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세벌의 이미지

엠에스 윈도7 지원 종료

윈도10으로 갈아타세요. 라고 말하는 게 하나뿐인 답일까요?
리눅스로 갈아타세요. 라고 말하는 것도 하나의 답이 되었으면 하는데...
가족관계증명도 리눅스에서는 안 되나 봅니다.

emptynote의 이미지

API 문서 궁시렁 궁시렁~

아 정말 API 문서 작성중인데 죽겠네요.

변수/클래스 이름 하나 하나

설명과 일치하도록 고치면서 최선을 다해서 작성하지만

그러면 모하나 남들 한테 설명하고자 하는 건데 남들 생각 1도 모르는것을 ㅠ.ㅠ

gave의 이미지

광고글 남기고 다녀서 죄송했습니다.

좋은 사이트에 누를 끼쳐 죄송합니다.

hainesnicholas88의 이미지

운동좋죠 ㅎㅎ

여러분들은 체력관리 어떻게 하세요..?
저는 30대 중반부터 몸이 너무 심각하게 망가지는느낌이라서
헬스를 2년째 하고있긴한데 너무 다 좋은데 재미가 없네요.
어떻게 체력 관리들 하시는지 궁굼합니다. ㅎㅎ


넷마블머니상 - 넷마블머니상


피망머니상 - 피망머니상


emptynote의 이미지

나의 플랜 B

RPC 서버와 RPC 서버 접속 API 를 만들면서 가장 우려한 것은 역시나 속도및 안정성입니다.

자바로 만들다 보니 고리 타분한 속도 논쟁에 관심을 갖고 관련 글들을 읽어 본지라

결론은 역시 c 언어나 c++ 보다 느리다는것입니다.

개인적으로 제가 만든 RPC 서버와 RPC 서버 접속 API를 테스트하는 과정에서

지극히 주관적인 생각이지만

자바는 micro second 이고 c나 c++ 는 nano second 이다 라는 생각이 드네요.

처음에는 게임 서버를 염두에 두고 만들기 했지만

속도가 이러하니 플랜B 에 대해서 생각을 안할 수 없었습니다.

저의 플랜 B 는 상대적으로 속도에 관대한 학습용으로

분산 처리가 기본인 작은 게임 회사를 모의하여 만들 수 있게 하는것입니다.

플랜B 는 플랜B 이고 개인 웹 사이트 정도는 잘 운영될 수 있다는것을 보여주기 위해서

emptynote의 이미지

아 테스트 하기 싫네요.


summernote 를 붙였는데 여기 저기서 버그가 터지네요.

그런데 정말이지 테스트 하기 싫네요.

http://www.sinnori.pe.kr/ 사이트

테스트 환영 합니다. ^^;

Yi Soo An@Google의 이미지

운동의 효과

취미겸 운동으로 실내 암벽등반을 이틀에 한번 꼴로 하고 있습니다. 근데 효과가 꽤 좋네요.
평일 루틴이 일하고 퇴근해서 운동을 2시간? 3시간쯤하고요. 집와서 밥먹고 다시 12시나 1시까지 코드를 짜는데 다음날 별로 큰 타격이 없습니다. 주말도 좀 늦게 일어나서 나가서 놀거나 다시 코드 짜고요.

여러분들은 건강을 위해서 하고 계신지, 어떤 운동 주로 하시는지 궁금하네요.

emptynote의 이미지

오픈 소스 혼자 짤 수 있을까요?

제목을 자극적으로 만들었지만

결론 부터 말하자자면 오픈 소스 혼자 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요즘 들어 오픈 소스 혼자 짤 규모가 아니다라는 생각이 드네요.

API 문서 제공하고 품질을 중요시 하여 단위 테스트를 하고 있다면

리팩토리할때 마다 API 문서와 단위테스트까정 함께 움직여야 합니다.

이게 쉬운 일이 아니네요.

리팩토리 잦다고 핵심 부분만 단위 테스트를 진행하였고

API 문서에 대해서 준비를 안한 상태에서 팀원 모집할려고 API 문서의 필요성을 느껴서

지금 작성중인데 죽겠네요.

악순환의 고리가 있네요.

단위 테스트를 통해서 이것은 무엇이다 라는것을 충분하게 숙고를 하지 않아 이름이 엉망이네요.

API 문서를 작성하려다 보면 설명을 해야 하고 설명을 하다 보면 잘못된 이름을 발견하게 됩니다.

그때마다 잘못된 이름을 수정하느라고 날밤 세네요.

아무리 생각해도 오픈 소스를 혼자 하면서 문서까정 챙기는 분이 있을까 합니다.

6Gelemen의 이미지

Nix os 라는 것도 있네요

요즘에 새 리눅스가 나왔나 봅니다.
이 배포판은 함수형 패키지를 사용하는데(사실 함수형 언어가 아닌 패키지는 저도 처음 들어보는 개념
입니다.),업데이트를 하는 과정에서 구 버전을 없애는 것이 아니라서 의존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합니다.

기존 소프트웨어를 지우지 않기 때문에 업데이트로 의존성이 깨지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소프트웨어 빌드 과정이 격리되어 있기 때문에 재현 가능성이 보장된다. 즉 여러개의 컴퓨터에서 똑같은 시스템을 구축하기 용이하다.
root권한 없이 소프트웨어 전역 설치가 가능하다. 여러 유저가 같은 패키지의 다른 버전을 동시에 설치할 수 있으며, 같은 버전의 소프트웨어는 정확히 한개만 설치된다. 유저는 소프트웨어 빌드 및 다운로드 과정에 간섭할 수 없기 때문에 다른 유저가 사용할 소프트웨어에 트로이 목마를 심는 등의 일을 할 수 없다.

요렇게 써 있네요...

사이트

https://nixos.org/

emptynote의 이미지

개인 프로젝트 코다를 더 좋게 할 목표

>> 개인 프로젝트 코다를 더 좋게 할 목표 <<

(1) 똑똑한 동적 클래스 로더
==> 동적 클래스 로더 대상인 '비지니스 로직' 과 관련된 동적 클래스들의 변경시 이를 감지하여 재 로딩해 주는 기능 추가 필요

(2) 똑똑한 GUI 설정파일 에디터
=> 설정 파일 내용에 적힌 항목들에 대한 의존 관계를 파트가 아닌 전체로 확대할 필요 있음

(3) 똑똑하게 자원 관리를 하는 서버
==> RPC 서버 특성상 비지니스 로직이 수행되는 순간 소켓에 종속된 출력 메시지가 담기는 스트림이라는 자원이 많이 필요해 지기때문에 이것을 어떻게 적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는가에 관한 방법론이 필요함.

(4) UDP 지원
==> 내부망은 안정적 네트워크 환경이기때문에 네트워크 송수신 비용이 TCP 보다 싼 UDP 가 가장 적임자임. 그리고 게임서버를 위한 첫 단계가 UDP 지원임

페이지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