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sephiron의 이미지

리눅스용 PMP

뉴스

AMD GEODE, LINUX 기반 PMP라는 문구에 확 끌렸습니다.

임베디드 리눅스가 아니라 x86 리눅스 커널이 돌아가는 것이겠죠?

PMP에서 emerging~~

cskimair의 이미지

임베디드보드(개발용-자작) - multiple embedded os at one x86 board (wince,linux,vxworks,XPEmbedded)

x86보드 + LCD + FDD + POWER를 1개의 공공칠가방에 만들어봤습니다.
- evaluation보드가 비싸더군용.. 보통 200만원(-.-,한백보도, 기타등등...)
같은 팀원이 한백보드가 있긴한데 매번 같이 쓰기도 그래서 기본테스트 목적으로
그래서 평소에 해볼려다가 이번에 펜티엄보드로 만들어 봤습니다.
이거 정리되면 하이버스 ARM CPU쓴 eval.보드도 마저 살려놓을까 합니다.

-eval.보드가 없거나 있어도 하나밖에 없어서 활용도가 떨어지신분들은 참고하시면 어떨지..

- 프로그래밍 툴
1. XPE - Visual C++ 6 or Borland C++ 또는 기타
2. WinCE - eVC++
3. Linux - GNU tools (gcc++)
4. VxWorks - Tornado 2.0

wince, vxworks는 1개의 x86보드에 올렸고 app.빌드+다운로드+디버깅가능하게 구성했고
linux , xpembedded는 보드만 달라서 지금 통합개발환경(4개OS)을 노트북에 설치중입니다.
쩝.. 깔게 많네요.. 생각보다...

갠전으로 vxworks가 상업적으로 wince가 그 중간으로 xpembedded가 득세(?)를 할거 같습니다.
리눅스도 물론 코딩하기엔 좋구요... 리눅스는 통합환경에서 os빌드+app.개발 환경이

좋은게 나와서 많이 퍼졌으면 좋겠습니다. 이클립스가 그 역할을 해주면 좋겠는데 ...-.-

그럼 ...


임베디드OS별 개발툴환경

vxworks at x86 board

-

--

--=

--=

권순선의 이미지

Linux Kernel과 제품 경쟁력의 아이러니

Linux를 가지고 제품을 개발할 경우 제품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경쟁사 제품과의 차별성을 가져가기 위해서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거나 기존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소스를 수정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그런데 문제는 Linux Kernel이 GPL이다 보니 경쟁사가 해당 제품을 구입하고 제품에 적용된 Linux Kernel의 소스코드를 요구할 경우 GPL에 의거하여 제조사는 소스코드를 제공할 의무가 발생한다는 것입니다. 물론 제조사는 그 소스코드가 경쟁사에 넘어가는 것은 원하지 않겠지요.

freecatz의 이미지

grub 설치가 되지 않고 있습니다.

http://wiki.kldp.org/wiki.php/GRUB 의 내용을 미리 읽어 보고 글 올립니다.

아..데비안 설치 하다가 맨 마지막에 IDE하드 디스크로 부팅을 하지 않기

때문에 저는 S-ATA 하드에 grub를 인스톨 해야 합니다.

음...맨 처음에는 grub-install /dev/sd0 으로 해 보았으나, 설치 중간에

치명적인 오류 라는 말과 함께 화면이 뻘겋게 변허더라구요..

메롱R의 이미지

vmware player panic

windows xp sp2에 vmware player를 사용하여 debian을 깔았습니다.
그런데 linux부팅후 linux에서 beep음이 나기만 하면 vmware player와
windows 전체가 행이 되버립니다.
beep음이 나는 상황이라면 예를들어 bash에서 tab으로 file이름 자동완성
을 시킬때 앞부분이름이 같아 자동완성기능이 중간에 멈추면 비프음이 발생하지요? 아니면 shutdown을 시키면 역시 비프음이 나면서 리눅스셨다운이

citywork의 이미지

'wheel'그룹의 이름은 왜 wheel인가요?

제목 그대로 입니다.

그냥 갑자기 너무너무 궁금해 졌습니다. ㅡㅡ;;

검색을 해봐도 자동차바퀴들만 나오거나, 'sudo를 어떻게 사용해요?'라는 질문과 답변만 나오더군요..

아무리 머리를 굴려봐도 쌩뚱맞기만 합니다.

누가 명쾌하게 저 그룹의 이름이 'wheel'이 된 이유를 알려주세요.

jiny92의 이미지

네트워크 카드 2개 사용해서 전송하기

네트워크 카드 2개를 이용해 udp 패킷을 송/수신 하려고 합니다.
Channel bonding 인터페이스를 소프트웨어 상에서 구현하는 거죠..

송/수신 시스템에서 한 개의 네트워크 카드를 사용한다고 가정하면 전체 대역폭은 2Gbps 가량 됩니다.

송신측에서는 Thread 사용없이 순차적으로 패킷을 전송합니다.
예를 들어, 1000 개의 연속된 패킷을 네트워크 카드 1번으로 보낸 후,

나는오리의 이미지

무개념 기사 "北 컴퓨터 운영체계도 '우리식'으로" - 푸하하 북한이 부럽다

우선 흥분한 저와 기분을 맞추기 위해 기사 링크 합니다.
北 컴퓨터 운영체계도 '우리식'으로

MS가 윈도우에 북한의 글(?)을 쓸 수 있도록 기능을 추가해주지 않은건 아시는 분들은 아시리라 믿습니다.
그래서 자체 입력기를 윈도우에서 만들어서 쓰고 있었지요.

hyungjo의 이미지

[구인] 주식회사 콤텍입니다

안녕하세요.

(주)콤텍시스템(http://www.comtec.co.kr)은 국내 정보통신 산업의 태동기였던
지난 1983년 설립되어, 데이터 통신장비의 기술 발전에 선도적 역할을 담당해 온
정보통신 전문회사입니다.

특히 최근에는 일본 FTTH 시장에 본격 진출하고 세계적인 유통회사인 Ingram
Micro사의 독일 현지법인에 고성능 이더넷 스위치인 !-Rex를 독점 공급하는 등

페이지

Linux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