하는 지 궁금합니다.

# umount /boot
# resize_reiserfs -s -25G /dev/hda1
(정확하게 얼마를 줄였는지 가물가물 하는군요 -_-;;;)

# mount /boot
# df /dev/hda1
Filesystem 1k-blocks Used Available Use% Mounted on
/dev/hda1 665296 37144 628152 6% /boot

# fdisk -l /dev/hda

Disk /dev/hda 255 heads, 63 sectors, 7476 cylinders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Linux Buffer Cache를 비활성화 하고 싶어요.

과연 buffer cache를 쓰지 않는 것이 가능한가요?
가능하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정확히 사용 용도를 말씀드리자면
linux에서 buffer cache없이 file i/o를 하려고 합니다.
그러니까 fixed size의 buffer cache가 필요하죠.
(superblock등을 담아야 하니까요. 맞나요?)

넘 질문이 막막한 것 같군요. -_-;;;
그래도 아시는 분이 있으시다면 답변 부탁드립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매일 새벽 5시에 home 디렉토리에 있는것 각각 받아라.~~~

안녕하세요
레드헛 7.1 사용자인데요...
새벽 4시에 home 디렉토리에 있는 각각 계정이
aaa,bbb,ccc가 있으면

계정 별로 날짜별로 압축을 받을수 있나요?
아래는 날짜와 뒤에는 계정입니다..

20011022aaa.tar.gz
20011022bbb.tar.gz
20011022ccc.tar.gz

--------------------------------
초보라서 그런데..크론 예제좀 적어주시면 안될까요?

감사합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리눅스에서 네스케이프 한글입력

아냐세염!
리눅스에서 넷스케이프를 사용하는데 한글전환이 안되여
아미를 깔긴했는데 한텀에선 되는데 웹상에선 안되는데
답변 부탁드립니다. 이거땜에 아무것두 못하고 있어염..
참 참고로 리눅스 처음로긴할때 english로 하거든여 이거랑두 관계가 있을
까염. 암튼 확실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페이지

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질문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