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parkon의 이미지

latexdiff를 써 보고 세상 참 좋아 졌다는 걸 느낍니다...

공동연구를 통해 논문을 작성하고 있는데,
제 초안을 다른 사람이 수정했고,
그래서 뭐가 어떻게 바뀌었는지 보고 싶어서

옛날 버릇대로
diff를 이용해서 바뀐 부분을 찾아 내어 파일로 저장하고
그걸 예쁘게 프린트 하기 위해
a2ps를 써서 ps 파일로 만든 다음 ps2pdf를 써서
pdf로 만들다 보니
혹시 a2pdf가 있지 않을까 싶어 찾아 봤더니 역시 있더군요.

근데 바뀐 부분을 일일히 마킹하다 보니
그것도 일이라
혹시 latex파일을 위한 diff 툴이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어 찾아 봤더니

짠, latexdiff라는 녀석이 있네요.

한번 써보니 완전 대박, 정말 환상으로 좋군요.

latex으로 논문작업 많이 하시는 분, 아직 안 써 보셨다면
latexdiff 강추 드립니다.
아 물론 제가 약장수는 아니고요.

shint의 이미지

생각과 사랑의 옛말이 같네요?





 

 

생각 
1. 사물을 헤아리고 판단하는 작용.
2. 어떤 사람이나 일 따위에 대한 기억.
1. (사고, 사색) thought, thinking; (계획) idea, think, consider

shint의 이미지

힘이여 솟아라 그레이스컬!

알아두면 좋은 히맨과 쉬라.
 
 
히맨의 검
http://egloos.zum.com/ZetaEver/v/959141
 
[극장판] 히맨과 쉬라 비밀의 검
http://www.anionetv.com/program/program_view.php?pidx=404&page=61
 
[애니] [히맨 외] 힘이여 솟아라~! 3대장 [6]

delete의 이미지

현역 프로그래머님들 궁금한 것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요즘 시중에서 파는 기본 서적들로 각종 언어들을 배우고 있는데 문득 이런 생각이 들더라고요.

해당 언어의 특징, 구조 이런 부분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감이 잡히지만,
기본 서적 지식만으로는 내가 원하는 프로그램을 만드는 데에 한계가 있을 것 같다.
즉 책은 기본적인 틀만 잡아주는 것이고, 그 이후에는 스스로 알아서 헤쳐나가야 하는 느낌?

그래서 궁금한 것은 실제로 쓸만한 프로그램을 만드는 데에 필요한 추가적인 지식 같은 경우에는
인터넷 검색을 통해서 정보를 얻거나, 많은 경험을 통해서 얻어야 하는 것이 맞나요?

조언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shint의 이미지

코엑스 새로운 명소, 별마당 도서관






 

코엑스 새로운 명소, 별마당 도서관

http://qubix.tistory.com/1684

 

 

 

 

 


shint의 이미지

Windows 의 버전별 DPI 변경 차이

Windows 의 버전별 DPI 변경 차이
http://www.devpia.com/MAEUL/Contents/Detail.aspx?BoardID=51&MAEULNO=20&no=8779&page=4

윈도우 개발에 참여하시는분들 참고 하시면 좋겠네요. ㅇ_ㅇ;;

ehaakdl의 이미지

저 군대갑니다.

저 군대갑니다.

페이지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