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dora 6_gnome사용하기 문제]
노트북 사양 은
#######################################################
toshiba Libretto L1
Transmeta Crusoe TM5600 600MHz
Ram 384MB(PC100 SDRAM/16MB system)
1,280×600ドット:1,677万色
最大1,600×1,200ドット:65,536色
Video memory RAM 8MB
Graphic S3 Savage IX
表示色数 1,600×1,200ドット:65,536色、1,280×1,024ドット:1,677万色、
1,280×600ドット:1,677万色、1,024×768ドット:1,677万色、800×600ドット:1,677万色、
640×480ドット:1,677万色(※4)
84 key
HDD 40GB(Ultra ATA)
20G Fedora / 20G windows ME
Grub 멀티부팅
#######################################################
/etc/inittab 에서
id:5:initdefault: 는 설정되어있는데요.
gnome 환경이 안뜹니다.
그래서 startx 는 실행 해봤는데.... startx 는 실행이 됩이다.
ctrl+alt+F8 부터는 먹히는데...
ctrl+alt+F7 하면 안먹힙니다.
그래서 키보드가 이상한가 해서 F7을 눌러 보면 화면에 입력이 됩니다...~.~
부팅할때 에러 메세지를 보면
option 부분이 잘 못됐다고 뜨고요....
제 modprobe.conf 파일 입니다.
"/etc/modprobe.conf" 6L, 240C
alias snd-card-0 snd-ali5451
options snd-card-0 index=0
options snd-ali5451 index=0
remove snd-ali5451 { /usr/sbin/alsactl store 0 >/dev/null 2>&1 || : ; }; /sbin/modprobe -r --ignore-remove snd-ali5451
options eth0
alias eth0 pcnet_cs
X11설정입니다.
"vi /etc/X11/xorg.conf
# Xorg configuration created by system-config-display
Section "ServerLayout"
Identifier "single head configuration"
Screen 0 "Screen0" 0 0
InputDevice "Keyboard0" "CoreKeyboard"
EndSection
Section "InputDevice"
Identifier "Keyboard0"
Driver "kbd"
Option "XkbModel" "pc105"
Option "XkbLayout" "us"
EndSection
Section "Monitor"
Identifier "Monitor0"
ModelName "LCD Panel 1024x768"
ModeLine "1280x600" 75.42 1280 1312 1472 1632 600 604 608 624 -HSync -VSync
### Comment all HorizSync and VertSync values to use DDC:
HorizSync 31.5 - 48.5
VertRefresh 40.0 - 70.0
Option "dpms"
EndSection
Section "Device"
Identifier "Videocard0"
Driver "fbdev"
EndSection
Section "Screen"
Identifier "Screen0"
Device "Videocard0"
Monitor "Monitor0"
DefaultDepth 16
SubSection "Display"
Viewport 0 0
Depth 16
Modes "1024x768" "1280x600"
잘 되던 것이
최근 커널 업데이트를 하고 나서
재 부팅을 하고 나니 콘솔 화면으로 뜹니다....
이리 저리 검색을 해봤는데....
검색어가 잘 못봤는데... 찾기가 힘드네요~ ^^;
고수 님들에 많은 지도 부탁 드립니다 ^^
시스템 정보입니다
[root@localhost jin]# uname -a
Linux localhost.localdomain 2.6.22.14-72.fc6 #1 SMP Wed Nov 21 15:12:59 EST 2007 i686 i686 i386 GNU/Linux
(어지간하면
(어지간하면 업그레이드 좀...)
X 의 s3 드라이버로는 안 잡히나보죠 ?
modprobe.conf 에서
줄은 삭제하시고
추가하고,
modprobe savagefb
startx
해서 잘 되면 리부팅해보세요.
savagefb 는 일반적인 modedb 옵션을 그대로 사용합니다.
http://lxr.linux.no/linux+v2.6.27/Documentation/fb/modedb.txt
OTL
modprobe 에 option부분을 삭제하고
>>bushi 님
modprobe 에 option부분을 삭제하고
추가로 options savagefb 1024x768-16를 넣고
modmodprobe savagefb 하니
이런 에러가 뜹니다.
################### 에러내용 #########################
i[root@localhost ~]# modprobe savagefb
savagefb: Unknown parameter `1024x768-16'
FATAL: Error inserting savagefb (/lib/modules/2.6.22.14-72.fc6/kernel/drivers/video/savage/savagefb.ko): Unknown symbol in module, or unknown parameter (see dmesg)
##################################################
파라미터가 정확하지 않다고 하네요...
PS. 제가 초보라 그러는데요...
1. 업그레이드 라는게 fedora 버전을 7,8,9 같이 업그레이드 하라는 말인가요??
아니면, 커널의 버전을 올려라는 것인가요??
2. fedora 버전이 9가 되더라고 제 놋북같이 사양이 떨어지더라도 상관 없이 잘 돌아 가는가요??
윈도우만 사용해와서 개념이 부족합니다...
윈도우즈 같으면 XP나 VIsta 같이 상위 버전으로 가면 무거워 지잔아요....
주위에 리눅스를 아는 사람이 없어서 혼자서 공부하고 있는데 참 힘드네요 ^^;
잘 부탁 드립니다 ~
options savagefb
이렇게 해야겠습니다.
