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emptynote의 이미지

코드 잊어 버린후 코드 리뷰의 필요성

RPC 기반 자바 개발 프레임워크를 만들고 있는데요.

설치 경로와 프로젝트 이름을 기준으로 설정 파일을 읽어 옵니다.

junit 테스트 모듈마다 설정 경로를 지정할 수 없어서

현재 하드 코딩하여 공통 파일로 빼서 사용 중인데요.

몇 달(?) 만에 PC 를 옮겨 작업하게 되었는데

하드 코딩된 junit 공통 파일에서 가장 먼저 경로 설정을 해야 한다는 것을 까먹고

왜 안 되지 헤맸네요.

에러 로그를 남겼지만,

그것도 제가 직접 작성한 로그 내용이라는 것도 몰랐네요.

작성 초기에는 무엇이 부족한지 전혀 몰랐습니다.

하지만 까마득하게 잊은 후 다시 마주하니

전혀 모르는 제3자 관점을 조금이나마 이해해서

부족한점 을 인지하여 수정하게 되네요.

코드 리뷰라는것 코드 잊은 후에 꼭 한번 할 필요가 있지 않을까 합니다.

특히 혼자 하는 사람이라면 더욱 더요.

세벌의 이미지

BTS

Bug tracking System
의 약어로만 알고 있었는데
방탄소년단
의 약어로
더 많이 알려졌네요.

emptynote의 이미지

안티도 팬인가 합니다.

한번 말하면 속이 뻥 뚫여서 더 할 말 없는데

약속(?) 이나 한듯이 계속 댓글 달아 최근 글로 계속 유지를 해 주네요.

안티도 팬인가 합니다.

그리고 제 의견 지지하는 분들이 안티인척 하는거 아닌가 라는 달콤한 착각에 빠져 봅니다.

세벌의 이미지

늅늅?

늅늅
가끔 쓰나 본데, 저에겐 생소하네요.
무슨 뜻인가요?

onehalf의 이미지

같이 끝까지 공부할 딥러닝 스터디원 모집합니다.

안녕하세요.

저희와 딥러닝 스터디를 끝까지 함께할 분을 모집합니다.

저번주 화요일 처음 스터디를 시작했고 실제로 진행한 날은 금요일 3시간 가량입니다.

저번주 금요일 3시간 가량 실제로 스터디를 진행하면서,

그때 진행한 내용이 절대 혼자서는 진도를 나가기 힘들겠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스터디에 참가하시는 분중에 딥러닝을 실제 업무에서 적용하고 계신분이 잘 설명하고 이끌어주셔서

금요일 진행한 부분을 이해했지 그분의 설명이 없었다면 이해하기 힘들었을 겁니다.

문제는 금요일 모인 사람이 너무 적었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이번주 화요일에 지난주 금요일 했던 내용을 다시 스터디 하기로 했습니다.

마지막으로 저희와 딥러닝 스터디를 함께할 분을 최종적으로 모집합니다.

첫 스터디 모집때 중간에 들어와도 된다고 모집 공고를 했었는데 실제 스터디를 진행해보니

emptynote의 이미지

15년차 haltagy 님 육두문자 난발 물다 버린다며 글쓴 이력 3개뿐

15년차 haltagy 님 육두문자 난발 물다 버린다며 글쓴 이력 3개뿐

왜 그러는 걸까요.

emptynote의 이미지

side effect 는 늘 예고 없이 훅 들어오네요.

미워해도 gpl 따르는 프로그램인데

다른 대안으로 wps 라니 ㅠㅠ

Side effect 는 늘 예고 없이

훅 들어오네요.

문서 편집기는 믿기 때문에 사용하는건데

노래로 제 마음 대신합니다

제목 : 있을때 잘해

있을 때 잘해 후회하지 말고
(있을 때 잘해 후회하지 말고)
있을 때 잘해 흔들리지 말고
(있을 때 잘해 흔들리지 말고)
가까이 있을 때 붙잡지 그랬어
있을 때 잘해 그러니까 잘해

emptynote의 이미지

리눅스 기반 안드로이드는 xwindow랑 상관 없나 보네요.

리눅스 기반 안드로이드는 xwindow랑 상관 없나 보네요.

게임도 잘 돌아가서 리눅스 미래도
밝다 생각했는데
Xwindow 랑 상관 없으니
김치국 마신것 같네요.

Wayland 에 희망을 겁니다.

thenist의 이미지

아치 리눅스 데스크톱 환경

안녕하세요, 여기에 처음 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현재 개인적으로 윈도우와 아치리눅스를 듀얼부팅을 통해 약 1년넘게 사용하고 있는 중학교 1학년입니다
현재 NVIDIA 드라이버를 사용하고 로그인 매니저를 lxdm을 사용하고 있지만, 문제가 있습니다.

현재 약 2년(아치리눅스는 1년이지만 다른 리눅스 배포판을 쓰면서 GNOME에 익숙해졌습니다)째 Gnome을 사용하다 KDE를 써보게 되었습니다 시스템 리소스도 적게 먹고 커스텀마이징도 쉬웠지만. 아직 GNOME에 익숙해져서 GNOME에서만 쓰는 현재 작업이라던가 그런걸 자꾸 할려고 하니 현재 GNOME과 KDE를 혼용하고 있습니다.

GNOME을 써야할까요? 아니면 KDE를 써야할까요?

개인적으론 GNOME이 편한데 KDE는 빠릿빠릿하고 커스터마이징이 마음에 드네요.

lalupo20의 이미지

UI가 매우 안 좋다는 이야기를 들었는데

그 분이 몇가지 안 좋은 점 지적해줬는데

어디를 어떻게 고쳐야 될지 모르겠네요.

전 어디가서 디자인 같은거 하면 안될듯...

페이지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