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질문

mandugukbap의 이미지

데이터 스트림을 나누었다가 하나의 파이프라인을 통해 다시 모우기.

제가 조금 까다로운 작업을 기획하고 있습니다.

일단은 다음과 같은 프로세스입니다.

cat data |\ tee proc1 proc2 |\ proc1 proc2 (출력스트림을 다시 합침) |\ final_process

Tee또는 Pee를 이용해 스트림을 복사하여 나누는 것 까지는 큰 문제가 없는데 이것을 각각 다른 프로세스에서 처리한 후 다시 하나의 프로세스로 보내는걸 어찌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이걸 구현할 방법이나 툴이 있을까요?

ysungkoon의 이미지

-

sdhsuho의 이미지

RHEL 6버전에서 NIS+(= NISPLUS = NIS version 3) 설치 및 궁금점에 대해 질문합니다. 선배님들께 도움 청합니다.

안녕하세요. 선배님들께 초보 SE가 질문할게 많아 글을 작성하였습니다.

OS 환경은 VMWare11에서 가상으로 RHEL(리눅스) 6.4버전을 돌리고 있습니다.

궁금한 것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NIS+(Network Informaion Service plus)에 대한 자료가 구글링에 많이 없습니다.
대부분 오라클에 관한 문서들...

1. NIS+ for Linux6(CentOS 6 or RHEL 6)에 대한 자료가 있으시면 링크 부탁드립니다. 영문사이트라도 상관없습니다!
2. 영문 사이트들을 보면 /usr/lib/yp와 /usr/lib64/yp 가 있던데, "lib"와 "lib64"는 서로 다른 버전인가요? (예로 lib는 5버전이고, lib64는 6버전이다?!)
3. NIS+가 NIS의 보안이 추가된 버전이라 알고 있습니다. 그러면 NIS+ 설정에서 서버와 클라이언트를 configuration 하고 "PAM 모듈"도 설정해줘야 하나요?

s0ulhacker의 이미지

crontab 설정에 관해서 이상한점이 있어 질문 드립니다.


제가 서버에서 자동백업을 위해 아래와 같이 crontab을 작성했습니다.

00 01 1-7,15-21 * 5 /root/backup/backup-weekly.sh 2>> backup-weekly.log

저렇게 하면 매월 1일~7일사이 금요일과 15일~21일 사이에 금요일일경우 새벽 1시에 실행될것으로 예상했습니다.

그런데 막상 실행되는것을 보니 1일~7일까지 매일 실행되고 15일~21일까지 매일 실행되는것 같네요.

요일 지정은 무시되는건가요?

아니면 제가 잘못 설정한것인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fopenfclose의 이미지

행렬에 관련된 소스 작성시 생기는 메모리 관련 문제 입니다..

단순히 행렬을 곱셈하는 건데요.
2차원 행렬을 2차원 배열이 아닌 1차원 포인터로 해서 나타냈습니다.
(요구 사항으로 인해서 입니다)

dozing의 이미지

정말 신기한 HDD 증상...

윈도우 7에서 ntfs 포맷으로 자료 HDD에 복사후

노트북에 멀티부스트 이용해서 장착 바이오스에서 ssd+hdd 둘다 뜨는거 확인

리눅스 민트에서 ssd+hdd 둘다 자료 정상적으로 이용가능

윈도우 부팅하면 ssd만 보이고 hdd 안보입니다 디스크관리,디스크파트 어디에서도 확인불가...

드라이버 다 최신으로 업데이트 되있구요 로우포맷까지 해봤지만 윈도우에서는 인식자체가 안되네요...

대체 문제를 알수가없네요 이런증상 아시는분 계신가요?

mg2000의 이미지

팀뷰어 같은 프로그램은 어떻게 접속을 하는 걸까요?

제가 회사에 서버를 구축해 놓고,

모바일 기기에서 접속을 하려고 하는데...

회사 백본망 안에 공유기로 연결이 되어있는지라...

외부에서 서버로 연결할 방법이 막막하네요.

공유기에서 DDNS나 포트포워딩 설정해봤자, 회사 백본방에서 제공해주는 내부 IP를 연결해주는 것이니...

팀뷰어 같은 프로그램들은 동일한 망 구성에서도 외부에서 접속이 가능하던데...

이런식으로 구현할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막막해서 실마리라도 잡을 수 있으면 좋겠네요. ㅜ.ㅡ

alfhd00의 이미지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알고리즘 성능 분석에 대해)

시간 복잡도를 표현하는 표기 방식이 총 3가지가 있습니다. (빅오, 빅 오메가, 빅 세타)
시간 복잡도를 나타내는 경우도 3가지 있습니다. (최상, 최악, 평균 / 그 중에서 최악이 제일 많이 쓰이고요)

그런데 빅오 표기법으로 최악의 경우를 나타낸다고 합니다.

제가 궁금한 것은 무조건 빅오는 최악, 빅 오메가는 최상, 빅 세타는 평균을 표현하도록 정의되어 있나요?

제가 가지고 있는 자료에서 순차탐색의 시간 복잡도를 설명하는 부분이 있는데

최선의 경우 : 찾고자 하는 숫자가 맨 앞에 있는 경우 : O(1)

최악의 경우 : 찾고자 하는 숫자가 맨 뒤에 있는 경우 : O(n)

평균적인 경우 : (n+1)/2 : O(n)

이렇게 기술되어 있어요. 각 경우에 따른 빅오 표기법을 보여주고 있는데

꼭 빅오 표기법이 최악의 경우를 말하는 것 같지 않는데요?

제가 어느 부분을 잘못 이해하고 있는 걸까요?

페이지

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질문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