OTL
>> bushi님 답변 감사드립니다~^^
savage 드라이브는 잘 작동을 합니다~
그렇지만 여전히 gnome은 안들어 가지네요 ~.~
아마도 드라이브의 문제가 아닌듯 합니다 ^^
다시 한번더 차근 차근 찾아봐야 할듯 합니다 *^^*
감사합니다 꾸벅 (_._) ^----^
일반적으로
페도라 6 같은 '낡은' 버전에 대해서는 다들 비추천합니다.
물론 코드가 비교적 경량인것은 사실입니다만, 리눅스 세계에서는 경량 코드의 가치보다는, "보안성" 및 "최신 드라이버 지원" 등이 훨씬 존중받는 가치이며, '낡은' 버전의 유지보수 지원이 윈도우등과는 비교 없을만큼 형편없기때문에 '가능한한 최신버전'을 권장합니다.
가능하면 저도 페도라 9을 깔길 권장합니다.
--
from bzImage
It's blue paper
from bzImage
It's blue paper
얼마나 리눅스 세계가 '새로운 코드'를 추앙하는가 하면...
Visual Studio 6 : 1998/07
Internet Explorer 6 : 2001/04/27
Redhat 9 : 2003/03/31
이 중에서 앞의 두개는 현재도 상당히 많이 쓰이고 있고 "취향이니 존중" 영역에 들어가 있으며, IE6 는 지금도 여전히 메이커의 보안 지원이 이뤄지고 있습니다만...
레드햇 9 을 쓰겠다고 하면 "책이 애들 다 버려놓는구만" "그딴거 집어치우고 최신배포판 강추" "2.4 버전 커널로 뭐하셈" 소리밖에 안나옵니다.
리눅스 세계는, 윈도 이상으로 '새로운것은 좋은것' 세상입니다.
예를 들어, 2006년 10월에 나온 파이어폭스 2.0. 지금 쓰고 있으면, '괴짜' 소리밖에 안나오겠죠.
--
from bzImage
It's blue paper
from bzImage
It's blue paper
...
저는 몇몇 플로그인 때문에 파이어폭스 2.0.13 ... . 사용중인데요 T.T
---------
귓가에 햇살을 받으며 석양까지 행복한 여행을...
웃으며 떠나갔던 것처럼 미소를 띠고 돌아와 마침내 평안하기를...
- 엘프의 인사, 드래곤 라자, 이영도
즐겁게 놀아보자.
http://akpil.egloos.com
---------
귓가에 햇살을 받으며 석양까지 행복한 여행을...
웃으며 떠나갔던 것처럼 미소를 띠고 돌아와 마침내 평안하기를...
- 엘프의 인사, 드래곤 라자, 이영도
즐겁게 놀아보자.
악필님은
아직까지도 OS/2를 엔드유저용으로 사용하시는 진정한 guru 니까 이 글의 범주가 아닙니다. 안심하세요 (?!)
--
from bzImage
It's blue paper
from bzImage
It's blue paper
.
.
아~ 그렇군요...
정말 리눅스라는 것은 저 넘어 세상이군요 ^^;
많이 많이 공부해야 겠습니다 ^^;
7로 업글 고민 중인데..
역시 업글 과정에 의존문제가 걸리는 군요....
차근 차근 풀어봐야 겠습니다...
시디룸 없으니 너무 힘드네요...
대부분 설치할때나
대부분 설치할때나 업글할때 설치CD를 만들지 않습니다. 그냥 네트웍으로 업데이트 하거나 새로 설치할 땐 usb 등으로 부팅해서 네트웍으로 설치하는게 편합니다.
그런데 한가지 궁금한게...
서버로 운영을 한다면
항상 업그레이드해서
새버전으로 운영하기는 힘들지 않습니까??
그런 이유라면 상위버전을 사용하기 힘들텐데...
어떻게 대처를 하는 건가요??
커널을 올려서 사용하는 것은 들은적이 있는데....
직접 시스템의 소스를 바꾸면서 운영을 하나요???
너무 궁금합니다....
일반 데스크탑일
일반 데스크탑일 경우는 사용하는 패키지 수가 어마어마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일일이 관리하기가 힘들죠.
하지만 서버의 경우 보통 필요한 서비스만 설치해서 업데이트를 하기 때문에 비교적 쉽습니다. 패키지 지원이 끊기더라도 소스컴파일 등으로 해결하기도 하구요.
저같은 경우엔...
미리 파티션을 쪼개서 바이너리 파일과 일부 설정 파일을 다른 파티션에 쪼갠 다음에 가뿐하게 밀고 설정파일을 적당히 상황에 맞게 수정해줍니다.
예전엔 일일히 소스 컴파일 했던적도 있는데 이거 메일링리스트 정기구독 하면서 보니 그거 다 따라갈수가 없더라고요. 너무 자주 나와요.
--
from bzImage
It's blue paper
from bzImage
It's blue paper
아직 초보지만
아직 초보지만
저도 solaris때문에 메일링을 가입해서 정보를 받고 있는데요...
너무 많은 메일로 다 보기도 힘들고...
쌓이다보니...
거의 스팸 수준으로 바뀌더라고요...
그런데 일일이 읽어보고 적용할지 안할지 판단하고
정리하고 소스 받아서 컴파일하고 ...
정말 힘들겠네요..
부지런하지 않으면 정말 고생이 눈앞에 훤하네요...
댓글 달기