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세벌의 이미지

오픈소스 활용 및 도입 전략 컨퍼런스 다녀옴

2019. 7. 23. 오픈소스 활용 및 도입 전략 컨퍼런스
다녀왔네요.
개발자 입장에서는 무료 프로그램 잘 쓰면 된다
고 편하게 생각했으나
어려운 법적 문제가 많이 숨어있음을 느낌.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https://www.datanet.co.kr:447/news/articleView.html?idxno=135658

babbab의 이미지

컴퓨터를 즐기는분들께 주절이 주절이

컴퓨터를 즐길려면 프로그램잉 언어도 중요하지만 언어로 뭘 만들까도 중요합니다. 정보에 관련된거니까 정보처리에 관한걸 만들겠지요. 뭘 만들려면 정보에 관한거니 프로그램잉 언어보단 언어학에 관한 책을 읽어보셨으면 합니다. 한국어만이 정보를 전달하는 언어로 있는건만이 아닙니다. 다른 언어도 있습니다.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은 수도 없이 많지만 그중 몇가지만 간추린게 있지요. 그리고 정보를 전달하는 간단한 스스로의 언어를 만들수도 있습니다. 숫자와 언어에 관계를 얘기하는 책도 추천합니다. AND OR NOT XOR는 우리가 쓰는 언어에 뜻과 관계가 있지요. 0011010를 NOT을 하면 1100101이 되는게 우리언어로 무슨 뜻이 있지요. 그 뜻을 알려주는걸 프로그램화 한게 번역기라고 생각합니다. 컴퓨터는 정보 기계이니 언어가 중요하지요. 언어는 번역과 관계가 가깝고, 컴파일러 역시 번역기의 일종 입니다. 어떤 한 형식의 언어를 어셈블러 그리고 기계어로 번역해주는 정보,언어와 관계가 깊은 그 무엇입니다. 그리고 그래픽에 관한 프로그램을 만들고 싶다면 프로그램잉 언어보단 눈에 시각적 현상에 관한 정보의 책을 권합니다, 컴퓨터 책이 아니지요.

세벌의 이미지

데비안 기본 입력기로 nimf 들어가게?

https://gitlab.com/nimf-i18n/nimf
괜찮아 보이기는 한데...
ibus 가 기본이라 귀차니즘이 작용...

리눅스에 기본 입력기로 nimf 가 들어가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배포본 마다 다르다면 한 예를 들어 데비안 리눅스에 nimf 가 기본 입력기로 포함되게 하려면 어떤 절차를 거쳐야 하나요?

DongWook Lee@GitHub의 이미지

자작언어 ClauText 소개

안녕하세요 자작언어인 ClauText를 간단히 소개하려 합니다(많이부족하지만요)

k39335의 이미지

5G 시대를 위한 S/W, 개발자들의 공유의 장! KT SW Developer Conference 2019

안녕하세요,

KT에서 'KT SW Developer Conference 2019(KSDC 2019)'를 8/27일 개최합니다.

5G, AI 등 변화하는 통신 패러다임에서 KT 사내 개발자들이 어떤 고민을 했고, 어떻게 극복했는지에 대한 생생한 경험과 기술을 공유하는 현장을 공유하시길 바랍니다!

아이패드, 에어팟, 기가지니버디 등 푸짐한 경품도 가득하니,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

세벌의 이미지

데비안9에서 10으로 업그레이드 성공.

apt-get update
apt-get upgrade
해도 버전 10으로 안 올라가기에
/etc/apt/sources.list
파일에서 stretch 를 buster 로 고치고
apt-get update
apt-get upgrade
하고... 중간 중간에 Yes No 중 선택해야 되는 데서는 내 맘대로 선택하고.
다 된 후에 리부팅.

1120mary의 이미지

리눅스 스터디 하실 분 있나요

리눅스를 학교에서 조금 써봤지만, 초급자 수준이여서 방학 때 리눅스마스터 1급을 준비하려고합니다.
같이 공부하실 분 있나요?
주목적은 자격증 취득보다는 리눅스공부이기 때문에, 스터디 진행방향에 대한 좋은 의견있으시면 말해주세요!
장소는 분당이면 좋겠지만, 서울,경기도 상관없고, 평일에 최소 주 1회는 만났으면 좋겠습니다!!

emptynote의 이미지

[냉무] 데비안 10 gnome+wayland 가 디폴트네요 왠일이래요!!!!

안정 보수주의 데비안이 정말로 왠일인가요.

데비안 10 : gnome+wayland 가 디폴트네요.

lalupo20의 이미지

ui/ux 디자이너직 지원했는데

일단 리듬게임 ui/ux라고 해서 지원했는데

이거 프로그래밍적으로 ui/ux구현하는 자리 구하는거 맞나요?

웹에서 html쓰는것처럼

원래 개발직 아니면 안쓰는데, 리듬게임이라는게 보여서

허접한 어플이지만 어쨋건 리듬게임 만들어봤으니까

가산점 받을 수 있지 않나 싶어서 썼는데

페이지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